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3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이자율 상승, 첫째 원인…주택담보대출 금리 연 5% 육박

 

Screen Shot 2018-10-14 at 12.45.32 PM.png

 

부동산 온라인업체 Zillow.com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내 전체 주택 매물의 14%가 가격을 인하했다. 이는 2016년 말 11.7% 이후 가장 높다. 주택 가격 상승세도 미국 내 35개 대도시권 중 거의 절반에서 정체를 보였다.

 

물론 시장에 따라 차이는 난다. 샌디에이고의 경우 전체 매물 중 20%가 가격을 내렸다. 1 년 전 12%와 비교하면 8% 증가했다. 시애틀의 경우 지난 5~8월 집값이 평균 7만달러나 하락했다.

 

이처럼 미국의 집값 상승이 주춤하고 수요가 줄면서 Buyer's market으로 바뀌고 있다. 그만큼 지금 주택 구입에 나서면 가격을 더 많이 깎을 수 있고, 주택 수리 같은 추가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다. 집값이 최근 3개월새 7만 달러나 하락한 시애틀의 경우 시장에 나온 재고 주택이 2014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1년 전보다 단독주택 매물은 86%나 늘었다. 콘도미니엄 매물은 161 % 증가했다. 그만큼 팔리지 않은 집이 시장에 널려있다는 것이다.

 

미국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존 주택 판매는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5개월 연속 하락이다.

 

이렇게 주택 시장이 차가워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번째는 이자다.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다. 1년 전까지만 해도 4%를 밑돌던 30년 만기 고정 금리가 이제 5%에 육박한다. 지난 10년간 최고치다. 이에 따라 주택 구매자의 이자 부담이 크게 늘었다.

 

또 최근 몇 년간 올라도 너무 오른 집값도 소비자들에게 주택 구매를 꺼리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 주택 시장은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여기에 중국 등과의 관세 전쟁으로 자재값이 상승하면서 건설사들이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직은 주택 시장이 조정기로 완전히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른 시점이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NYT, 트럼프 대통령 캐러밴 막기 위해 군 투입

  2. 애플 CEO "실리콘밸리 기업 개인정보 상업적 이용해"

  3. 아시안 SAT성적 최고 합격률은 최저

  4. 오바마, 클린턴, CNN 뉴욕지국에 폭발물 의심 소포 적발

  5. 중,러 우주패권 노려…팬스 부통령 핵무기 우주 배치 가능성 시사

  6. 사전 투표율 높다…700만명 이상 참여

  7. 미투 운동으로 권력가 201명 낙마.

  8. 미국인 66% 마리화나 합법화 찬성

  9. 오닐 판사, 코스비 1심 재심신청 기각

  10. 미국에서 어린이 신체마비 일으키는 미스터리 희귀병 확산

  11. 뉴욕시 25년만에 총소리 없는 주말

  12. 히스패닉계 장관 출신, 2020년 대선 출마

  13. 11월 6일 美선거, 역사적인 '쩐 전쟁'

  14. 美육군 77만 병력 이끄는 최대규모 사령관에 여성장군 임명

  15. 허리케인 마이클로 인해 F-22 17대 대파

  16. 한국어 능통, 중국 강경파, 美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임명

  17. 남 캘리포니아 렌트비 상승세 꺾일 전망

  18. 뉴욕시 공립학교 학생 10%가 홈리스

  19. "가족 연쇄이민 중단…메릿 이민 추진"

  20. 트럼프, 카쇼지 살해의혹 사우디 두둔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