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론 미국 대학 학위 있어야 취업비자 취득율 높아"

by 벼룩시장01 posted Apr 22,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No Attached Image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미대학 졸업후 취업 OPT 신청자 급증…한국대학 졸업자 불리

 

 

매년 H-1B 취업비자 쿼타가 부족한 상태에서 외국서 학위를 취득한 이민자들은 비자 취득이 더욱 불리해지고 있다. 

 

추첨에서 우선권을 갖는 미국 대학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이민자들의 H-1B 신청이 급증하고 있고, 미 대학 졸업 후 OPT(졸업 후 취업 연수프로그램) 신분으로 취업 중인 유학생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외국 대학서 학위를 취득한 이민자들의 H-1B 기회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사전접수가 끝난 2019회계연도 H-1B 신청서 접수에서 추첨 우선권을 갖는 석사 학위 이상 2만개 쿼타분 대상자는 전체 신청자의 절반이 넘는 9만 5,885명에 달했다. 이들은 모두 미국 대학에서 석사나 박사 학위를 취득한 신청자들로 석사 학위 이상자에 따로 배정된 쿼타 2만개 추첨의 대상자가 된다. 

 

한국 등 외국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고 하더라도 석사 이상 2만개 쿼타분 추첨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미국 대학에서 취득한 석·박사 학위만을 인정하고 있어 외국 대학 학위 취득자에게는 1차 추첨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2만개 쿼타분 추첨이 끝나도 외국 학위 취득자들은 2차 추첨에서도 다시 미 대학 석박사 취득자들과 경쟁하게 되어 있어 당첨 기회는 더욱 줄어든다. 1차 추첨에서 떨어진 미 대학 석박사 취득자들에게는 2차 6만 5,000개 정규 쿼타분 추첨자격까지 주어지게 돼 이들은 2번의 추첨기회가 주어지는 셈이다. 

 

이번 사전접수의 경우, 전체 19만 98명의 신청자들 중 미 석박사 학위 취득자가 9만 5,885명이어서 석사 학위 이상 쿼타분 2만개 당첨자를 제외하면 다시 7만 5,000여명이 2차 추첨에 포함된다. 이렇게 되면, 외국 학위 취득자 9만 4,213명의 당첨확률은 훨씬 더 줄어들게 된다. 

 

미 대학을 졸업한 후 OPT 신분으로 취업 중인 유학생 출신 신청자 급증도 외국 학위 취득자들의 H-1B 취득을 어렵게 하고 있다. OPT 유학생 대부분은 H-1B 신청을 하게 돼 외국 학위 취득자에게 주어지는 기회는 좁아질 수밖에 없다. 

 

이민당국에 따르면, 지난 2012년 9만 5,504명이었던 OPT 유학생이 2016년 15만 4,120명으로 늘어 5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중 상당수가 고임금직의 STEM 분야 전공자들이어서 외국 학위 취득자들은 이래저래 심사에서도 밀릴 수밖에 없다. 

 

2013년 1만 9,115명이던 STEM 분야 OPT 유학생은 2016년 200% 이상 늘어난 4만 5,184명으로 집계됐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No Image

    경기도 인구 1,400만…6년만에 100만 늘어

    2016년 8월 1천300만명을 돌파한 지 6년 8개월 만에 100만명이 증가한 것이다. 2023년 4월 말 기준 경기도 인구는 등록외국인 39만5천608명을 합쳐 총 1천400만3천여명이다. 6년만에 1만명이 더 늘었다. 이 기간 시군별 인구 증감을 보면, 화성시(30만5천명)...
    Date2023.05.27
    Read More
  2. 한인이민 120년 기념 태평양 횡단 요트원정대 한국에 도착

    3월4일 LA 출항, 하와이 거쳐 84일만에 통영 도착…사상 두번째 쾌거 미주한인 이민 120주년 기념 요트 태평양 횡단한 재미한인들 [박상희 대원 제공] 미주 한인 이민 120주년을 기리기 위해 지난 3월 4일 LA 항을 출발한 태평양 횡단 요트가 27일 경남 ...
    Date2023.05.27 file
    Read More
  3. “홀트, 美 입양 보낸후 방치...37년간 불법체류자 생활”

    한국법원, “신성혁씨에 1억 배상하라” 첫 판결… 국가 책임은 인정 안해 국내 입양 기관이 1979년 미국으로 입양 보낸 신성혁(48)씨에게 1억원을 배상하라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과거 해외 입양 과정의 불법성에 대한 배상 책임을 인정한 ...
    Date2023.05.20 file
    Read More
  4. 입양아 최대 25만명이 해외로 보내졌다... 해외입양 70년의 명암

    과거 ‘고아 수출국’으로 불렸던 한국에서는 오히려 해외입양을 장려하며 민간 입양기관과 함께 조직적으로 아이들을 외국으로 보냈던 어두운 역사가 있다. 보건복지부 기록상 가장 최초로 한국이 아이를 해외로 입양보낸 해는 1953년이다. 국가인...
    Date2023.05.20 file
    Read More
  5. “美 연방법무부,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좌절 시키려 소송할 수도”

    미국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가 “미 법무부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을 좌절시키기 위해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고 심의에 정통한 세 사람을 인용해 보도했다. 바이든 정부는 젯블루와 스피릿 항공의 합병, 젯블루와 아메리칸에어라...
    Date2023.05.20 file
    Read More
  6. 한국·캐나다, 워킹홀리데이 4천명에서 1만2천명으로 확대한다

    윤대통령, 트뤼도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합의…연령 상한도 만30세→35세로 완화 윤석열 대통령과 쥐스텡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7일 서울에서 열린 한·캐나다 정상회담에서 ‘워킹 홀리데이(Working Holiday)’ 참여자 쿼터를 현...
    Date2023.05.20 file
    Read More
  7. 입양아 출신 美 북한인권특사, “북한 지도부 인권유린 책임 물을 것”

    줄리 터너 미국 북한인권특사 지명자는 “북한 인권 침해를 자행한 이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각국 정부와 조율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과 미국 정부가 북한의 인권 유린을 막기 위해 공조에 나선 가운데 국제사회의 북한 지도부 제재 고삐를 죄겠...
    Date2023.05.20 file
    Read More
  8. 나이 속이고 뉴저지 고교 입학한 29세 한인 여성, 정신 감정 받는다

    출생증명서를 위조해 나이를 속이고 고등학교에 입학한 20대 한인 여성이 정신 감정을 받게 됐다. 뉴저지주 법원은 공문서 위조 혐의로 기소된 신모(29)씨의 ‘재판 전 개입 프로그램’ 요청을 받아들였다. 이 결정에 따라 신씨는 정신 상태에 대한...
    Date2023.05.20 file
    Read More
  9. 10대행세 30대 한인남성, 채팅서 만난 13세 소녀 방 침입해 쇠고랑

    미국에 사는 30대 한인 남성이 소셜미디어에서 만난 13세 소녀의 집을 찾아가 방 안까지 잠입했다가 붙잡혀 재판을 기다리고 있다. 시카고 남서 교외도시 네이퍼빌에 사는 한인 A씨(39)는 작년 8월 새벽에 자신의 집에서 차로 약 1시간30분 거리에 있는 록포...
    Date2023.05.19 file
    Read More
  10. 美언론마다 댈러스 총기참변 한인가족 집중 보도

    뉴욕타임스, “부모와 동생 잃은 6세 한인소년” 특집 보도 온라인 모금사이트는 180만불 모금…유가족, “너무 감사” 텍사스주 댈러스 외곽 쇼핑몰에 갔다가 총격에 희생된 한인교포 가족의 사연이 알려지면서 미국 주요 언론 매...
    Date2023.05.13 file
    Read More
  11. No Image

    "나는 한국계 미국인”…아시아계 미국인 절반, 정체성, 주체의식 강해

    "나는 단순한 '아시아계 미국인'이 아니다. '한국계 미국인'이거나 '한국인'이다." 아시아계 미국인의 절반 이상은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할 때 자기 민족에 대한 언급을 빼놓지 않을 정도로 자신의 '뿌리'를 의식하고 있다는...
    Date2023.05.13
    Read More
  12. 뉴욕한인회 비상대책위 통합 제안 무산됐다

    정상화위원회, “사전협의 없었다”며 통합모임에 불참 뉴욕한인회 회장선거문제로 둘로 갈라선 비상대책위원회와 정상화위원회가 내분을 막기 위한 통합움직임이 있었지만, 결국 무산됐다. 전직회장 8명이 참여한 비상대책위원회측의 변종덕 위원...
    Date2023.05.13 file
    Read More
  13. 한국-캐나다, 워킹홀리데이 4천명→1만명 이상으로 확대

    트뤼도 총리, 이달 중순 방한해 윤석렬 대통령과 정상회담 뒤 발표 한국과 캐나다가 ‘워킹 홀리데이(Working Holiday)’ 참여자 쿼터를 현행 4000명에서 1만명 이상으로 늘리는 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수교 60주년을 맞아 청년 간 교류...
    Date2023.05.13 file
    Read More
  14. No Image

    뉴욕한인회 양측 대립…별도 회장선거 개최

    비상대책위원회-정상화위원회 모두 출마자격 완화 전직회장들로 구성된 뉴욕한인회 역대회장단협의회가 오는 20일 퀸즈 베이사이드의 하크네시야교회에서 임시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힌데 이어, 찰스 윤 전 회장을 위원장으로 한 뉴욕한인회 정상화위원회가 출...
    Date2023.05.06
    Read More
  15. 뉴욕총영사, 시경국장에 한인사회 안전 당부

    NYPD를 방문한 김의환 뉴욕총영사(중앙)과 스웰 뉴욕시 경찰국장 김의환 뉴욕총영사가 키챈트 스월 뉴욕시 경찰국장을 만나 한인 사회 안전에 대한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김 총영사는 이 자리에서 지난 3월 맨해튼에서 발생한 한인 종업원 총격 사망사건을...
    Date2023.05.06 file
    Read More
  16. 40년 배우들의 허기 달래준 김정민 사장의 델리가게

    단골 배우, 극장 스탭진들 감사의 눈물…성금 전하며 노래로 작별인사 김정민씨가 폐점 당일 단골들이 건넨 성금 1만8000달러가 담긴 봉투를 양손으로 꼭 쥐고 있다. 단골들이 감사의 마음을 적은 기념사진 액자를 전달하고 있다. /틱톡 40년이 넘는 세...
    Date2023.05.06 file
    Read More
  17. 라이온스클럽 불우이웃돕기 골프대회

    뉴욕한국라이온스클럽(회장 서동천)이 불우이웃돕기를 위한 기금 마련 골프대회를 오는 5월 10일 수요일, 브롱스 펠헴골프장 에서 낮12시 샷건방식으로 개최한다. 뉴욕일원의 한인단체 중 매년 가장 많은 상품을 골프대회 참석자들에게 드리는 라이온스클럽은...
    Date2023.05.06 file
    Read More
  18. 한국에 신학 배우러 왔지만…외국인 신학생들, 갈 곳이 없다

    "고국에서는 목사 안수 인정 못받아"…한국 목회 체험하기 하늘에 별 따기 K-팝, K-방역, K-푸드까지 전 세계적으로 K-열풍이 일고 있는 가운데 ‘K-신학’이란 말까지 등장했다. 신학 공부를 위해 한국을 찾는 유학생의 수가 날로 늘고 있는...
    Date2023.05.06 file
    Read More
  19. No Image

    바이든 대통령의 갑자스런 <아메리칸 파이> 즉석 노래요청에 당황

    윤대통령, “거절할 수 없어…한미동맹 지지자 등 생각하며 한 소절 불렀다" ▲ 윤석열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열린 국빈만찬에서 건배 제의를 하고 있다.ⓒ대통령실 제공 대통령실이 백악관 국빈만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선보인 '깜짝 노래'...
    Date2023.04.29
    Read More
  20. 한인 임산모 평균 출산연령 만 34세 넘어

    타민족에 비해 높아…35세이상 고령출산은 47% 미국내 한인 임산모들의 평균 출산연령이 만 34세 1개월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계 임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인 33세 2개월, 백인계 임산모의 29세 4개월보다 더 높은 수치다. 미질병통제예방센터의 지난 202...
    Date2023.04.2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