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4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슬프면 울어라.png

 

많은 사람들이 슬픔이나 실망을 느끼면 그런 감정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거스르지 않고 받아들이면 장기적으로 심리적 건장에 더 도움이 된다는 논문이 공개됐다. 브래드 포드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팀이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발표한 내용이다.
연구에 따르면 부정적인 감정에 저항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노력하는 사람은 감정을 받아들이는 사람에 비해 몇 달 후 기분 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진은 3차례에 걸쳐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나는 내가 느끼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느껴서는 안 된다고 스스로에게 말한다"와 같이 자신의 감정에 저항하는 정도를 확인하는 질문에 답했다. 연구자들은 설문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에 저항하는 사람보다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받아들이는 참가자가 정신적 웰빙 수준이 더 높음을 확인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모의 구직의 일환으로 심사위원단에게 들려줄 3분짜리 발표를 녹음했다. 참가자에게는 발표를 준비할 2분의 시간이 주어졌고, 각자 자신의 구두와 서면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요청했다. 과제가 끝나고 참가자들은 과제에 대한 느낌을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의 보고에서 과제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려고 했던 참가자들이 부정적인 감정을 받아들인 참가자들에 비해 더 큰 감정적 고통을 느낀 것을 발견했다.
세 번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2주 동안 나쁜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감정을 일기에 남기도록 요청받았다. 6개월 뒤에 참가자들의 심리 평가에서 나쁜 경험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려고 했던 사람은 불안과 우울증과 같은 기분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됐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04Aug
    by
    2017/08/04

    피아노 교육의 중요성과 가르치는 시기

  2. 04Aug
    by
    2017/08/04

    아보카도와 시금치, 뇌 노화 막는다

  3. 08Aug
    by
    2017/08/08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좋은 습관' 만들어주기

  4. 08Aug
    by
    2017/08/08

    아이가 화나게 해도 이성의 끈 놓치지 않는 방법

  5. 12Aug
    by
    2017/08/12

    책을 늘 곁에 둬야 하는 8가지 이유

  6. 12Aug
    by
    2017/08/12

    아이의 트라우마는 실패를 바라보는 부모의 반응 때문

  7. 12Aug
    by
    2017/08/12

    '주말엔 잠을 자고 싶다…특히 금요일 밤에는…

  8. 12Aug
    by
    2017/08/12

    깨끗이 닦아도 생기는 충치가 유전?

  9. 22Aug
    by
    2017/08/22

    혼자 설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

  10. 22Aug
    by
    2017/08/22

    잠 부족한 어린이, 당뇨병 위험 증가

  11. 22Aug
    by
    2017/08/22

    "엄마, 귀가 먹먹해요" 물놀이 후 귀 이상↑

  12. 22Aug
    by
    2017/08/22

    외동도 형제 있는 아이들과 공감능력 비슷

  13. 22Aug
    by 벼룩시장01
    2017/08/22

    "슬프면 울어라!" 나쁜 감정 다스리는 법

  14. 22Aug
    by
    2017/08/22

    노래하기, 파킨슨병 환자에게 유익

  15. 22Aug
    by
    2017/08/22

    소녀시대 '빌보드 월드 앨범'차트 1위

  16. 22Aug
    by
    2017/08/22

    약도 복용 시간이 따로 있다?

  17. 27Aug
    by
    2017/08/27

    기발한 아이디어, 어떻게 하면 떠오를까

  18. 29Aug
    by
    2017/08/29

    명문대생은 다 똑똑하다? 진정한 똑똑함의 의미

  19. 29Aug
    by
    2017/08/29

    "익숙한 곳에서 벗어나라" 자신감 향상시키는 습관

  20. 29Aug
    by
    2017/08/29

    식습관 바꾸는 것만으로도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