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4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65세이상 파산 25년간 3배로

주택-자녀학자금 대출에 허덕

2050년엔 美노인인구 9천만명

 

Screen Shot 2018-08-12 at 3.15.31 PM.png

 

목수로 일하다가 은퇴한 로런스 세디타 씨(74라스베이거스)는 인생을 마무리하는 고령의 나이지만 요즘은 삶이 고달프다. 자신은 파킨슨병을 앓고 있고 아내는 암 투병 중이다. 소득은 마땅치 않다. 손떨림증을 줄여주는 약값만 한 달에 1100달러가 든다. 2년 전 뉴욕시목수협회에서 갑자기 의료보험 가입 요건을 변경하는 바람에 자격을 잃어 약값이 70달러에서 15.7배로 껑충 뛰었다. 그는 “돈이 없어 석 달간 약을 먹지 못했다. 돈 문제가 삶의 모든 걸 앗아갔다”고 말했다. 신용카드로 생활비를 대며 겨우 버티던 세디타 씨는 결국 6월 파산법원의 문을 두드렸다.

 

세디타 씨처럼 65세 이상 미국 고령자들의 '황혼 파산'이 급증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1945∼1964년 출생)의 은퇴는 늘고 있지만 노인들의 소득은 줄고 부채 부담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는 '고령화되는 미국 파산' 논문을 인용해 인구 1000명당 65∼74세 파산자가 1991년 1.2명에서 2013∼2016년 3.6명으로 늘었다고 전했다. '황혼 파산'이 3배로 급증한 것이다. 미국 파산자 중 65세 이상 비중도 같은 기간 2.1%에서 12.2%로 증가했다. 반면 해당 기간 25∼34세, 35∼44세의 청년과 장년층 파산자는 각각 63.8%, 39.6% 감소했다.

 

집에서 쫓겨나지 않는 최후 선택, 황혼파산

노인들이 황혼 파산을 선택하는 건 살던 집에서 쫓겨나지 않기 위한 최후의 선택이다. 파산 신청이 받아들여지면 신용카드 의료비 등 무담보부채를 탕감 받고 살던 집에 머무르면서 주택대출 등 나머지 담보 대출을 일정 기간 갚아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로버트 로리스 일리노이대 법대 교수는 “은퇴 연령에 가까워진 다음 세대의 파산 신청도 늘면서 파산 신청자의 평균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 주민 셰릴 맥러드 씨(70)는 7년 전 남편과 헤어진 뒤 시간당 8.75달러를 받으며 노인돌봄센터에서 치매환자를 돌보는 일을 했지만 주택대출금조차 밀렸다. 결국 1월에 파산 신청을 하며 두 손을 들었다. 그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이사 왔을 때 왜 많은 노인들이 편의점과 패스트푸드 식당에서 일을 하는지 의아하게 생각했다”며 “은퇴 이후 스스로 생계를 유지할 만큼 벌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

 

은퇴자의 소득, 자산에 빨간불부채 급증

황혼 파산의 급증은 미국 은퇴자의 소득과 자산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걸 보여준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은퇴자의 재취업 문은 좁아졌다. 반면 주택담보 대출, 자녀 학자금 대출 등 거액의 빚을 안고 은퇴하는 사람은 늘고 있다. 빚을 진 60세 이상 가구의 부채 중간값은 2001년 1만8385달러에서 2013년 4만900달러로 불었다. 시애틀의 파산 전문 변호사 마크 스턴 씨는 “20∼30년 전엔 학자금 대출을 갖고 있는 노인 부모들을 본 적이 없었다”며 “요즘은 10만 달러의 자녀 학자금 대출이 있는 노인을 보는 게 이상하지 않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황혼 파산 증가의 원인을 '노화 비용'을 국가나 기업이 아닌 금융 여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전가한 구조적인 변화에서 찾고 있다. 베이비부머 은퇴만으로는 황혼 파산의 급증세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노인 복지수당 수령 67세에서 70세로 연기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에서 노인 사회복지수당 지급 연령은 65세에서 70세로 늦춰졌고, 기업이 운용하던 퇴직연금은 개인들이 각각 투자 책임을 지는 401K 저축으로 대체됐다. 재취업 기회는 줄고 부채 부담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질병과 같은 경제적 충격을 흡수할 '재무적 완충재'가 없어진 것이다.

 

 

미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15년 현재 15%이지만 2050년엔 노인 인구가 약 4분의 1인 88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황혼 파산 등 노인 빈곤 문제도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한국 역시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황혼 파산' 등 노인 빈곤 문제와 노인 일자리 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한국 노년층은 부동산의 자산 비중이 높아 질병 등 비상 상황에서 꺼내 쓸 수 있는 금융 자산도 미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Screen Shot 2018-08-12 at 3.15.39 PM.png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082 트럼프 '의회의 드림법안 지지 서명할 것' 약속 file 2017.09.12 7483
2081 백신맞은 美간호사 털썩…과민 반응 이력 file 2020.12.22 7480
2080 취업 2순위, 3순위 다시 오픈 file 2018.09.15 7480
2079 "이민개혁 안하면 정부 셧다운" file 2018.07.31 7476
2078 트럼프 감세안에 미국, 유럽증시 긍정적으로 반응 file 2017.09.29 7476
2077 워렛 버핏"사무실 있는게 휴식이나 마찬가지" file 2019.05.12 7473
2076 트럼프 정부, 뉴요커에 자동출입국심사 등 '패스트트랙' 중단 file 2020.02.10 7472
2075 변호사 협회 "뉴욕시 모든 초중고 입학시험 폐지" 주장 file 2019.05.27 7472
2074 펜실베니아 주 의회, 타 종교 베려심 부족 2019.04.07 7472
2073 "횡재했어요"…미국교사, 아칸소 공원서 2캐럿 다이아 발견 file 2019.08.06 7472
2072 뉴욕 확진자 수 급증…넉달만에 최다 기록 file 2020.10.06 7471
2071 경찰 총에 맞아 숨진 여성 유족에 2천만불 배상 file 2019.05.27 7471
2070 시민권 인터뷰에서 거짓 진술 드러나 즉시 추방 file 2018.08.18 7470
2069 美법무부 “5년 안된 영주권자 정부복지 이용할 경우 추방” 2019.05.27 7469
2068 美, 40년만에 대만을 국가로 표기 2019.06.15 7467
2067 뉴저지, 고교 등교시간 늦춰지나 file 2019.03.12 7467
2066 LA법원 "커피에 암 경고문 부착" 판결…볶을 때 화학물질 탓 file 2018.04.05 7467
2065 맨하탄 하이라인 근처에 새로운 공원 들어설 예정 file 2018.12.29 7466
2064 뉴욕시의장, 연방하원의원 3명 DACA 시위 체포당해 file 2017.09.22 7466
2063 신규 주택매물 작년보다 3배 늘어 file 2018.06.06 7465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