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7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한국 김, 5천여 월마트에서 판매
발상의 전환…스낵,간식으로 변신
 

한국 김.png

 

5000여개에 달하는 미국 내 모든 월마트에 오는 9월부터 한국산 김으로 만든 스낵이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이 스낵들은 충남 보령과 전남 장흥 앞바다에서 양식한 김을 보령과 미국의 공장에서 가공했다. 2015년 스타벅스의 미국 내 800여개 매장에 ‘오션스헤일로’ 브랜드 김 스낵을 선보인 한인 식품 회사 뉴프런티어푸드가 만든다. 조미김 등을 포함해 모두 12가지다. 초콜릿과 김을 겹겹이 붙여서 만든 ‘초콜릿 스트립스’가 인기 상품이다. 
이 회사 이신형(45) 대표는 “연간 100억~200억원 정도의 매출을 기대한다”면서 “김 스낵의 성공 가능성을 본 월마트에서 먼저 대규모 납품을 제의해왔다”고 말했다.
밥반찬으로만 생각했던 김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스낵으로 변신하고 있다. 이런 환골탈태와 함께 김이 최고의 수출 효자 품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농수산식품 수출 순위에서 10위에 그쳤던 김은 올해는 2위로 급부상했을만큼 주력 수출품이 됐다. 지난해 3위였는데, 2위였던 참치를 제칠 기세다. 5년전부터 이미 라면(5위), 인삼(9위)을 크게 앞섰다.
올 상반기 김이 우리나라 수산물의 대표 상품인 참치를 간발의 차이(100만달러)로 따돌리자 수산업계는 술렁였다. 이런 추세라면 1968년을 마지막으로 수산물 수출 1위를 참치에 내줬던 김이 무려 49년 만에 왕좌를 탈환하게 된다. 김 수출액은 지난해 3억53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올해 김 수출이 5억달러를 충분히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에서 밥을 김에 싸먹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뿐이다. 그런데 김 수출국은 90여개국에 이른다. 한국 조미김의 인기가 높은 일본이 최대 수출국이고 미국, 중국, 태국 등에서 많이 팔린다.
김을 ‘블랙 페이퍼(검은 종이)’라고 부르며 먹지 않았던 미국 사람들도 요즘은 김 스낵과 조미김을 간식으로 즐겨 먹는다. 미국에선 김이 포테이토칩보다 칼로리가 낮고 건강에 좋다는 이유로 인기를 끈다.
김이 나지 않는 태국은 우리나라 김을 수입한 뒤 김 스낵을 만들어 수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김을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러시아와 베트남은 급성장하는 시장이다. 올 상반기 수출액이 작년 상반기보다 각각 269.2%, 58.3% 늘었다.
미국.영국.뉴질랜드 등에 김 스낵을 수출하고 있는 CJ제일제당은 시장 다변화의 성공 요인으로 ‘발상의 전환’을 꼽았다. 조미김을 수출하던 이 회사는 2015년 ‘비비고 김 스낵’을 출시하면서 김을 먹지 않는 미주와 유럽까지 시장을 확대했다. 올 상반기 수출액 100억원 중 김 스낵이 52억원이다. 지난해와 올해는 중국.베트남.미국에 현지 생산 공장도 세웠다.
베트남에서는 한류 드라마가 김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베트남에서 점포 13곳을 운영 중인 롯데마트의 윤병수 팀장(베트남사업부)은 “손님 10명 중 5~6명은 간식용으로 김을 사 갈 정도”라며 “한국 드라마를 즐겨보는 20.30대 주부들이 주고객”이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김(말린 김) 생산 세계 1위다. 세계 김 생산량의 절반이 우리나라에서 나온다. 지난달에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한국 김이 아시아 표준으로 인정받았다. 
세계 김 시장은 2007년 이후 연평균 20%씩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에서 김을 길러 파는 나라는 한.중.일 3개국 정도다. 이 중에서 내수 시장 위주인 일본은 생산량이 계속 줄고 있고, 중국은 수질이 탁하고 양식.가공 기술이 우리나라보다 떨어진다는 평을 받고 있다. 수출 여력도 충분하다. 국내 수요가 정체돼 있다 보니 매년 45만t 정도의 김을 길러 이 중 절반을 수출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산수출부 장서경 차장은 “김은 생산부터 수출까지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고 대부분 자동화돼 있다”며 “먼바다에 나가 잡는 참치나 오징어와 달리 부가가치와 일자리가 모두 국내에서 발생하는 것도 강점”이라고 했다. 전남.충남 등의 양식장에서 씨를 뿌려 물김을 길러내면 가까운 김 공장(400여개)에서 잘 말려서 마른 김을 만들고, 가공업체(800여개)에서 이를 조미김.스낵 등으로 만들어 수출한다.
요즘엔 김이 수출 상품으로 인기를 끌자 전복을 키우던 어민들이 김으로 품목을 바꾸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다 자라는 데 3~4년이 걸리는 전복과 달리 8개월이면 자라는 데다 손이 덜 가 편하기 때문이다. 1년에 1억5000만원 넘는 소득을 올리는 어민도 많다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전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37 "한국 벤처, 전세계 과학자 1만명과 협업해야…" file
1836 환갑맞은 한국의 CEO들, 또 다른 도전에 나서다 file
1835 "10대의 꿈이 공무원인 나라는 미래가 어둡다" file
1834 잇단 '거품' 경고에도…미국주식 계속 오르는 5가지 이유 file
» 무한변신 김, 수출&생산 1위 file
1832 돼지장기의 인간 이식시대 개막 美 연구팀, 돼지 유전자 편집 성공 file
1831 맥도날드, 중국 중소도시로…5년내 중국매장 4500개 확대 file
1830 '가우디' 배삼준대표가 정부와 10년째 싸우는 이유는? file
1829 뉴원원 회장, 중국에서 창업돕는 비즈니스로 상장 file
1828 "샐러리맨은 더이상 싫어서…" file
1827 美실리콘밸리 기업학교 Y Combinator file
1826 '편의점 왕국'에 등극한 한국…주인들은 한숨만 file
1825 구글이 300억불에 인수하려던 스냅챗, 새 먹거리 모색 기업가치 180억불… 회사 생존 위해 '드론 촬영' 선택 file
1824 美소비자 카드빚 1조달러 돌파…"은행들이 신용카드 늘린 탓" file
1823 신세계 대구점 부상…토착백화점들은 운영난 file
1822 '잠재 탈모인구' 20~30대 공략하는 가발업체 하이모 작년 여성 고객수 44% 늘어... '하이모 레이디' 백화점도 입점 file
1821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6개월 보수 140억원
1820 금화 한개가 35만불?...희귀동전 투자열풍 file
1819 달러 줄이는 미국…자산축소는 어떤 충격 줄까? file
1818 월마트, 온라인 강자로 변신했다 온라인 매출 63% 급증…아마존 이어 2위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5 Next
/ 9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