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9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Screen Shot 2018-06-23 at 3.40.21 PM.png

 

맨해튼 업타운의 할렘은 10여년전부터 개발업자들에 의해 본격적인 건축붐과 보수공사가 계속되면서 과거의 할렘이 전혀 아니다. 할렘 길거리를 지나가도 흑인보다는 백인이나 타인종이 더 많이 눈에 띤다. 개발이 본격화 되면서 거주용과 상업용 렌트가 모두 폭등하면서 원래 머물렀던 흑인주민과 흑인상인들이 계약이 끝나면 렌트비 감당이 안되서 더 저렴한 타 지역으로 이사를 가야 했다. 맨해튼 다운타운의 '리틀 이탈리아’도 이태리인들이 직접 영업하는 업소나 식당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1972년 마피아 갱단의 총격전이 벌어진 '움베르토 조개식당', 시칠리아 전통 쿠키를 만드는 '라 벨라 페라라', 대형 연회장 SPQR 등이 모두 사라졌다. 모두 렌트비가 2배~4배로 급등했기 때문이다. 

 

미국이나 뉴욕은 철저한 계약 및 자본주의로 움직이는 사회이기 때문에 테넌트는 계약이 끝나서 건물주가 렌트를 대폭 올려도 어찌할 방도가 없다. 

 

그렇다고 서울의 족발집 주인처럼 건물주를 쫒아가서 망치로 폭행을 가하는 일은 거의 없다. 서울 서촌에서 계약 기간 만료로 강제 퇴거를 당한 족발집 주인이 건물주를 폭행한 '망치 테러' 사건의 배경에는 세입자 계약 연장 권리가 '5년'에 불과한 국내 법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치 테러의 족발집 실제 영업 기간은 8년이 넘은 것으로 전해져, 사실상 렌트비를 서너배로 올린 건물주도 테넌트가 가게를 비우지 않으면 건물 모기지를 내지 못해 건물을 차압당할 위기를 겪고 있었다. 

 

한국 국회에는 현재 세입자 계약 보장 기간을 10년으로 늘리는 법안이 계류 중이다.

 

테넌트와 건물주는 계약 처음부터 불평등한 관계다. 다만 테넌트는 자신이 잘 판단하고, 또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리스 기간, 렌트 액수 및 기타 계약 조건을 최대한 유리하게 하면서, 랜드로드와 밀고 당기는 협상을 벌인 후 서명을 하면 되는 것이다. 

 

뉴욕시는 상업용 업체의 계약 기간 규제가 없는 반면 대체로 5년 리스 후 5년 옵션, 즉 5년 렌트 후 5년은 테넌트에게 우선권을 주는 10년 계약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선 15년, 20년 장기 계약도 랜드로드와 테넌트가 협의하면 가능하다. 

 

 

한인업체들이 많은 맨해튼 32가 코리아타운이나 플러싱에는 많은 한인업소들이 "인테리어와 시설비에 수십만달러를 투자한 후 사업을 하다가 적자운영을 감당하지 못해 문을 닫는 경우가 부지기수였고, 새로운 업체가 싼 가격으로 문닫은 가게를 인수해서 악전고투 끝에 업소를 살리거나 아니만 전 주인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 한인사회에는 서울 족발집 주인같은 ‘망치테러’ 사건이 발생할 환경은 충분하지만, 법과 계약으로 질서가 유지되는 사회여서 그런지 그런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 브롱스 지하철역에 기차가 들어오는데...

    선로 떨어진 승객 구조하기 위한 긴박한 1분 미국 뉴욕 한 지하철에서 선로로 추락한 남성을 열차 진입 직전 구조한 영상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경찰과 시민들이 힘을 모아 만든 기적에 “진정한 영웅들”이라는 찬사가 쏟아지고 있다. \ 뉴욕시경...
    Date2021.08.20 Views5682
    Read More
  2. 美, 코로나 확산 우려에…"뉴욕서 열리는 유엔총회 오지말라” 요청

    미국이 오는 9월 21일부터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 오지 말아달라고 세계 각국에 요청했다. 세계 각지에서 참석자가 몰릴 경우 자칫 유엔 총회가 코로나19 ‘슈퍼 전파 이벤트’가 될 것을 우려해서다. 보도에 따르면 주유엔 미국 대표부는 최...
    Date2021.08.20 Views5305
    Read More
  3. 아마존, 미국에 백화점과 비슷한 대형매장 연다

    기존 오프라인 소매시장으로 본격 진출…캘리포니아주, 오하이오주 예상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회사 아마존이 백화점과 비슷한 대형 오프라인 매장을 미국에서 개점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아마존의 첫 백화점형 매장은 캘리포니아주...
    Date2021.08.20 Views5938
    Read More
  4. 아시안 약사, 백신카드 위조로 수십년 징역형

    “백신접종카드 빼돌려 1장에 10불씩 온라인 판매” 미국의 30대 아시아계 약사가 연방 당국이 관리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카드를 빼돌려 팔다 자칫 평생을 교도소에서 보내야 할 위기에 놓였다. 연방 법무부는 일리노이주 면허를 소지하고 시카...
    Date2021.08.20 Views5152
    Read More
  5. 마스크 안끼고 난동부린 비행기 승객들에 100만달러 철퇴

    미연방항공국, 무관용 원칙 적용해 약 80명에 역대 최고액 과태료 처분 미국 항공 당국이 비행기 내에서 마스크 착용 명령을 무시하고 난동을 부린 승객 80여명에게 총 100만달러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했다. 미국 연방항공국(FAA)은 이러한 내용의 기내 난...
    Date2021.08.20 Views5717
    Read More
  6. 미국인 아시안 인구 10년간 38% 늘었다

    지난 10년간 미국에서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인구가 인종별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센서스국 통계에 따르면 2020년 4월 기준 미국 내 아시안(혼혈포함) 인구는 2,400만99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아시안 인구 1,732만856명...
    Date2021.08.14 Views6339
    Read More
  7. 범죄 피해, 목격 서류미비자 법적 보호

    연방 이민국, 새 지침 발표…체포나 추방 안돼 바이든 행정부가 범죄 피해를 입은 불법체류 이민자를 체포하거나 추방하지 않기로 했다. 연방이민국은 범죄 피해를 당했거나 범죄 현장 목격자인 불체 이민자를 체포하거나 기소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새 ...
    Date2021.08.13 Views5616
    Read More
  8. 랜드로드들, 퇴거유예 연장 취소 소송 제기…연방의회의 승인 주장

    바이든 대통령이 세입자 퇴거유예조처를 행정명령으로 연장한 데 대한 소송이 제기됐다. 앨리배마주와 조지아주의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 지부는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 퇴거유예조처 연장을 취소해달라는 취지의 긴급신청을 제기했다. 이 지부 단체들...
    Date2021.08.07 Views6001
    Read More
  9. 성추행 조사 발표 후 쿠오모 뉴욕주지사 탄핵 추진 가속도

    뉴욕주하원 탄핵조사 완료…이미 과반수 넘어…주상원은 두달 후 탄핵 예정 표결 전·현직 보좌관 등 11명의 여성들을 성추행한 사실이 검찰 조사결과 확인되자 쿠오모 뉴욕주지사에 대한 탄핵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뉴욕주하원 법사위원...
    Date2021.08.07 Views5564
    Read More
  10. 머피 주지사, 교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오는 가을학기부터 모든 뉴저지 내 공립학교내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가 오는 가을학기부터 뉴저지내 모든 공립 및 사립, 종교 관련 학교 등 모든 학교의 재학생, 교직원, 학교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한다고 밝혔다. 이 마스크 착용 의무...
    Date2021.08.07 Views5970
    Read More
  11. 네이비실(해군특공대) 탈락에 열받은 美수병, 12억불 상륙함에 불질러

    개조 작업 중에 불이 난 강습상륙함 본험 리처드함에 소방선들이 물을 뿌리고 있다./US NAVY 스무 살짜리 미 해군 수병이 해군에 대한 불평과 미 해군 특수부대인 네이비실(Navy SEAL)이 되지 못한데 대한 불만으로 12억 달러짜리 준 항공모함격인 강습상륙함...
    Date2021.08.07 Views6702
    Read More
  12. 코로나 백신 조롱하던 美공화당 간부, 코로나19로 사망

    스콧 애플리. 페이스북 갈무리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마스크 착용에 반대해왔던 미국 텍사스주 공화당 간부가 코로나19에 걸려 사망했다. 텍사스주 공화당 집행위원이자 디킨스 시의원이기도 한 스콧 애플리(45)가 병원에 입원한 지 사흘 만에 코로나19로 숨...
    Date2021.08.07 Views5382
    Read More
  13. 인종차별 당한 테슬라 흑인직원, 100만불 보상 받는다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근무 중 인종차별을 당했다고 주장한 전 직원에게 100만 달러에 달하는 거액의 보상금을 지불한 사실이 알려졌다. 그동안 테슬라는 인종차별은 없었다고 일관해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재에 나선 판사 출신 일레인 러싱은 약...
    Date2021.08.07 Views5441
    Read More
  14. 뉴욕 명물 베슬서 또 사망…14세 소년, 부모 보는 앞에서…영구 폐쇄 검토

    뉴욕의 관광 명소 중 한 곳인 베슬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관람객이 잇따르자 영구 폐쇄 가능성도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터넷 매체 데일리비스트는 베슬 운영사 릴레이티드 컴퍼니의 스테픈 로스 회장이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로스 회장은 "이 ...
    Date2021.08.01 Views4704
    Read More
  15. 美 아시안 대우 만족도 20%나 떨어져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미국내 아시안들이 느끼는 대우에 대한 만족감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 발표에 따르면, 조사 응답자의 46%만이 미국에서의 아시안에 대한 대우에 만족한다고 대답했는데, 이는 백인 대우에 대한 만족도 68%에 비해 20%나 ...
    Date2021.08.01 Views6175
    Read More
  16. 바이든 정부, 무자격 국경 망명 신청자 신속 추방

    바이든 정부가 멕시코 국경에서 망명 신청하는 이민자들에 대한 망명 심사 절차를 신속 처리하지만 망명 자격이 되지 이민자들은 즉시 추방할 계획이다. 백악관 발표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는 망명 심사 담당관에게 각 케이스에 대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전결...
    Date2021.08.01 Views5759
    Read More
  17. 이민 문제 골머리 앓는 미국이 한국에 SOS 친 이유는?

    문대통령 한미 정상회담서 재정 지원 약속…”2500억원으로 기여 늘리겠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중남미 불법 이민자 문제 해결을 위해 동맹국의 도움을 언급하면서 ‘한국’을 언급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지속적...
    Date2021.08.01 Views5646
    Read More
  18. 뉴욕주, 뉴욕시립대(CUNY) 학자금 빚 지원

    영주권자·유학생·드리머도 혜택…재학생·졸업생 5만명 지원 쿠오모 뉴욕주지사가 1억2500만 달러의 예산을 편성, 뉴욕시립대(CUNY) 재학생 5만여 명의 학자금 부채를 탕감해 줄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프로그램 명칭은CUNY Comebac...
    Date2021.08.01 Views5445
    Read More
  19. 미국, 델타변이 확진 심각…매일 4만여명

    2주 전보다2.71배나 급증…입원환자도 50% 늘어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 변이’ 때문에 미국에서 코로나19이 재확산하면서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가 4만명을 넘어섰다. 또 확진자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재확산의 흐름은 또렷한 추...
    Date2021.07.24 Views5840
    Read More
  20. 美코로나 사망자 40% 당뇨병 환자…백신 필수

    미국의 코로나19사망자 중 40%가 당뇨병 환자였다는 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현재까지 60만8000명 이상의 미국인이 사망한 가운데, 24만명 정도가 당뇨병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텍사스대학 연구진들이 수행한 것으로,...
    Date2021.07.24 Views66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