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코로나19 여파 실직으로 월세 밀려…소수민족-저소득층 사회 약자 타격
한시적 퇴거유예조치 주거난 우려세입자-집주인-금융사 부실 가능성

1.png

 

#1. 북동부 매사추세츠주에 사는 중년 남성은 은행 융자로 집을 구입했고, 여유 공간에 세를 놨다. 그런데 직장을 잃은 데다

세입자에게 받는 월세도 계속 줄어 이중고에 처했다. 자신이 소유한 주택은 은행에서 차압당했고 요즘에는 자신이 살던 집에서도

쫓겨날 위기다.

 
매슈 데즈먼드 프린스턴대 사회학과 교수가 운영하는 ‘저스트셸터’란 웹사이트에는 최근 수년 동안 월세를 내서 보금자리에

쫓겨나야 했던 미국인의 사례가 올라와 있다. 대부분은 세입자들의 딱한 사연으로 구성됐지만 월세를 제때 받아 어려움에

처한 집주인의 이야기도 적지 않다. 집주인에게 돈을 빌려준 금융사 역시 담보가치 하락, 대출 회수 감소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다.



이에 이번 사태가 ‘세입자 월세 미납→집주인 수입 감소→금융사 대출 부실’ 순으로 연쇄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세계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됐던 2007년의 금융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와

슷한 상황이 있다고 우려한다.

각종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는 최대 4000 명이 강제 퇴거 위기에 처했다. 서브프라임 사태 후폭풍이 휘몰아쳤던 2008

2010 주택을 압류당한 미국인은 380 명이었다. 당시보다 훨씬 위기가 닥칠 가능성을 배제할 없는 셈이다.

 

월세 체납은 소수민족, 저소득층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흑인, 아시안, 히스패닉 가구의 월세 체납 비율은 모두 20% 안팎으

높게 형성되고 있지만 백인 가구는 9% 불과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9 당분간 집세를 내지 못하더라도 강제 퇴거 조치를 없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퇴거유예가 세입자에게 잠시 시간을 벌어줬을 월세 자체를 감면해 것은 아니어서 언제든 시한폭탄이 터질 가능성을

배제할 없다.

또한 세입자들이 월세 납부를 위해 다른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면 경제의 3분의 2 차지하는 개인 소비 또한 심각한 타격을

받을 있다. 월세를 제때 받지 못하는 집주인 역시 예전 수준의 소비를 가능성이 적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082 15억불 로또 당첨금 여전히 그대로… file 2019.02.19 8392
3081 트럼프, 중서부 한파에 지구 온난화 조롱 file 2019.01.22 8392
3080 Ski Resorts in Vermont (2) file 2018.12.24 8392
3079 뉴욕주상원의장, 항소심서 무죄판결 file 2017.09.29 8392
3078 "美, 북한 공격하지 않을 것…핵무기 보유 알기 때문" file 2017.09.26 8391
3077 '뉴욕-워싱턴 29분' 초고속 열차 현실로, 美정부 구두 승인 file 2017.07.25 8391
3076 중국, 이방카 보좌관 상표권 16개 예비 승인 file 2018.11.13 8388
3075 추방위기 입양한인들 희망 생겨 2018.03.20 8387
3074 TV모방한 불장난으로 대형화재  file 2017.12.05 8387
3073 멕시코 미국 영사관 폭발물 공격 받아 file 2018.12.04 8385
3072 유통공룡 아마존 '제2본사' 버지니아 크리스털시티 유력 2018.11.06 8384
3071 한인학생이 명문대 졸업식 대표연설 file 2019.12.24 8383
3070 뉴욕시 브루클린의 2분기 주택가격, 1년만에 51% 올라 2017.08.27 8383
3069 아마존, 5만명 근무 시애틀에 이어…미국내에 같은 규모의 제2 본부 설립 file 2017.09.08 8381
3068 미국, '북한관광 금지' file 2017.07.23 8381
3067 美, 절대 '참전 영웅' 잊지않는다 file 2018.08.05 8380
3066 이민법원 70만건 적체…첫 심리 최대 5년 걸려 file 2018.06.12 8380
3065 눈물의 미국 시민권 선서식…심금울려 file 2019.10.30 8377
3064 팬스 美부통령, "2020년 대통령 선거 출마 준비? 가짜 뉴스다!" file 2017.08.08 8377
3063 뉴욕데일리뉴스 편집국 절반 감원 file 2018.07.29 8376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