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코로나19 여파 실직으로 월세 밀려…소수민족-저소득층 사회 약자 타격
한시적 퇴거유예조치 주거난 우려세입자-집주인-금융사 부실 가능성

1.png

 

#1. 북동부 매사추세츠주에 사는 중년 남성은 은행 융자로 집을 구입했고, 여유 공간에 세를 놨다. 그런데 직장을 잃은 데다

세입자에게 받는 월세도 계속 줄어 이중고에 처했다. 자신이 소유한 주택은 은행에서 차압당했고 요즘에는 자신이 살던 집에서도

쫓겨날 위기다.

 
매슈 데즈먼드 프린스턴대 사회학과 교수가 운영하는 ‘저스트셸터’란 웹사이트에는 최근 수년 동안 월세를 내서 보금자리에

쫓겨나야 했던 미국인의 사례가 올라와 있다. 대부분은 세입자들의 딱한 사연으로 구성됐지만 월세를 제때 받아 어려움에

처한 집주인의 이야기도 적지 않다. 집주인에게 돈을 빌려준 금융사 역시 담보가치 하락, 대출 회수 감소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다.



이에 이번 사태가 ‘세입자 월세 미납→집주인 수입 감소→금융사 대출 부실’ 순으로 연쇄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세계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됐던 2007년의 금융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와

슷한 상황이 있다고 우려한다.

각종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는 최대 4000 명이 강제 퇴거 위기에 처했다. 서브프라임 사태 후폭풍이 휘몰아쳤던 2008

2010 주택을 압류당한 미국인은 380 명이었다. 당시보다 훨씬 위기가 닥칠 가능성을 배제할 없는 셈이다.

 

월세 체납은 소수민족, 저소득층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흑인, 아시안, 히스패닉 가구의 월세 체납 비율은 모두 20% 안팎으

높게 형성되고 있지만 백인 가구는 9% 불과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9 당분간 집세를 내지 못하더라도 강제 퇴거 조치를 없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퇴거유예가 세입자에게 잠시 시간을 벌어줬을 월세 자체를 감면해 것은 아니어서 언제든 시한폭탄이 터질 가능성을

배제할 없다.

또한 세입자들이 월세 납부를 위해 다른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면 경제의 3분의 2 차지하는 개인 소비 또한 심각한 타격을

받을 있다. 월세를 제때 받지 못하는 집주인 역시 예전 수준의 소비를 가능성이 적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087 법원이 피고를 찾아가는 뉴욕시 '이동식 법정' 화제 2019.06.10 6465
3086 미주 한인여성이 사상 첫 미국 대사직에 임명됐다 file 2019.12.24 6465
3085 한인 뉴욕시의원 2명이나 탄생됐다 file 2021.07.11 6467
3084 바이든의 백악관, 핵심 7명 전부 여성들 file 2020.12.01 6469
3083 美국무부, 북한 제재위반 신고하면…최고 포상금 5백만불 file 2020.12.08 6471
3082 美 중국인 '원정출산' 알선업자 철퇴 2019.02.03 6474
3081 오바마케어 가입기간 5월 15일까지 연장 file 2021.02.01 6474
3080 지하철서 아시안 남성, 등 떠밀려 선로에 추락 file 2021.05.25 6476
3079 “미국 코로나19 사망자, 9월에 20만명 ” file 2020.06.15 6477
3078 미국 소도시들, 빈부격차 심하다 2019.06.25 6483
3077 강풍으로 나무가 지붕 뚫고 침대위로… file 2021.01.20 6483
3076 봉쇄에 지쳐…미국인들, 멕시코로 코로나 망명 file 2021.01.04 6486
3075 골프스타 미셸 위, NBA '전설' 웨스트 아들과 교제 file 2019.01.29 6487
3074 백신 불신…미국인 40%, 코로나 예방접종 안할 것…답변 file 2020.12.08 6487
3073 역풍맞은 美보건당국의 <실내 No 마스크 허용>…당국 말바꿔 file 2021.05.18 6488
3072 남편이 아내,아들들에 총격…5명 숨져 file 2019.11.20 6489
3071 뉴욕주, 교실 수업시 NO마스크…뉴욕시는 필수 file 2021.06.08 6498
3070 맨해튼에 카지노 설립…재정난으로 죄악세 유혹에 빠진 뉴욕 file 2021.01.29 6502
3069 뉴욕서 폭행당한 61세 중국계… 생계 보태려 빈 캔 줍다 당해 file 2021.04.26 6506
3068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美하원서 한복 선서한 순자씨 file 2021.01.04 6508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