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0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근감소 생명 위협줄 수 있어... 건강할때 근력운동 해야

KakaoTalk_20190809_183227796.jpg

 

근육은 골격근육, 심장근육, 내장근육 등 다양하다. 심장 근육은 수축을 반복하며 혈액이 온 몸을 돌게 한다. 내장 근육은 위나 대장이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나르게 한 다. 근육은 모두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활동을 한다. 탄수 화물과 지방을 태워 힘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그런데 건강한 사람이라도 40세 이후 매년 근육이 줄어 든다. 심하면 해마다 1%씩 감소하는 사람이 있다. 운동 을 하지 않고 음식 섭취에 문제가 있으면 더욱 감소한다. 운동을 못하고 음식도 제대로 먹지 못한 채 장기간 누 워지내면 근육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근육 감소가 두드 러지는 근감소증까지 오면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골격근육은 몸무게의 4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체내 비중이 높다. 우리 몸은 ‘버팀목’인 골격을 유지하기 위해 수천 개의 근섬유로 구성된 하나의 근육이 서로 연결돼 기 둥 역할을 한다. 그런데 단백질이 점차 사라지면 근육소 모가 증가하면서 몸은 극도로 쇠약해진다. 질병 자체 보 다 근육부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송근암 부산대 의과대학 교수는 “환자라도 움직일 수 있 으면 충분한 영양섭취와 함께 근육운동을 병행해 근육을 키워야 한다. 면역세포인 림프구의 활성을 도모해 면역력 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오래 누워있는 환자에게 병실 복 도를 거닐게 하는 등 몸을 움직일 것을 권장하는 것은 이 런 이유 때문이다. 건강할 때 근력운동을 열심히 해 몸 곳곳에 근육을 비축 해둔 환자는 회복이 빠르다. 하지만 건강한 사람이라도 팔다리 근육이 줄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박원하 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센터 교수는 “근력운동 을 할 때 유산소운동도 같이 해야 운동 효과가 더 좋다”면 서 “유산소운동을 하지 않고 근력운동만 하면 심폐 기능 이 정체돼 운동 효과가 50% 정도에 머물 수 있다”고 했다. 걷기, 달리기, 수영 등 유산소운동은 몸 안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 산소를 이용한 대사 과 정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한다. 격심한 근육의 수축이나 운동을 할 때에는 산소가 충분히 공급돼야 한다. 산소는 혈액 내의 적혈구를 통해 운반된다. 운동 중 산소공급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는 호흡 운동을 왕성하게 해 혈액 중 의 산소농도를 높이고 근육으로 가는 혈액 순환량을 함 께 높여야 한다. 예기치 않은 사고나 질병으로 누구나 환자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병상에서는 근육이 회복 속도를 가를 수 있다. 환 자가 되기 전 근육이 탄탄했던 사람은 부작용이 적고 퇴 원도 빠른 경우가 많다. 적절한 양의 육류, 달걀, 콩류 등을 통해 단백질을 충분 히 섭취하고 등산, 계단오르기, 스쿼트, 팔굽혀펴기만 해 도 근육 부족에 시달리는지는 않는다. 돈들이지 않고 집 에서도 할 수 있다. 생명줄인 근육은 건강할 때 저축해놔 야 한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783 암 예방에 좋은 생활습관 7가지 file 2019.09.17
782 젊은 한국여성 비만…주범은 술이다 file 2019.09.17
781 아침먹기 등…생활 속 다이어트 법 file 2019.09.17
780 차를 즐기면 뇌 건강 유지에 도움 file 2019.09.17
779 단순 건망증과 치매를 구분하는 방법 8가지는? file 2019.09.17
778 소득이 높을수록 오래 산다 file 2019.09.15
777 짠 음식 되도록 줄이고, 식후엔 짧게라도 산책해야 file 2019.09.15
776 나이 들수록 살찌는 이유와 대처법 file 2019.09.15
775 심혈관 질환 막는 식사법은? file 2019.09.15
774 1주일에 한두 번은 낮잠을 자라 file 2019.09.15
773 허참, 늙지 않는 동안 비결은 바로 '이것' file 2019.09.15
772 다리 꼬고 앉으면…건강 해치는 이유 3가지 file 2019.09.15
771 “성장호르몬•당뇨약 투여하니 1년만에 신체나이 2.5세 젊어져” file 2019.09.11
770 9월에 환자가 가장 많은 의외의 질환? file 2019.09.06
769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들은 저혈당이 더 무섭다 file 2019.09.06
768 남성과 여성, 심장마비 증상 다르다 file 2019.08.24
767 항생제 과다 사용하면…병원균 내성 높이고 대장암 걸릴 위험도 file 2019.08.24
766 과학자들이 확인한 95세 송해의 건강비결 한가지는? file 2019.08.24
765 한국인에게 전자담배 더 나쁜 이유? file 2019.08.24
764 갑자기 유방에 딱딱한 멍울이 잡히는데…혹시 암? file 2019.08.24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06 Next
/ 10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