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소득 감소한 30대 지갑 못 열고…'집값 부담' 60대는 안 열어
한국인의 ‘평균소비성향’이 전 연령대에 걸쳐 10년 전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비용 상승과 노후 불안 영향으로 60대의 소비성향 하락폭이 가장 컸다. 30대 이하는 연령대 중 유일하게 소득도 줄었다.
10년 전과 비교해 30대 이하를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소득이 늘었으나 전 연령대에서 소비지출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평균소비성향은 2014년 73.6%에서 2024년 70.3%로 3.3%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69.3%에서 62.4%로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다. 주택 구입 이자, 세금 같은 ‘비소비지출’이 많기 때문에 일반 소비지출 비중을 줄인 영향이라는 게 대한상의의 분석이다.
30대 이하, 40대, 50대, 70대 등 다른 연령대도 10년 전보다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졌다.
30대 이하는 월평균 가처분소득과 소비 금액도 줄어들었다.
대한상의는 “30대 이하는 지갑을 못 열고, 60대는 지갑을 안 여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소비 구조도 달라졌다. 10년간 지출 비중이 증가한 항목은 보건, 오락·문화, 음식·숙박, 주거·수도 등이었다. 반면 식료품·음료, 의류·신발 등 전통적인 생필품과 교육 등은 하락했다.
소비 부진은 단순한 불황 때문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인구·소득·심리 등이 변화해 나타나는 현상인 만큼 단기 부양책으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