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중국 전체 화장품 순위에서도 이니스프리가 9위로 10위권 턱걸이
스마트폰 판매 순위 1위 애플, 샤오미 화웨이 2,3위…삼성은 8위

 

광군제.jpg

 

세계 최대 소비 축제로 부상한 중국의 광군제(光棍節·독신자의 날)할인행사에서 한국이 해외 수입상품 순위 5위에 올라 작년 3위에서 2계단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광군제 전체 매출 종합순위 50위권에 진입한 19개 외국 브랜드 가운데 한국 브랜드는 전무했다. 
알리바바가 상하이에 마련한 미디어센터 대형전광판엔 작년보다 40% 가깝게 증가한 약 28조3천억원의 거래액 숫자가 올라왔고, 뒤이어 해외직구와 역직구 국가별 순위 그래프가 떴다.
사드 보복을 받아온 한국 기업들은 최근 한·중간 사드 협의 결과 발표이후 광군제 마케팅에 적극 나섰다. 사드보복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하지만 중국의 해외직구 순위에서 지난해 일본 미국에 이어 3위를 기록한 한국은 올해 호주와 독일에 밀려 5위로 내려왔다. 금액은 즉각 공개되지 않았다. 지난해 미국을 제치고 1위에 올라선 일본은 2년 연속 최고 자리를 지켰다.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해외 여행지 순위에서도 한국은 태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에 이어 5위에 올랐다. 사드 갈등이 불거진 이후 국경절 등 주요 연휴 해외 인기 관광지 순위에서 한국을 10위권 밖으로 밀어냈다.
해외직구 채널(티몰 글로벌)이 아니고 중국에서 직접 공급된 중국 내외 브랜드 순위에서도 한류 브랜드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알리바바 플랫폼 기준 광군제 매출 종합 50위권에 진입한 외국브랜드는 19개지만 한국은 단 한곳도 들지 못했다. 미국이 7개로 가장 많았고, 일본과 덴마크가 각각 3개, 프랑스 2개, 스페인 네덜란드 독일 영국이 각각 1개 브랜드를 진입시켰다. 
한류 브랜드가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미용 화장품 부문에서는 국내외 브랜드 통틀어서 10위권에 이니스프리가 9위로 턱걸이 하는데 그쳤다. 국내외 스마트폰 브랜드 판매액 순위에선 애플이 1위에 올랐다. 2위는 샤오미, 3위는 화웨이가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8위에 머물렀다. 대형가전과 중소가전 상위 10위권에도 한류 브랜드를 찾을 수 없었다. 
의류의 경우 남성과 여성 의류에서 일본의 유니클로가 가각 2위와 1위에 올랐다. 남성과 여성의류 모두 상위 10위권에 한류 브랜드는 없었다. 단지 여성의류 브랜드 10위에 티니위니가 올라 눈길을 끌었다. 티니위니는 이랜드가 중국 기업에 매각한 패션 브랜드다. 
중국 전체 스포츠 용품 순위에서는 미국 나이키가 1위였다. 
해외 직구 상품 가운데 이번 광군제에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 클릭(판매액 기준)을 한 상품은 호주의 건강식품 스위스(Swisse)가 차지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15 국산 골프공으로 '1000만불 수출' file
614 국가부채 1500조 돌파…공무원·군인연금 메우는데 절반 file
613 구인난에 美중소도시 임금 천정부지…식당 알바 시급이 20달러
612 구인난 허덕이는 미국…임금 올려도 직원이 없다 file
611 구인건수 사상 최대…714만개로 집계 file
610 구멍 뚫린 페이스북, 사용자 이탈…저커버그 최대 위기 file
609 구멍 13개 뚫린 <못생긴 신발>…세계 신발시장 평정했다 file
608 구글이 300억불에 인수하려던 스냅챗, 새 먹거리 모색 기업가치 180억불… 회사 생존 위해 '드론 촬영' 선택 file
607 구글에서 아마존으로…명품 브랜드 유통의 중심 축 file
606 구글에서 아마존으로…명품 브랜드 유통의 중심 축 file
605 구글·페이스북·아마존의 제2 터전…신흥 'IT 허브' 뉴욕시 file
604 구글, 지역뉴스 제공안되는 美소도시들에게 뉴스 서비스 제공 file
603 구글, 뉴욕 맨해튼에 10억불 투자해 캠퍼스 짓는다 file
602 구글 지주사 알파벳, '꿈의 시가총액 1조 달러' 넘었다 file
601 구글 2분기 매출, 순이익 급상승 file
600 구글 2017년 세금 피하기 위해 소득 버뮤다로 이전 file
599 구글 '암호화폐 광고' 재허용 결정 file
598 교촌치킨, 한국선 매장수 1위지만…해외는 고전 file
597 교육노동 위원회 최저임금 15달러 인상 법안 통과 file
596 광주 맛집 ▶전국구 맛집 발돋움… '뉴욕브레드' 김유번 대표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95 Next
/ 9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