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3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연 4만회 지진으로 내진 규정 엄격…다른 주였으면 대참사

 

알래스카.jpg

규모 7.0의 강진으로 도로가 함몰된 알래스카주 와실라 인근 지역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인근에서 지난달 30일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인명피해는 없는것으로 나타타 화제다. 강진 직후엔 규모 5.8의 여진 발생도 이어졌다. 진앙은 주도인 앵커리지에서 12㎞ 떨어진 곳이었다. 알래스카주는 즉각 인구 30만명의 앵커리지 일대에 대피령을 내리고 이곳을 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앵커리지 대부분 지역에서 통신과 교통수단 이용이 전면 금지됐다. 지진 발생 초기에 쓰나미(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고, 글렌하이웨이(고속도로) 일부 구간은 통째로 내려앉았다.  

 

알래스카주에서는 연간 4만 차례의 지진이 발생한다.

 

다른 지역의 참사도 떠올릴 만했다. 1994년 LA 북쪽에서 일어난 규모 6.7의 지진이 대표적이다. 이 지진으로 숨진 사람은 72명에 달했다. 당시 지진은 LA와 36㎞ 거리였지만, 이번 지진에서 진앙과 앵커리지의 거리는 12㎞에 불과했다. LA에 비해 이번에 앵커리지엔 3배 이상의 충격이 전해졌어야 했다는 이야기다. 이번 강진은 알래스카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10년 만에 최강 수준이어서 대참사가 우려됐다. 하지만 사망자도 없고, 큰 부상자가 발생했다는 보고도 나오지 않았다. 

 

피해가 작았던 이유는 여러 각도에서 분석될 수 있다. 규모 7.0의 강진에도 진원이 깊었다는 게 ‘운’이었다면, 평소에 내진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한 것은 ‘실력’으로 작용했다. 이번 강진의 진원 깊이는 40.9㎞로 측정됐다. 진원이 매우 깊어 지표면까지 올라오는 동안 지진의 에너지가 많이 분산됐다고 전가들은 분석했다.

 

알래스카주는 한편으로는 강력한 내진 정책의 성과로 설명하고 있다. 빌 워커 알래스카 주지사는 “엄격한 내진 건축 규정이 피해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지질조사국(USGS)의 엘리자베스 코크란은 “다른 지역에서 비슷한 지진이 있었다면 큰 인명 피해가 나왔을 것”이라고 동의했다.

 

알래스카2.jpg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547 고급자동차 시승한 후 도주한 신종 범죄…한인 2인조 체포 file 2019.12.15 7015
1546 8일(일)부터 서머타임…새벽 2시를 3시로 조정해야 file 2020.03.07 7014
1545 산불, 美 최대 와인산지 나파밸리 덮쳐 file 2020.09.28 7013
1544 빌 게이츠, 아내 멀린다와 이혼 file 2021.05.10 7012
1543 한인에 '재키챈' 인종차별… 美스무디킹 매장 2곳 폐쇄 file 2019.06.11 7012
1542 미국 주정부들, 백신 접종 연령 50대로 낮춰…공급 확대 덕분 file 2021.03.09 7011
1541 뉴욕 상인들 인건비 폭탄으로 운영난 가중 file 2019.01.11 7011
1540 "허드슨강 열차 터널공사 시작하라!" file 2020.02.10 7010
1539 뉴욕시 도로변 주차 규정, 6일까지 유예 file 2021.02.02 7007
1538 연방 항소법원,"DACA 드리머들, 거주자학비 적용 못돼" 판결 2019.03.12 7007
1537 뉴욕시립 수영장 8곳, 24일부터 개장 2020.07.24 7006
1536 뉴욕시 공립교 100곳, 코로나 확산 폐쇄 file 2021.01.04 7003
1535 세계 최대시장 미국서 독보적 존재감 file 2020.01.14 7003
1534 오하이오주서 3억7천만불 복권 당첨 file 2019.12.23 7003
1533 캘리포니아대, SAT점수 제출 폐지 검토…고득점 한인 불리 우려 file 2019.10.05 7003
1532 트럼프, 중남미 3개국 원조 중단 지시 file 2019.04.02 7001
1531 맨해튼 근로자 8%만 사무실 복귀…재택 근무가 일상이 된다 file 2020.08.03 7000
1530 존 리우 상원의원, "맨하탄 차이나타운 설 퍼레이드 강행" 논란 file 2020.02.05 6999
1529 타임스 스퀘어에 테슬라 불만 광고 게재 file 2019.05.26 6999
1528 맨해튼 허드슨 야드 공개…맨해튼의 새 명물로 file 2019.03.19 6998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