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6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년간 입학시험 폐지…부유층 백인지역 입학우선권도 폐지

뉴욕시 8 명문 고등학교 입학시험은 현행대로 계속 유지

 

1.png

 

 

뉴욕의 흑인과 히스패닉 소수인종 학생들에게 백인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상위권 중학교에 많이 입학할 있는 문이 열렸다.
뉴욕타임스는 내년도 뉴욕시 공립 중학교 신입생 선발 초등학교 성적이나 출석률 등의 자료를 이용한 입학 사정이 중단된다고

도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자체적으로 입학 사정을 시행했던 뉴욕의 공립 중학교는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해야 한다.

 
전체 뉴욕 공립 중학교 입학 사정을 실시했던 학교는 40% 달한다.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탓에 학교들이 정상적으로 시험을 치를 없었고, 이에 따라 객관적인 입학 사정 자료를 제출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는 논리로 추진됐다.

 
그러나 현지 언론은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이 '성적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면 중산층 이상 백인 학생들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사정을 폐지해야 한다' 소수인종의 여론을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추첨으로 중학교 신입생을 선발하는 조치는 일단 더블라지오 시장의 남은 임기인 1년간 시행되지만, 후임 뉴욕 시장의

판단에 따라 계속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뉴욕시는 맨해튼의 부유층 거주지 학교들이 신입생 선발 인근 지역 거주자 자녀에게 입학 우선권을 주는 관행도 내년도

부터 폐지한다.

 
부유층 거주지가 아니더라도 뉴욕에 거주하는 학생이라면 공평하게 추첨을 통해 지역 학교에 입학할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현재 뉴욕시의 8 명문 고등학교가 시행하는 입학시험은 현행대로 유지된다.

 
이들 고등학교는 공립이지만 뉴욕 시청이 아닌 의회의 관할이다.

 
더블라지오 시장은 지난 2018 뉴욕 명문고의 입학시험 폐지를 추진했지만, 뉴욕의 아시아계와 백인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자살 대학생 부모, 온라인 주식 중개 앱 소송

    무료 주식중개앱 로빈후드 때문에 아들이 자살 주식 관련해 자살한 한 20대 청년의 부모가 주식중개앱 ‘Robin Hood’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미국 사회를 큰 충격으로 몰아넣었던 ‘Gamestop’ 사...
    Date2021.02.08 Views7859
    Read More
  2. 딸을 옷장에 숨기고 대신 죽은 엄마의 희생

    딸 성폭행한 외삼촌이 조카 청부살인하려다…모두 체포 딸 대신 숨진 엄마 브리태니 /소셜미디어 미국에서 청부 살인범에게 딸인 척 거짓말을 한 엄마가 딸 대신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살인범들에게 범행을 청부한 사람은 딸을 성폭행했던 외삼촌이...
    Date2021.02.08 Views7400
    Read More
  3. 하버드 한인학생들, 위안부=매춘부 발언한 하버드 교수 강력 규탄

    "한국 학계 자료 전혀 검토 안해…일본서 훈장받은 친일교수…부정확하고 사실 호도 미국 하버드대 한인 학생들이 “일본군 위안부는 공인된 매춘부였다”고 주장한 하버드대 교수를 규탄하는 성명을 냈다. 하버드대 로스쿨 한인 학생회...
    Date2021.02.08 Views6598
    Read More
  4. 뉴욕주 1일까지 200백만회분 백신 접종

    뉴욕주가 코로나19 백신을 200만회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폭설로 인해 코로나19 백신 센터가 1일과 2일 문을 닫았지만 접종을 받지 못한 주민들은 이번 주내로 접종 예약을 다시 변경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쿠오...
    Date2021.02.02 Views5944
    Read More
  5. No Image

    어느 백신이든 중중 코로나 예방에 효과

    코로나19 백신의 효능 차이가 일부 있지만, 화이자, 모더나, 존슨&존슨 백신 모두 코로나로 인한 중증 질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더나, 화이자, 존슨 앤 존슨 등 어떤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지 궁금증이 높아지자 전염병 전문가들은 중...
    Date2021.02.02 Views6531
    Read More
  6. 뉴욕시 도로변 주차 규정, 6일까지 유예

    이틀간 계속된 폭설로 인해 뉴욕시정부는 오는 6일까지 ‘요일별 도로변 교대주차 규정’(alternate side parking)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뉴욕시는 “시 도로변에 주차해놓은 차량은 옮기지 않아도 되지만, 이 기간동안 주차 미터기의 운영은 ...
    Date2021.02.02 Views7030
    Read More
  7. No Image

    美, 해외 이민 및 취업비자 발급 재개

    바이든 대통령, 이민개혁 행정명령에 2일 서명 바이든 대통령이 2일 이민 시스템 현대화를 골자로 한 이민개혁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가혹한 이민자 가족 분리정책으로 헤어진 난민 가족들의 조속한 재상봉과 국경 출입국 ...
    Date2021.02.02 Views6121
    Read More
  8. 뉴욕시, 작년 신규 건설활동 10년만에 최저

    코로나 여파 심각...새 정부의 과감한 인프라 투자 주목 2020년 뉴욕시의 건설 활동이 약 10년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도시 전체 신축공사 건수는 4267만 평방피트(약 119만평)로, 2019년 대비 약 28% 감소했다. 뉴욕시의 주요 건설 프로젝트(30만 평방피...
    Date2021.02.02 Views5316
    Read More
  9. 뉴저지에서 3,320만불 파워볼 잭팟 당첨

    뉴저지에서 3,320만 달러 파워볼 잭팟이 당첨됐다. 뉴저지 복권국은 잭팟이 터진 구체적인 장소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당첨자가 일시불로 당첨금을 수령할 경우 세금을 제외하고 약 2,481만달러를 수령하게 된다. 뉴저지에서는 지난 23일에도 2,320만 달러...
    Date2021.02.01 Views5507
    Read More
  10. 오바마케어 가입기간 5월 15일까지 연장

    뉴저지주정부가 자체 건강보험 거래소를 통한 오바마케어 건강보험의 가입기간을 오는 5월 15일까지 연장했다고 밝혔다. 당초 가입기간 마감은 1월 31일까지였으며, 이를 연장한 것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2021년 공개 가입기간부터 뉴저지 주민들은 주...
    Date2021.02.01 Views6400
    Read More
  11. 차기 공화당 대선주자 펜스, 독자 조직 출범

    탈 트럼프…당분간 자신의 고향 인디애나에서 암중모색 정권 재창출 실패로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함께 일단 '야인'으로 돌아간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이 독자조직 출범 채비에 들어가는 등 정치적 재기를 향한 '홀로서기'에 본격 나선다...
    Date2021.02.01 Views5204
    Read More
  12. 백신 접종도 인종차별주의 확연히 나타나

    뉴욕 접종자 중 백인인구(32%) 48% 접종… 흑인 11% 미국에서 인종에 따라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차이난다는 의심이 통계치로 드러났다. 뉴욕시 현황자료에 따르면 백신을 한 회라도 맞은 18살 이상 거주민은 약 48만7천여명이다. 이들 중 인종이 보...
    Date2021.02.01 Views6311
    Read More
  13. 바이든이 약속한 이민정책 개혁…일주일도 안돼 제동 걸려

    바이든 대통령이 약속한 이민정책 개혁에 벌써부터 제동이 걸렸다. 미국 텍사스주 연방법원은 불법체류자 추방을 100일간 유예해야 한다는 바이든 행정부 조치에 대해 일시 중단 명령을 내렸다. 바이든 대통령이 대대적인 이민정책 개혁을 예고하고 취임 첫날...
    Date2021.02.01 Views5104
    Read More
  14. 美정부, 백신 2천만회분 소재파악 비상

    트럼프 정부 때 운송과정 추적 부실…주먹구구식 관리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 시절 연방정부에서 배급한 이후 소재가 불분명해진 신코로나19 백신의 행방을 파악하느라 골머리를 겪고 있다. 트럼프 전 행정부가 연방정부를 떠난 백신의 운송...
    Date2021.02.01 Views6547
    Read More
  15. 9·11 영웅 줄리아니의 추락...13억불 피소당하고, 정체불명 영양제 장사

    지난 20~30년간 국민적 영웅으로 인기를 누렸던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의 말년은 거의 ‘추락’에 가깝다. 그는 최근 미 전자개표기 회사 도미니언으로부터 13억달러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당했다. 그는 11월 대선 이후 “도미니언 개표기는 ...
    Date2021.02.01 Views4885
    Read More
  16. 美의회가 북한 전단금지법 벼르자... 한국정부, 월3만불 로비스트 고용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앞서 우리 정부가 에드 로이스 전 하원 외교위원장 등 거물급 미국 정치인들을 한국 이익을 대변할 로비스트로 선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법무부 공시에 따르면, 주미 한국대사관은 최근 콜로라도주 덴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로펌과 ...
    Date2021.02.01 Views5743
    Read More
  17. 전 KGB요원, 트럼프는 러시아가 40년간 키운 인물...심적으로 취약

    러시아 정보기관 KGB 출신 스파이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 대해 “러시아가 40년 가까이 공들여 키운 자산”이라고 표현했다. 트럼프가 러시아의 레이더망에 포착된 것은 1977년 트럼프가 체코 출신 모델인 이바나와 결혼했을 때였다. KG...
    Date2021.02.01 Views5400
    Read More
  18. 美 목회자 절반, 음모론 확산하는 성도들 자주 목격

    미국 교회 목회자 2명 중 1명은 성도들이 음모론(가짜 뉴스)을 확산하는 것을 직접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 여론조사 기관 라이프웨이리서치는 목회자 10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도들이 음모론을 확산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는가’라...
    Date2021.02.01 Views5474
    Read More
  19. 하버드, 최우수대학 4년 연속 1위 등극

    학생성취, 학습환경, 졸업생 연봉 등 종합평가 월스트릿저널(WSJ)과 대학평가기관 타임스 고등교육(THE)이 함께 실시한 2021년 미 최우수 대학평가에서 아이비리그 최고 명문 하버드 대가 4년 연속 1위에 올랐다. 공립대학 순위에서는 지난해 1위였던 UCLA가 ...
    Date2021.02.01 Views7717
    Read More
  20. 615억 내고 우주여행 떠나는 주인공은 누구?

    美 액시엄스페이스, 민간 우주여행객 3명 공개 국제우주정거장에 연결된 액시엄스페이스 모듈 (사진=엑시엄스페이스) 사상 최초로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여행을 떠나는 민간인들이 정해졌다. 내년 1월 사상 최초로 ISS로 떠나는 민간인은 미국 기업가, 캐...
    Date2021.02.01 Views53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