북극에서 숲이 생기고 있다

by 벼룩시장 posted Aug 07,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더워지는 지구...얼음지대가 이제는 숲으로 

 

 

북극.jpg

 

NASA가 주도한 연구진이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쪽 극지방의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탄소 성분이 언땅에 갇혀 있는 비율 이 40년 전에 비해 13% 줄어든 것을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바꿔 말하면 이 지역 기온이 올라가면서 탄소 순환(생물, 땅, 물, 대기 등 사이에서 일어나는 탄소의 순환 과정)이 활발해지고 과거 얼음 지대였던 곳에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는 뜻이다.

 

논문의 공동저자이자 나사 제트추진연구소(JPL)의 Anthony Bloom 연구원은 " 기온의 상승으로 이 지역의 툰

드라 생태계가 전혀 다른 생태계, 북부 한대수림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북부 한대수림이란 온대와 한대 사이에 있는 아한대 지역의 침엽수림 지대를 말한다.

 

이런 변화는 궁극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더 심화시키리라고 미 항공우주국은 우려한다. 지금까지 북극의 탄소 순환은 대기로 방출되는 탄소와 대기로 부터 흡수되는 탄소가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여름철 날씨가 더워지면 영구동토층 상부가 녹으면서, 미생물들이 얼어있던 유기물을 분해해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분출된다. 같은 시기 식물도 생장이 촉진되면서 활발한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두 작용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된 것이다. 그러나 점점 기온이 상승하면서 식물이 흡수하는 양을 넘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방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함께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는 "이 두 역학 사이의 균형에 따라 미래 북극의 생태계가 지구 대기에 이산화탄소를 더 추가할 지 뺄지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현재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가스를 더 배출하고 있는 셈이다.

 

연구진은 지난 40년 넘는 기간의 북극지방 현장조사 결과를 탄소 순환 모델에 대입해 기본 예측을 했다. 여기에 장기간의 위성,공중촬영 지표 분석데이터를 통해 이 지역의환경변화가 기본 예측 이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해당 논문은 <사이언스 어드밴스> 최근호에 실렸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