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8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수세미.jpg

 

수세미를 교체

 

주방 세제로 인해 수세미 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러한 환경은 오히려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더 많이 제공한다. 수세미에 물기나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으면 세균이 많은 상태로 그릇을 닦게 된다. 수세미의 오염 수치가 변기 안쪽보다 훨씬 많다는 실험 결과도 있어 1일 1회 삶거나 물에 담가 전자레인지에 2분 정도 돌려 깨끗히 말려야 하며 한 달에 한번 수세미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창문을 열고 조리

 

가스레인지 위에 조리를하면 미세먼지가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리를 할때는 창문을 열어 연기나 냄새 등을  환기해야 한다. 

 

실온에서 해동?

 

냉동 상태의 식품을 빠르게 해동하려고 실온에 놔두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식중독균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높아진다. 해동할 음식은 전날 미리 꺼내어 냉장고의 차가운 온도에 천천히 해동해야 한다. 또한, 급하게 조리가 필요하다면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이용해 해동하는 것이 좋다.  비닐을 뜯기가 어렵다면 밀봉이 가능한 지퍼백에 담아둬 차가운 물에 담그고 30~40분 간격으로 물을 갈아주면서 해동하면 된다. 해동한 식품은 세균 번식 위험이 있어 바로 조리해야하며 한 번 해동한 식재료는 재냉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빨지 않는 타월이나 행주

 

주방에 용도 구별 없이 사용하거나 오랫동알 빨지 않아 그대로 방치하는 등 제대로 주방 타월을 관리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생활습관은 식중독을 유발해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을 만든다. 사용한 행주는 매일 10분 이상 끓는 물에 삶아주어야 하고 용도별로 나누어 사용해야 한다. 만약 불편하다고 생각이 든다면 몇 번 빨고 버릴 행주나 타월을 사용해보자.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459 정신 건강에 운동만큼 좋은 이것은? 2022.04.08
458 우울증 아니라도…슬픈 감정도 건강 타격 2022.04.08
457 삶의 질을 높이는 스트레스 대처 방법들 2022.04.15
456 식욕 폭발할 때 이것 먹으면 살 안 쪄 2022.04.15
455 몸에 좋은 아침식사…삶은 감자+달걀 2022.04.15
454 대변보는 습관이 의미하는 건강상태 2022.04.15
453 코로나로 비만 늘어…얼마나 심하길래 2022.04.15
452 50대 여성 피부가 13일만에 20대로 회춘했다 2022.04.15
451 “인터넷이 독서보다 뇌 활동에 더 도움” 2022.04.15
450 커피, 주스는 물처럼 마시면서…물은? 2022.04.22
449 힘든 일 겪은 당신을 위한 마음 돌보는 방법 7가지 2022.04.22
448 아침커피 마시면 안 되는 3가지 이유 2022.04.22
447 하버드대 교수의 20년 커피 연구 결과는? 2022.04.22
446 채소를 더 건강하게, 잘 먹는 방법? file 2022.04.29
445 나이 들어서도 과음하면…치매 징후 2022.04.30
444 봄철의 불청객, 입냄새 관리법은? 2022.04.30
443 힘들지만…50세부터는 대장 내시경 꼭! 2022.05.06
442 다이어트의 적?...착한 탄수화물도 있다 2022.05.06
441 오래된 변비와 치질…대장암이 될까? 2022.05.06
440 아침밥 거르면 정말 건강 나빠지나? 2022.05.06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