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연방 법무부, 교도소 관리 소홀히 2개주에 강력 경고

 
뇌물수수, 폭행, 성범죄 저지른 교도관 체포도 급증현상

 

1.png

 

죄수들을 가두고 관리하는 미국의 교도소가 새로운 강력 사건의 온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교도관들이 직무 태만 차원을 넘어

직접 범죄에 가담해 쇠고랑을 차고 죄수가 되는 상황도 잇따르고 있다. 연방 정부가 수사력을 총동원해교도소 범죄척결에

나섰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법무부는 최근  앨라배마주 정부를 상대로 교도소 실태를 개정하라는 취지의 행정 소송을 제기했다. 앨라배마주내 14곳의

남성 교도소·구치소의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내린 조치다.

 

법무부가 밝힌 앨라바마 교도소의 실태는 심각했다. 2018 최소 10, 2019년에도 최소 14명이 동료 죄수들에게 옥중살해당

했다. 올해도 최소 9명이 희생됐다.

 

앨라배마 지역 교도소에서는 2018~2020 280명의 수감자들이 병원 후송 치료가 정도로 심각한 폭행을 당했다. 또한 심각한

것은 남성 수감자 성폭력이 만연했다는 점이다. 앨라배마주 교정당국은 2016 하반기부터 2년간 최소 600건의 수감자

성범죄 사건을 파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가해자가 피해자를 약물에 중독되도록 다음 약값을 갚지 않는 다는 이유 등으로

행한 악질적인 사례도 있었다.

 

법무부는 지난달에는 매사추세츠주의 교도소 15곳에 대한 조사 결과도 발표하고, 역시 수정헌법 8 위반이라고 결론지었

. 차원의 적극적인 개선이 없을 경우 앨라배마처럼 소송을 진행하겠다고 경고했다. 메사추세츠 교도소들의 문제는 급증

하는 자해·자살이다.

 

2018 7월부터 1년간 메사추세츠 지역 교도소들의 수감자들의 비정상적 자해행위가 잇따라 보고됐다. 흉기로 손목 등을

자해 217, 몸에 특정도구를 삽입하는 자해 85, 목을 매다는 자해 77, 유해물질 섭취 34, 질식 시도 17 등이 확인

됐다. 8명이 자살했다.

 

전체 수감자 8700 24%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고, 1년새 7% 증가했다.

 

단위가 아닌 개별 교도관들의 비위 사례도 잇따라 미국 전역에서 적발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형은 뇌물을 수수하고 밀수품

반입을 눈감아주는 것이다.

 

노스캐롤라이나 연방지검은 최근  61 교도관을 기소했다. 그는2년간 교도소에 근무하면서 마리화나, 담배, 대마초 등을

반입했다. 그는 밀수품에 따라 500달러~1200달러씩 받았고 현금은 물론 모바일앱으로도 수금했다.

 

이런경제범죄말고도 직접 수감자들의 신체에 위해를 가한 사례도 부지기수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폭행 아니라 교도관이 여성 재소자와 방문객을 상대로 저지른 성범죄까지 적발되고 있다. 미국 뉴욕남부연방지법은

여성 재소자 성폭행 혐의로 기소된 전직 교도관 콜린 악파란타에게 징역 3 4개월을 선고했다. 그는 2012년부터 2018년까

지위를 남용해 최소 7명의 여성 재소자와 강압적 성관계를 가졌고, 피해자들의 신체를 촬영한 사진을 유출한 것으로 조사

됐다.

 

뉴욕남부연방지검은 여성 방문객을 협박해 강제로 성관계를 가진 뉴욕시의 39 교도관을 기소했다. 그는 지난해 여성 면회

객이 허가되지 않은 품목을 수감자에게 전달한 것을 문제삼아앞으로 면회가 금지되거나 체포될 수도 있다 협박한  

텔로 데려가 강제로 성관계를 가졌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강풍으로 나무가 지붕 뚫고 침대위로…

    잠자던 여성의 겨드랑이에 내리꽂혀 구사일생 KREM2 방송기자 팀 팜 트위터 갈무리 가정집 지붕을 뚫고 들어와 침대에 그대로 내리꽂힌 나무 한 그루. 침대에서 자고 있던 여성은 기적적으로 목숨을 건졌다. KREM2 방송에 따르면 워싱턴주 스포캔 지역을 강타...
    Date2021.01.20 Views6469
    Read More
  2. 우리 집 화장실 쓰지마!...트럼프 장녀 이방카 부부, 경호원들에 4년 갑질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트럼프, 사위 재러드 쿠슈너가 지난 4년간 대통령 가족을 경호하는 백악관 비밀경호국 경호원들의 사저 화장실 사용을 금지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다. 이방카·쿠슈너 부부의 사저는 워싱턴DC 인근에 있는 넓이 약 1...
    Date2021.01.20 Views7661
    Read More
  3. 바이든 내각, 주류가 소수파...장관급 26명 중 백인 남성은 8명

    미국 최고 권력층의 얼굴이 ‘백인 남성’인 시대는 갔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초대 내각 진용의 면면만 봐도 그 사실을 알 수 있다. 부통령과 각 부처 장관 16명, 그리고 백악관 비서실장, 무역대표부 대표를 비롯한 장관급 고위직 인사 10명 등 2...
    Date2021.01.20 Views6675
    Read More
  4. 파우치 소장, 수주내 백신 추가 승인…100일 내 미국내 1억 명 접종 가능”

    미국 최고 감염병 전문가인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추가 승인 계획을 언급했다. 파우치 소장은 NBC방송 인터뷰에서 “1주에서 최대 2주 안에 존슨앤드존슨과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 데이터를 취합해 식 ...
    Date2021.01.20 Views5932
    Read More
  5. 코로나 이겨낸 106살 할머니…장수비결은?

    우유와 위스키…고아였지만 평생 밝은 자세로 생활 영국의 106살 할머니가 코로나를 이겨내고 생일을 맞이해 화제다. 1차 세계대전 당시 태어난 할머니는 이로써 두차례의 세계 대전과 스페인독감 등 두차례의 팬데믹을 모두 거치는 대기록을 세웠다. 할...
    Date2021.01.20 Views6958
    Read More
  6. 양키스 야구카드 한장이 무려 520만달러!

    양키스 전설 미키 맨틀 카드…구매자는 배우 롭 고흐 야구 카드 한 장의 가격이 50억원을 넘는다? 쉽게 상상할 수 없는 일이 현실이 됐다. 메이저리그 홈페이지 ML닷컴은 1952년 발행된 뉴욕 양키스의 미키 맨틀 카드가 520만 달러에 팔렸다고 전했다. ...
    Date2021.01.20 Views6864
    Read More
  7. 반품 아마존, 월마트 등 코로나로 정책변경….반품 안해도 환불해줘안해도 환불해줘

    미국의 유통업계가 코로나19 , 확산이후 ‘반품 없는 환불’을 해주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쇼핑이 급증한 가운데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과 일부 유통업체들 사이에...
    Date2021.01.20 Views7824
    Read More
  8. No Image

    뉴욕시 고교졸업률 사상최고 78.8% 기록

    뉴욕시 고등학생의 졸업률이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뉴욕시 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시 고교생의 전체 졸업률은 78.8%로 전년 보다 1.5% 상승했다. 지난 2014년 이후 10.3%나 증가한 것이다. 2년제 이상 대학 진학률은 62.8%로 역시 최고치를 기록했다. ...
    Date2021.01.20 Views6529
    Read More
  9. 생존 희박하면…병원으로 이송하지 말라…미국, 최악지침 내려

    미국에서 코로나 확산세가 최고 수위로 치달으면서 일부 대도시의 의료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다. 미국은 최근 하루 입원 환자 수 가 총 13만명을 돌파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연말 연휴 때 인구 이동과 모임의 여파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캘리포니...
    Date2021.01.12 Views6544
    Read More
  10. 줄리아니 전 시장, 뉴욕변호사협회서 쫓겨날 가능성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변호사로서 근거 없는 '선거 부정' 의혹을 앞장서 제기해온 루디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이 뉴욕주 변호사협회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했다. 뉴욕주 변협은 줄리아니 전 시장의 회원 자격 취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Date2021.01.12 Views7931
    Read More
  11. 뉴욕주민, 강제퇴거 유예 종료시 4명 중 1명 퇴거위기

    뉴욕주의 주택 강제퇴거 유예규정이 종료될 경우 4명 중 1명은 렌트비를 못내 쫒겨날 위기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 뉴욕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23.1%가 임대료 납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욕시의...
    Date2021.01.12 Views6563
    Read More
  12. 뉴욕주, 비상사태시 유틸리티 서비스 중단 못한다

    쿠오모 주지사, 전염병·자연재해로 요금 못내도 서비스 계속 강조 앞으로 뉴욕주에서 전염병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비상사태가 발동된 경우에는 전기나 가스, 수도, 인터넷 등의 요금을 납부하지 못하더라도 서비스를 중단시키지 못할 것으로 예상...
    Date2021.01.12 Views7075
    Read More
  13. 트럼프 재출마 못하게 못박는다

    美하원, 트럼프 탄핵안 발의…내란선동 혐의 미 민주당 연방 하원의원들이 11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했다. 이날 민주당 연방 하원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내란 선동 혐의를 들어 탄핵소추안을 발의했다. 이는 지난 6일 트럼...
    Date2021.01.12 Views6963
    Read More
  14. 건강보험 없으면…신규비자 신청자들 미국 입국 불허

    연방항소법원,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시행 1심 뒤집고 허용 판결 연방 항소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자 건강보험 관련 반 이민 행정명령의 시행을 허용했다. 캘리포니아의 연방 제9순회항소법원은 건강보험이나 병원비 지불 수단이 없는 이민자들의 입국...
    Date2021.01.04 Views7358
    Read More
  15. 봉쇄에 지쳐…미국인들, 멕시코로 코로나 망명

    방역 수준 낮아 각종 축제 열려…멕시코 수도 단순체류자 2배 증가 코로나 봉쇄에 지친 미국 뉴욕, LA 등 대도시 주민들이 이웃 나라 멕시코로 장기 거주를 위해 몰려들고 있다. 특히 멕시코 수도인 멕시코시티가 인기라고 한다.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따...
    Date2021.01.04 Views6483
    Read More
  16. 美 코로나 사망자 36만명 육박...계속 급증세…의료시스템 붕괴 직전

    미국 코로나 누적 사망자가 36만 명에 달하고 있다. 입원 환자는 한 달 넘게 10만 명 이상을 기록 중이다. AP통신은 “전문가들은 크리스마스와 새해 가족 모임으로 사망자와 확진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 환자 급증으로 ...
    Date2021.01.04 Views5164
    Read More
  17.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美하원서 한복 선서한 순자씨

    혼혈 연방하원의원…한인의원 4명 중 유일하게 한복입고, 코리안 정체성 드러내 연방 하원의원 메릴린 스트릭랜드(58·한국명 순자)의 한복 취임식 장면. 사진:C-SPAN 미국의 첫 한국계 여성 연방 하원의원인 메릴린 스트릭랜드(58·한국명...
    Date2021.01.04 Views6506
    Read More
  18. No Image

    미국인들, 기독교인으로 살기 힘들다…무교 급증

    미국 종교에 최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무교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불교, 힌두교, 무슬림, 유대교 등 비 기독교 인구가 증가 추세인 반면 백인 기독교인은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
    Date2021.01.04 Views6739
    Read More
  19. 뉴욕시 공립교 100곳, 코로나 확산 폐쇄

    뉴욕시 공립학교 100곳 이상이 코로나 확산으로 폐쇄될 예정이다. 뉴욕시 교육청은 학교 건물 128곳을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학군 단위의 광범위한 폐쇄는 없을 예정이다. 지난 달 뉴욕시 공립학교 대면수업이 일부 재개됐지만, 새해들어 중 고...
    Date2021.01.04 Views7082
    Read More
  20. 백신맞은 美간호사 털썩…과민 반응 이력

    전에도 수차례 쓰러져…백신 자체 문제 아냐 /WTVC 방송화면 미국 테네시주의 간호사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을 맞은 뒤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모습이 생중계됐다. 소셜미디어 에서는 백신 괴담까지 나오며 논란이 일었으나, 전문가들은...
    Date2020.12.22 Views77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