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미국 현지 공장은 만세 분위기…한국 울산은 위기
현대자동차 울산1공장 전기차 생산라인이 최근 나흘간 생산을 멈춘다.

전기차 아이오닉5와 코나 일렉트릭을 만드는 핵심 라인이지만, 판매는 부진했고 수출은 바닥을 쳤다. 2025년 들어서만 세 번째 정지다. 이른바 전기차 캐즘, 수요 정체가 현실이 됐다.

현대차는 지난달 최대 600만원에 이르는 할인 프로모션을 펼쳤지만 반응은 싸늘했다.

특히 수출 비중이 높은 아이오닉5는 올해 1~4월 수출량이 작년보다 64.9%나 줄었고, 코나EV도 42.1% 감소했으며, 미국 수출은 88.4%나 급감했다. 국내외 모두 고전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차

아이러니하게도 현대차는 위기 속에서도 미국에서 ‘웃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미국에서는 전기차를 만들수록 돈이 되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조지아주에 메타플랜트(HMGMA)를 세웠다. 땅값은 ‘0원’, 여의도의 4배 땅을 무상으로 임대받았고, 고속도로와 공항까지 연결 가능한 인프라도 따라왔다.

또한, 설비도 최신이라 생산성은 울산보다 3배 높고, 여기에 10만 대 생산에 미국은 880명의 인력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울산은 3배 인력이 동원된다.

뿐만 아니라 미국 내 전기요금도 한국보다 51.7% 저렴하며, 임금조차 미국이 낮다.

결국 미국은 차를 싸게 빠르게 만들고 팔기까지 쉽다. 태평양을 건너는 물류비도 필요 없어,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가 미국 생산을 확대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우리는 단지 공장을 짓기 위해 이곳에 온 것이 아니라, 이곳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왔다”며, “관세를 피하려는 목적이라기보다는, 앞으로 미국에서도 저탄소 철강을 활용한 차량 생산이 요구될 것이기에 그 일환으로 준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 생산은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울산 공장의 4월 자동차 수출은 작년보다 21.2% 줄었고, 전기차 수출은 무려 64.7%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면 국내 공장 하나쯤 문을 닫을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한국자동차, 관세에도 미국 판매 꾸준한 성장율 보여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달 미국에서 전년 동월 대비 한 자릿수의 판매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차 미국법인은 지난 5월 전국 판매량이 8만4,521대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이 5% 증가하면서 전체 전동화 차량의 역대 동...
    Date2025.06.13 Votes0
    Read More
  2. 美 캘리포니아주, 내연차 퇴출 계획 무산되자 트럼프 소송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2035년부터 시행 예정인 ‘내연차 퇴출’ 조치를 무산시킨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캘리포니아주는 주의 내연차 퇴출 계획을 무산시키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미국 최대...
    Date2025.06.13 Votes0
    Read More
  3. 현대차 10조원 투자한 美 조지아 공장, 아무도 안 반겨?

    트럼프 정부의 정책은 반대, 수익구조 악화…자동화로 채용 백지화 현대차가 미국 조지아에 건설한 메타플랜트가 트럼프 행정부의 세금 공제 폐지와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 강화로 인해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가 운영비 절감을 ...
    Date2025.06.06 Votes0
    Read More
  4. 현대자동차, 미국 관세에 수출 급감

    미국 현지 공장은 만세 분위기…한국 울산은 위기 현대자동차 울산1공장 전기차 생산라인이 최근 나흘간 생산을 멈춘다. 전기차 아이오닉5와 코나 일렉트릭을 만드는 핵심 라인이지만, 판매는 부진했고 수출은 바닥을 쳤다. 2025년 들어서만 세 번째 정...
    Date2025.06.06 Votes0
    Read More
  5. 찻값만 1억이 넘는데 미국에선 ''영혼까지 끌어모아'' 산다는 픽업트럭

    쉐보레는 2026년형 실버라도 EV에 인기 있는 오프로드 트림인 트레일 보스를 추가했다. 이 트림은 기존 내연기관 모델에서 제공되던 트레일 보스의 오프로드 성능을 전기차에 접목시킨 것으로, 2인치 리프트 업과 35인치 올터레인 타이어, 전용 서스펜션 튜닝...
    Date2025.06.06 Votes0
    Read More
  6. 美 4월 자동차 생산 1.9% 감소…트럼프 관세 역풍

    4월 제조업 생산은 0.4% 감소…공급 혼란에 저성장·인플레 우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른 시장 혼란이 이어졌던 지난달 미국의 제조업 생산이 예상보다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Date2025.05.24 Votes0
    Read More
  7. 2년 만에 3.5배 판매…한국서 10명 중 4명이 타는 차는 하이브리드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에서 팔린 SUV 10대 중 4대는 하이브리드 모델이었다. 고유가와 친환경 트렌드, 전기차에 대한 망설임이 만든 흐름 속에서 하이브리드는 빠르게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분기 ...
    Date2025.05.16 Votes0
    Read More
  8. 올해 한국의 자동차 중 1~3위까지 기아 RV가 독식

    RV '쏘렌토'/ 기아 올해 1~4월 국산차 ‘톱3′를 기아의 RV(레저용 차량·SUV+밴)가 모두 차지했다. 쏘렌토(3만5472대)가 올 1~4월 가장 많이 판매된 국산차로 집계됐다. 카니발(2만9104대)과 스포티지(2만6435대)가 각각 2위와 3위...
    Date2025.05.16 Votes0
    Read More
  9. "지금 아니면 못 산다"…현대차, 미국에서 판매 대기록 갱신 중

    현대차·기아, 美서 4월 최대 판매…16만3천대로 16.3% 급증…관세 부과 여파 미국 정부가 수입차에 관세 25%를 부과하기 시작한 지난달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에서 월간 최대 판매 기록을 세웠다. 차값 인상을 우려한 미국 소비자들이 ...
    Date2025.05.09 Votes0
    Read More
  10. "테슬라 이사회, 후임 CEO 물색"…일론 머스크 해고 위기?...사면초가

    ◇본업인 사업에서도 입지 흔들 미국 트럼프 정부의 핵심 실세인 일론 머스크가 사면초가 위기에 놓였다. 머스크의 전기차 회사 테슬라 이사회가 약 한 달 전 머스크의 후임으로 새 최고경영자(CEO)를 물색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최근 테슬라...
    Date2025.05.02 Votes0
    Read More
  11. 제네시스 첫 <오프로더> 뉴욕에서 공개됐다

    장비 싣고, 거친 길 달리는 능력… 우아함과 강인함의 조화 맨해튼 ‘제네시스 하우스’에서 공개한 전기 SUV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 /제네시스 “극한의 조건에서도 우아함을 잃지 않고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겠다는 ...
    Date2025.04.25 Votes0
    Read More
  12. 美 관세폭탄 속 뉴욕 오토쇼...자동차업계 "가격 동결 5월이 마지막"

    올해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25% 관세로 인한 미국 내 가격 변동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업체들은 당장은 재고 물량이 있어 내달까지 가격을 인상하지 않지만, 해외에서 생산한 물량을 들여오는 6월부터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Date2025.04.18 Votes0
    Read More
  13. 뉴욕서 제네시스 첫 오프로더 콘셉트 공개

    현대차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가 뉴욕 맨해튼에 있는 ‘제네시스 하우스 뉴욕’에서 전기 SUV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를 처음 공개했다. 제네시스 브랜드의 첫 오프로더, 즉 거친 길을 달리는 능력을 갖춘 차량이다. 현대차그룹 글...
    Date2025.04.18 Votes0
    Read More
  14. EV3 '세계 올해의 차'…기아, 4년 연속 수상

    뉴욕 국제오토쇼에서 열린 ’2025 월드카 어워즈‘에서 현대차그룹이 4년 연속 ‘세계 올해의 차’ 상을 받았다. 2022년 아이오닉 5, 2023년 아이오닉 6, 작년 EV9에 이어 EV3까지 4년 연속 현대차그룹의 전기차가 이 상을 받은 것이다. ...
    Date2025.04.18 Votes0
    Read More
  15. 관세 폭탄 맞은 현대차, 미국서 두달간 가격 동결…파격 결정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도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에서 앞으로 약 두 달간 가격을 인상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현대차 미국법인은 "오늘부터 2025년 6월2일까지 2개월 동안 현재 모델 라인업의 권장소매가(MSRP)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
    Date2025.04.12 Votes0
    Read More
  16. “美수출하는 한국차 관세 비용, 대당 8,700불”

    기은 연구소 “올해 대미 자동차 수출 9조4000억원 감소 예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 시행한 수입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 25%로 인해 올해 미국 자동차 제조 업체가 부담해야 할 추가 비용이 1080억 달러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
    Date2025.04.12 Votes0
    Read More
  17. 현대차 정의선 회장, "4년간 美에 31조 투자"

    백악관서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 발표…트럼프, “관세 면제” 백악관서 대미투자 발표하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 현대자동차그룹은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 약 31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백악...
    Date2025.03.28 Votes0
    Read More
  18. 대미 수출의 27%, 자동차 업계 흔들… GM의 한국공장 최대 타격

    인천에 있는 한국GM 부평 공장(미국 GM의 한국 사업장)은 최근 미국발 ‘관세 폭탄’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인력 감축설에 이어 철수설까지 불거지면서 불안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 관세가 시행되는 4월...
    Date2025.03.28 Votes0
    Read More
  19. 정의선의 새 승부수…미국 연간 120만대 생산 시대 열었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식을 가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020년 회장에 취임한 뒤 처음으로 건립을 결정한 공장으로, 아버지인 정몽구 명예회장이 2005년 앨라배마 공장을 짓고 ‘쏘나타&r...
    Date2025.03.28 Votes0
    Read More
  20. 남는 차 점점 많아지더니 재고자산 사상 최대… 현대차·기아 어쩌나?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재고자산이 지난해 처음으로 32조 원을 넘어섰다. 판매 속도가 둔화되면서 완성차 재고가 계속해서 쌓이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12.3% 증가한 수치다. 현대차는 19조 7910억 원, 기아는 12조 4190억 원으로 각각 13.7%, 10.1% 늘었다. ...
    Date2025.03.28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7 Next
/ 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