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Screen Shot 2018-10-28 at 9.14.49 AM.png

 

만약 어린 자녀가 응시할 때 한쪽 눈은 정면을 바라보고 다른 눈은 다른 곳을 보고있다면  사시일 확률이 높다. 이럴 경우 안과에 데려가 전문의와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다. 사시가 아니라하더라도 영유아의 시력 변화는 생겨 놓치기 쉬워 1년에 1회 이상 자녀와 함께 병원을 방문해 안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눈이 안쪽으로 치우치게되면 내사시, 바깥쪽으로 치우치게되면 외사시로 구분한다.

 

사시는 보기에 안 좋기도 하지만 어릴 때 시력발달이 충분히 안되어 최종 시력이 좋지 않다. 한쪽 눈이 돌아가 시간이 길어지면 약시(안경을 쓰고도 시력이 안 나오는 상태) 위험도 커지게 된다. 사시가 있다면 양쪽 눈이 망막에 맺히는 상이 달라지게되어 입체감을 느끼는 데 문제가 생긴다. 증상으로 아이가 피곤해하거나 멍하게 보면 눈이 밖으로 돌아가며 눈을 자주 깜빡이며 비비는 증상을 보인다. 나이가 들면 눈동자가 돌아가는 빈도와 시간이 길어지고, 눈부심이 자주 일어나며 찡그리는 경우 사시를 의심하는 것이 좋다. 

 

사시는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전과 관련이 없으며 뇌에서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신경의 문제로 짐작하고 있다.

 

소아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사시는 간헐 외사시. 가까이 볼 때 눈이 같은 곳을 바라보고 먼 곳을 보거나 멍하게 볼 때 흔히 나타나게 된다. 

 

 

시력은 만 6~8세까지 발달해 사시약시 치료는 늦더라도 초등학교 입학 전에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영아 내사시는 시력에 나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으므로 돌 이전에 수술하는 것이 좋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479 절망감 밀려올 땐…몸을 움직여라 file 2020.01.01
478 젊게 살면서 오래 장수하는 비결 10가지는? 2022.06.24
477 젊어 보이려면 멀리해야 할 4가지 2024.02.17
476 젊어 보이려면 멀리해야 할 4가지 2024.05.10
475 젊은 대장암 환자, 몸에 종양 관련 박테리아가 많다 2024.02.09
474 젊은 대장암 환자, 몸에 종양 관련 박테리아가 많다 2024.05.03
473 젊은 사람들도 깜빡깜빡…뇌 건강 미리 챙겨야 치매 위험 낮춰 file 2019.09.22
472 젊은 세대가 20년 후 100만달러 모으고 은퇴하려면? file 2019.12.03
471 젊은 여성에게 탈모 생기는 이유 file 2017.07.11
470 젊은 위암 환자들의 후회…음식 가려 먹었어야… file 2021.09.10
469 젊은 피 수혈, 회춘 못한다 2019.02.22
468 젊은 한국여성 비만…주범은 술이다 file 2019.09.17
467 젊을 때 귀 혹사하면, 난청 빨리 온다 file 2020.07.03
466 젊을 때 안 나던 냄새....노인 냄새의 비밀은 '피지'에 있다 file 2019.07.27
465 젊을 때 운동, 두뇌에 두고두고 보약 file 2019.10.22
464 점심 식사 후 피해야 할 행동 4가지 file 2021.11.06
463 점점 환자 연령대 낮아지는 목 디스크 조심해야 file 2021.07.31
462 접종 늘리기 위해 모더나 백신 용량 절반만 투여 검토 file 2021.01.04
461 접지른 다리, 올바른 휴식과 운동법 file 2020.02.13
460 정신 건강에 운동만큼 좋은 이것은? 2022.04.08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