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2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하버드대 석사 출신 흑인 라티그씨
한국서 탈북자들 무료영어 가르쳐

Screen Shot 2018-04-10 at 11.36.49 AM.png



미국의 명문 하버드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한 미국인이 미국내에서의 모든 제안을 뿌리치고 한국에작은 단체를 설립, 탈북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TNKR(Teach North Korean Refugees) 및 이 교육기관을 운영하는 미국인 케이시 라티그씨는 그동안 한국 언론에 여러차례 보도됐다. 

조선일보는 최근 TNKR을 방문 라티그씨를 인터뷰하며 이 단체를 크게 소개했다. MBC나 한국일보도 보도했다. 그는 2013년부터 탈북자에게 무료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탈북자 사이에서 '고마운 은인'으로 불린다.

탈북자에게 영어는 생존 문제이면서 동시에 어려움을 겪는 과제라고 한다. 한국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영어를 배우고 알게 모르게 영어에 노출되며 살고, 실제 쓰는 말 중에 외래어를 많이 접한다. 그러나 탈북자 입장에선 영어나 외래어가 굉장히 생소하다. 통일부 조사 결과 탈북자들은 '외래어로 인한 의사소통'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다. 

탈북자들 중 일부는 자비로 학원에 다니지만 기초가 없다 보니 따라잡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경제적인 부분도 문제가 된다. 독학은 더 어렵다. 

TNKR에는 영어를 가르쳐주는 외국인 자원봉사자들이 수십명이나 된다. 탈북자들은 외국인 선생님을 적게는 1명부터 많게는 10명 이상 신청할 수 있다. 자신이 공부할 의지만 있으면 시간이 맞는 선생님과 계속 만나 공부를 하는 것이다. 한 번 만나면 최소 두 시간 이상 공부를 하도록 프로그램이 짜여 있다."

탈북자 중에선 북한의 실상을 세계에 알리거나 국제기구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이들이 많다. 라티그씨는 “탈북자들이 사회에 정착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도 도움을 주는 일”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KNKR을 거쳐간 탈북자는 4년간 400여명이라고 한다. 이 기간 영어를 가르쳐주는 자원봉사자만 600여 명이 참여했다. 항상 대기 명단에 교육받기를 원하는 탈북자들이 100여 명 남짓 있다. 

라티그씨가 처음 한국에 온 것은 1992년이다. 그해 미국 LA에선 폭동이 일어났다. 한인 사회는 주요 공격 대상이 되며 발칵 뒤집혔다. 흑인들에겐 한인이, 한인들에겐 흑인이 증오의 대상이었다. 하버드 대학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라티그씨는 LA 폭동 일주일 후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그는 그날 비행기에 탑승한 사람 중 유일한 흑인이었다. 

라티그씨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CATO Institute라는 싱크탱크에서 연구원 생활을 했다. 교육 정책 전문가로 활동했던 덕에, 높은 연봉으로 유혹하는 기관이나 연구소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한국행을 택했고, 작은 한국 단체에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도 했다. 행복감은 지금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더 크다고 한다.

그가 탈북자를 돕는 활동을 하게 된 계기는 2012년 2월 중국에서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된 사건에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는 관련 집회에 몇 번 참가했다. 말도 안 되는 비윤리적인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반응이 생각보다 민감하지 않았다. 자유가 없는 곳에서의 삶의 무게를 너무 쉽게 대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뭔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탈북자들의 생활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게 전부였다고 한다.

물로 단체 운영이 쉽지 않다고 했다. 어쩔수없이 후원금에 기대 운영하는데, 후원자 대부분은 외국인들이다. 미국, 유럽 등에서 우리 단체의 활동 소식을 듣고 취지에 공감한다며 후원금을 보내준다. 자원봉사하며 영어를 가르치는 외국인들도 돈을 낸다고 한다. 한국인 지원은 거의 없는 편이다.\"

한국내에서의 지원이 적은 이유에 대해, 그는 탈북자들에 대한 관심이 생각보다 적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에 처음 왔을 때도 그랬고, 요즘도 무관심에 많이 놀란다는 것이다.

이 단체를 운영하기 위해선 시설 임대료나 교재비 등 최소 수천만원이 필요하다고 그는 말한다. 라티그씨와 운영진은 사비까지 들여 활동하고 있는데, 이곳에서 영어를 배우는 탈북자들은 이들이 화를 내거나 목소리를 높이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전화 (02)6929-0942

 

Screen Shot 2018-04-10 at 11.37.38 AM.png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No Image

    "美, 아프간 주둔 미군 4천명 곧 철수"

    단계적 철수…탈레반과 대화 재개 노력의 일부 미국이 2001년부터 전쟁을 치르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에 주둔 중인 미군 4천명을 철수한다는 계획을 이르면 다음주 초 발표한다고 미국 NBC 방송이 보도했다. NBC는 전·현직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병...
    Date2019.12.17 Views6072
    Read More
  2. "美, 북한 공격하지 않을 것…핵무기 보유 알기 때문"

    러시아 외무장관, 모스크바 현지 인터뷰 통해 '이례적 발언'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사진)은 “미국은 북한을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이날 모...
    Date2017.09.26 Views8415
    Read More
  3. "美, 로봇.사이버.우주무기 등 신무기로 북핵에 대비해야"

      존 유(사진.50.한국명 유 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미국이 북한 핵무기에 대응하기 위해 드론과 로봇.사이버 공격 능력.우주배치 미사일 방어시스템 등 3가지 신 무기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교수는 미국 시카고 트리뷴에 ...
    Date2017.08.29 Views6914
    Read More
  4. "美 핵무기 현대화 등에 1조달러 소요"…이달말 발표

    CNN 보도…국방부 핵무기 포괄적 점검 거의 마쳐     미국 국방부가 자국 핵무기에 대한 포괄적인 점검을 거의 마쳤으며 이를 위해 향후 수십년간 1조달러 이상을 투자해야 할 것으로 결론내렸다고 CNN이 보도했다.  이번 점검은 억지력에 중점을 둔 것이었으며...
    Date2018.01.09 Views9959
    Read More
  5. "美 본토 핵시설이 핵공격 받으면 100만~200만명 사망 가능"

    미국 본토 내륙의 핵무기 시설이 핵 공격을 받으면 100만~200만명이 방사선 피폭으로 숨질 수 있고, 약 3억명이 연간 피폭 한도의 최소 1천배에 달하는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핵미사일 시설에 대한 핵 공격 시 평균 방사선 피...
    Date2023.11.18 Views2353
    Read More
  6. "美 베이비 부머, 주택 재고 부족과 가격 상승의 원인"

    "적은 주택으로 옮기기 힘들어…밀레니얼 자녀세대와 충돌"     CNBC방송이 최근 미국 주택시장의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보이는 것은 베이비부머 세대 때문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자녀가 성장해 이사를 나가면 많은 부모들은 작은 집으로...
    Date2017.09.26 Views8666
    Read More
  7. "美 메디케어 개혁, 한국 따라 전국민 단일보험제로"

    케빈 드럼, "우리가 따라야 할 모델은 한국의 건강보험이다"     미국 정치권에서 건강보험 개혁이 이슈 되면서 다양한 대안이 난립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한국의 선례를 따라 건강보험을 개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진보 성향 매체 '마...
    Date2017.08.04 Views8573
    Read More
  8. "美 18개 공립학교, 91개 학급서 2100여명 한국어 배워"

    한국어재단 기금모금의 밤 성황…9년전 한국어 배우는 美학생 26명 미주한국어재단(회장 이선근)이 주최한 제9회 기금모금의 밤이 150여명이 참석, 플 러싱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가운데, 미 공립 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미국학생들의 숫자가 9년만에 ...
    Date2019.10.22 Views8032
    Read More
  9. "美 '대만여행법' 발효시 단교 검토"

    관영 환구시보 "중국-미국 외교관계 파국 예상"     중국 정부가 최근 미국 하원을 통과한 '대만여행법'과 관련해 미·중 간 단교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대만여행법이 상원마저 통과해 미 대통령 승인을 받아 최종 발...
    Date2018.01.17 Views10447
    Read More
  10. "SOS"…알래스카 오지에서 20여 일만에 구조된 남성 사연

    인적을 찾기 어려운 알래스카의 오지에 홀로 고립됐던 남성이 20여 일 만에 극적으로 구조됐다. CNN 등 보도에 따르면, 타이슨 스틸(30)은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113㎞ 떨어진 외딴 지역에서 홀로 생활하던 중 한달 전 갑작스러운 화재로 집을...
    Date2020.01.20 Views7565
    Read More
  11. "SHSAT 당장 없앨 수 있다"

    카랜자 교육감 "주 의회 승인 없어도"… 카랜자 뉴욕시교육감이 '뉴욕시 특수목적고 5개교의 입학시험은 뉴욕주의회의 승인없이 지금 당장이라도 폐지시킬 수 있다'고 발언해 파장이 일고 있다. 카랜자 교육감은 히스패닉계 교육자 모임에 참석...
    Date2018.10.14 Views9066
    Read More
  12. "LA 폭동 목격하고 한국행 결심"

    하버드대 석사 출신 흑인 라티그씨 한국서 탈북자들 무료영어 가르쳐 미국의 명문 하버드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한 미국인이 미국내에서의 모든 제안을 뿌리치고 한국에작은 단체를 설립, 탈북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있...
    Date2018.04.10 Views8200
    Read More
  13. "LA 도심 건물 13,000채 지진에 취약…한인타운도 많아"

      멕시코 강진으로 25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멕시코와 같은 지진대인 '불의 고리'에 속한 캘리포니아주 LA 도심에도 지진에 취약한 건물이 많다는 통계가 발표됐다. LA타임스는 자체 수집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LA 시내에서 내진 보강 공사가 필...
    Date2017.09.22 Views8147
    Read More
  14. "DACA 신청자 12%, 범죄 체포기록 보유"

    연방 이민 당국이 DACA 신청이 승인된 수혜자들의 상당수가 범죄로 인한 체포 기록을 가지고 있다는 자료를 공개했다. 연방 이민서비스국(USCIS)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보도자료를 내고 총 88만9,000의 DACA 신청자 가운데 약 12%에 해당하는 11만여 명이 범...
    Date2019.11.20 Views7952
    Read More
  15. "99년만의 개기일식…맨해튼에서도 진풍경이…"

      지난 8월 21일은 99년만의 북미 개기일식이라 미국뿐 아니라 개기일식을 볼 수 없는 한국까지도 그 관심과 열기가 대단했다.  토탈 이클립스를 촬영하기위해 노스캐롤라이나로 10시간 넘게 운전해서 일찌감치 카메라 세팅하고 자리 잡은 사람들도 있었고 NA...
    Date2017.08.27 Views8318
    Read More
  16. "90만명이 인공호흡기 필요할 수 있는 상황"

    미국에서 의료용품이 얼마나 모자라기에…다급해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마스크와 인공호흡기 시장은 미쳤다”며 불만을 토로한 데 이어 한국에 진단키트를 비롯한 의료장비 지원을 요청한 사실이 공개되면서 미국 ...
    Date2020.03.28 Views7195
    Read More
  17. "87세 노파에 테이저건 발사 논란"

    조지아주서 민들레 줄기줍던 미국 할머니에 미국 조지아주 경찰이 칼로 민들레 줄기를 채취하던 87세 노파에게 테이저건을 발사해 과잉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CNN에 따르면, 애틀랜타 북쪽 전원 지역에 사는 시리아 출신 할머니(87·사진)가 손에 칼을 ...
    Date2018.08.21 Views8685
    Read More
  18. "65세 이상 미국인 10명 중 1명 치매 앓아”

    2명은 치매 전 단계…저학력자, 고령일수록 치매 위험 증가 65세 이상 미국인 10명 가운데 1명은 치매를 앓고 있으며 2명은 경도인지장애를 앓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메디컬센터는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신경학&#...
    Date2022.10.28 Views4544
    Read More
  19. "5억명 고객 정보 턴 해킹은 중국"

    미국당국, "매리어트 호텔 해킹은 중국소행" 최대 5억명의 고객 정보 노출 가능성이 제기된 미국 매리어트 호텔 해킹이 중국 해커들의 소행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 정보당국은 매리어트 인터내셔널이 밝힌 스타우드 호텔 예약 데이터베이스 해킹 사건이 미국민...
    Date2018.12.14 Views9370
    Read More
  20. "5만개 뉴욕식당·술집 영업제한"

    업소 안에 손님 못 받고…Take-out만 관련 한인업소들은 엄청난 피해 우려 뉴욕시, 언제든 통행금지령 발표 가능 미국의 최대 도시 뉴욕시와 미서부 LA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식당과 술집 등의 영업 제한에 들어갔다. 뉴욕과 LA의 모든 식당과 술...
    Date2020.03.18 Views80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