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열풍, 인도에서 K팝 넘어 전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posted Sep 30,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인도 이코노믹타임스 '한류 특집'…"음식, 드라마, 뷰티로 영역 확대"

 

Screen Shot 2018-09-30 at 11.27.55 AM.png

 

인도 일간 이코노믹타임스가 23일 주말판에서 한류 특집 기사를 실었다. 

 

요즘 인도에서는

 

"K-팝, K-드라마, 김치, K-뷰티에 관련된 인도언론들의 보도가 급증하고 있다.

 

또 인도 젊은이들은 한국 문화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인도의 이코노믹타임스는 아시아의 유일한 '한류 불모지'로 꼽히던 인도에서 한국 문화가 여러 분야로 동시에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주말판에서 2개 면에 걸친 특집 기사를 통해 최근 인도에 일고 있는 한류 바람을 집중 조명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인기 그룹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 설정을 베꼈다가 방탄소년단 팬클럽에 혼쭐이 난 한 인도 래퍼의 이야기부터 소개했다.

 

신문은 "이제는 K-팝뿐만 아니라 TV 드라마, 영화, 뷰티 제품, 음식 등도 인도에서 핫한 한국산 수입상품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인도의 한류가 2000년께 동북부 끝에 자리 잡은 작은 주 마니푸르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처음에 시작된 인기 장르는 K-팝이었다.

 

방탄소년단 팬클럽 회원인 수프리야 조시는 "음악은 보편적 언어"라며 "특히 한국 뮤지션은 외모가 훌륭할 뿐만 아니라 춤도 정말 잘 춘다"고 말했다.

 

K-팝의 인기는 K-뷰티 등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 이니스프리가 2013년 뉴델리에 문을 열었을 때는 K-뷰티에 대해 아는 이가 거의 없었다"며 "하지만 이후 5년 동안 이 브랜드 스토어는 14개로 늘었다"고 말했다.

조시는 "K-팝 비디오를 보다 보면 K-뷰티 같은 아이템에 관심을 두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이런 관심은 한국 음식 등으로 더 퍼졌고, 한국 드라마는 그같은 한국 문화의 모든 것을 흡수해 인도에 소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인도에서 최근 한류가 확산하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문화적 동질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인도인도 한국처럼 연장자를 존중하는데 한국 드라마에 그러한 경로사장이 잘 묘사되고 있다는 것이다.  인도에 주재한 한국문화원측은 "인도는 아마 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한류를 경험하고 있는 나라일 것"이라며 "외국 문화에 보수적이던 인도가 이제 한국 문화를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794 문 대통령, 장자연 버닝썬 사건 성역없는 수사 지시 file 2019.03.19
793 문대통령 지지도 급락…40%대 첫 진입 file 2018.09.09
792 문대통령, 고용 안늘면 사표 암시 file 2018.08.21
791 문재인 "한국서 더 많은 일자리를"…이재용 "더 열심히 하겠다" file 2018.07.10
790 문재인 대통령 국정지지도 45% file 2018.12.14
789 문재인 정부 들어서 4년만에 83% 올라…더 멀어진 내 집 마련 꿈 file 2021.04.26
788 문재인 정부 부동상 정책 긍정적으로 서서히 바뀌어 2019.01.11
787 문재인 정부의 반기업 정서? file 2018.07.15
786 문재인정부 5년간 9억 초과 주택 5.6배 증가 file 2022.02.04
785 문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평균 10억 올라 file 2021.11.20
784 문정인 "한미연합훈련 중단, 지금이 적절한 타이밍" file 2018.06.17
783 물컵 던진 조현민 전무, "해외 휴가간다~" file 2018.04.15
782 뮤지컬 '명성황후' 감독 윤호진, 성추행 공식 사과 file 2018.02.27
781 미국, 수입차에 25% 관세폭탄 예고 file 2018.05.29
780 미국·호주·아프리카… 하늘에서 '메이드 인 이스라엘' 내려온다 file 2020.04.13
779 미국내 유일의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공장은? file 2020.02.24
778 미국내 한인은행 중 자산 1,2위는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file 2021.03.23
777 미국내 한인은행들 성장 계속되고 있다 2023.12.01
776 미국대륙보다 큰 한국 골프복 시장 2022.07.09
775 미국산 벽 넘고 1년 새 35% 껑충…<뷰티 디바이스> 폭발 성장 file 2023.06.10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68 Next
/ 6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