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프면 저절로 음식에 손이 가는 이유

by 벼룩시장 posted Nov 25,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공복 호르몬이 뇌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때문 ”

배고픔을 느끼게 하는 ‘공복 호르몬’이 먹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뇌에서 직접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대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공복 호르몬이 뇌의 해마 활동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의 결정은 배고픔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 “의사 결정에 중요한 뇌의 한 부분이 장에서 생산되는 공복 호르몬의 양에 민감하며, 이는 우리의 행동에도 영향을 준다”고 했다. 

연구팀은 먹이가 있는 케이지에 쥐들을 넣고 배고프거나 배부를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관찰하면서 실시간으로 뇌의 영상을 촬영했다. 대부분의 쥐들은 먹이 냄새를 맡는 등 살펴보는데 시간을 보냈지만 배고픈 쥐들은 곧바로 먹이를 먹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쥐들이 음식에 접근할 때 해마에 있는 뇌 세포들의 활동이 증가하고 이 활동이 마치 브레이크를 거는 것처럼 먹이를 먹는 것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쥐들이 배가 고프면 해마의 뇌 세포 활동이 줄어들어 더 이상 쥐들이 먹이를 먹지 않게 막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뇌 세포 활동이 일어날 때 장 내분비 세포로 일명 ‘공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그렐린’의 양이 혈액에서 높은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그렐린으로 해마의 뇌 세포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배가 고프더라도 먹는 것을 중단하도록 유도해 마치 배부른 것처럼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공복 호르몬이 뇌의 장벽을 넘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동물이 음식을 만났을 때 해마가 먹는 본능에 제동을 거는 것으로 보이는 데, 이는 과식을 막기 위한 것”이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인간도 비슷할 것”이라고 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