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상승 욕망, 쉼 없이 자극…“루이비통 램프” 두드리다

by 벼룩시장 posted Sep 10, 2019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델핀_아르노9.jpg

 

 

신분상승 욕망쉼 없이 자극…“루이비통 램프” 두드리다

 

35세때 경영난 빠진 ‘디올’ 인수
부동산 사업가서 명품계 구루 반열에
40세때 LVMH 최대주주·회장에
그룹 매출, 30년만에 30배 성장
겐조·지방시 등 70여개 브랜드 소유
1854년 ‘트렁크 메이커’로 거대한 첫발
165년 전통 이으며 “꿈을 파는 상인”명성

 

프랑스의 명품브랜드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Louis Vuitton Moet Henessy)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70)이 블룸버그통신이 추산하는 세계부자순위 ‘억만장자 지수’에서 올해 처음 2위에 올랐다그는 무려 7년 간이나 2위였던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을 한단계 밀어냈다.

아르노 회장은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500위권에 오른 부호 중 재산이 가장 많이 늘었다올들어 재산이 390억 달러( 46590억원)나 증가했다그는 세계부호 1위인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빌게이츠 회장과 함께 재산이 1000억 달러가 넘는 ‘톱3’ 반열에 올랐다아르노 회장은 30여 년간 LVMH그룹 회장을 역임하면서 고속 성장을 이끈 주역이다공격적인 M&A(인수합병)으로 그룹을 불린 그를 혹자는 ‘기업 사냥꾼’이라고 부르지만, LVMH그룹을 70여개 브랜드를 거느린 명품계의 공룡기업으로 키워냈다.

 

▶부동산→명품사업가로…‘공격적인 M&A’ 시작=1987년 코냑과 샴페인으로 유명한 모에헤네시와 루이비통이 합병하면서 설립된 LVMH그룹은 아르노가 그룹 회장 및 최대주주 자리에 오르면서 급성장했다아르노 회장은 1989 LVMH그룹의 지분 24% 18억 달러( 2조원)에 사들이며 인수에 성공했다그는 루이비통 전 회장이던 앙리 라카미에와 손잡고 모에헤네시의 알랭 슈발리에 회장을 몰아낸 뒤앙리 라카미에와 경영권을 놓고 법정다툼까지 벌인 끝에 LVMH그룹 회장직에 올랐다. LVMH 최대주주이자 그룹 회장에 오를 당시 그의 나이는 불과 40세였다.

LVMH그룹은 지난해 매출 468억 유로( 62조원)를 기록, 1년 만에 10% 가량 성장했다순이익은 635000만 유로( 81200억원)로 무려 18%나 성장했다. 1987년 약 15억 유로( 2조원)였던 LVMH그룹 매출은 지난해까지 31년간 30배가 넘게 성장했다.

아르노 회장은 원래 건설·부동산 사업가였다프랑스 북부 산업도시 루베에서 태어나 명문대학인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졸업한 뒤 아버지의 건설회사에 입사했다이곳에서 경영감각을 익힌 그는 부동산 사업에 집중했다.

그가 명품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79년 미국행이 계기가 됐다미국의 택시기사가 프랑스 대통령의 이름을 몰라도 프랑스의 패션브랜드 ‘디올’을 아는 것을 보고 명품의 영향력을 실감했다.

이후 미국에서 5년 간 건설업을 운영했지만 실적은 부진했다아르노 회장은 1984년 파산 직전이었던 크리스찬 디올의 모기업 부삭그룹을 인수하면서명품 패션산업에 본격 발을 딛기 시작했다그는 부삭의 직물부문 및 기저귀 사업을 정리하고직원 8000명 가량을 감원해 2년 만에 회사를 흑자로 전환시켰다.

아르노 회장은 “명품 브랜드의 가치는 새 브랜드 출시보다는 기존 브랜드를 인수하는 것이 시너지가 크다”고 판단했다또 “기업이 더 이상 성장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몰락을 의미한다”며 주요 명품 브랜드 인수에 본격 나섰다.

탄탄한 자금력을 동원해 지방시겐조펜디 등 유명 브랜드를 인수했고메이크업 포에버베네피트 코스메틱 같은 화장품 업체와 태그호이어불가리 등 시계·주얼리 브랜드샤토 디켐 등 주류 브랜드까지 명품 브랜드를 70여 개로 늘렸다세계의 명품시장은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하나의 브랜드를 소유한 뒤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가족회사가 대부분이었지만아르노 회장은 이런 명품업계의 흐름을 바꿔놨다.

 

▶‘꿈을 파는 상인’ vs ‘캐시미어를 두른 늑대’=업계의 마이더스 손으로 유명한 아르노 회장은 ‘냉혹한 사업가’혹은 ‘캐시미어를 두른 늑대’라고 불렸다무차별적인 M&A로 업계 생태계를 어지럽힌다는 비판을 받았고잦은 정리해고로 비난을 받기도 했다.

LVMH그룹이 문어발식 브랜드 확장에도 불구하고 부실경영의 우려를 접고 성장을 이어간 배경에는 아르노 회장 만의 몇가지 원칙이 자리한다아르노 회장은 2000년대 들어 그룹의 수익성이 떨어지자 중앙집권적 경영방식을 지양하고디자이너들의 소신과 창의성을 중시하기 시작했다그는 “훌륭한 인재를 모으는 것이 기업의 생사를 결정한다”며 인재활용에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명품 브랜드들에게는 디자이너가 가장 큰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했다기존의 올드한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신진 디자이너를 대거 영입했다. 1997년에는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를 아티스틱 디렉터로 영입해 루이비통의 여성복 디자인을 맡겼고영국의 신진 디자이너인 존 갈리아노에게는 크리스찬 디올의 디자인을 맡도록 했다칼 라거펠트알렉산더 맥퀸 등이 아르노 회장의 지원 아래 마음껏 능력을 발휘했다.

‘명품의 대중화’를 노린 파격적인 전략도 성장 비결로 꼽힌다.

명품브랜드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소비자의 신분상승 욕구를 자극해 명품을 대중화한다는 것이 그의 전략이다그는 자신을 “꿈을 파는 상인”이라고 불렀고LVMH그룹은 소비자들에게 꿈을 꾸게 한다”고 했다.

아르노 회장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선보여특정 부유층의 전유물로 여겨진 명품을 중산층까지 진입가능하도록 했다기존의 핸드백 보다 저렴한 가격대의 액세서리 제품을 출시해 중산층도 명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했다.

그는 또 “완벽에 가까운 품질을 계속해서 선보인 것이 루이비통의 성공요인”이라고 했다. LVMH의 매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루이비통의 경우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직원들이 수공업으로 제품을 생산한다하지만 ‘M&A의 귀재’인 아르노 회장도 몇 차례 실패를 경험했다.

인수를 추진했던 구찌는 1999년 경쟁사인 PPR(현 케링그룹)에 빼았겼고명품 전문 전자상거래 사이트 ‘이럭셔리닷컴’은 문을 연지 얼마 안돼 문을 닫았다패션계의 아마존을 표방한 ‘부닷컴’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보기도 했다.

 

▶‘트렁크 메이커’→‘명품계 공룡기업’…165년 전통을 잇다=루이비통은 트렁크 메이커였던 루이비통이 1854년 설립한 회사다궁정 황실 상인이자 목가구 제조업자였던 루이비통은 실용성과 참신한 아이디어로 유명세를 얻어 회사를 빠르게 성장시켰다하지만 모조품 문제로 골치를 앓았다.

1896년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모노그램 캔버스’가 탄생했다. 2대 사장인 조르주 비통은 모방 방지를 위해 1892년 세상을 떠난 루이비통의 이니셜인 ‘L’과 ‘V’를 고안하고모노그램 캔버스를 만들어 특허를 취득했다조르주 비통의 아들이자 루이비통 3대 사장인 가스통 루이비통은 과거 트렁크에 집중됐던 상품을 가구주얼리의상 디자인은세공업 등으로 넓혔다.

루이비통은 1970년 회장이자 CEO였던 가스통 루이비통이 사망하자 한차례 흔들렸지만가스통의 사위인 헨리 레카미에가 1977년 사장이 되면서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했다그는 루이비통을 국제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새 유통전략으로 독점적인 유통망 확보에 힘썼다. 1981년 뉴욕의 57번가에 새 판매점을 신설하면서 세계 무대로 확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1984년에는 루이비통을 파리와 뉴욕의 증권거래소에 상장해 기업규모를 끌어올렸다이어 1987년에 탄생한 LVMH그룹은 당시 파리 주식시장에서 여섯번째로 큰 회사가 됐다.

 

루이비통은 1854년 창립 이후 고유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고급 소비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해왔다. 특히 트렁크와 가방은 루이비통을 대표하는 상품이 됐다. 루이비통은 1991년 한국에 공식 진출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99 아들보다 더 유명한 CEO 엄마 메이, 69세에 '커버걸' 공식 모델로 선정     세계적인 전기자동차 제조회사인 테슬라 창업주 일론 머스크의 어머니 메이 머스크가 세계적인 뷰티 브랜드 ‘커버걸... file 2017.09.29
1098 아들 낳을 때까지…인도서 '사라진' 딸들만 6300만명 호적없고, 원치 않는 딸도 2100만명…딸 결혼 때 '지참금 부담'도 이유      2100만명의 원치 않았던 딸과 6300만명의 ‘사라진’ 딸들. 인도 여성 인권의 단면을 보... file 2018.02.02
1097 아동 유튜버 급증…수천만불 버는 아동도 많은데, 돈은 부모가 독차지? 부모가, 재산권 없는 아동 유튜버들의 돈관리…돈벌이, 학대에 무방비 노출 “아기가 너무 예쁘네요. 저희 맞팔(서로 계정을 팔로하는 것)하면서 같... 2023.09.23
1096 아내만 38명, 가족 130여명... ‘세계 최대 가장’ 76세로 사망 ‘세계 최대 가족’의 가장으로 세계 신기록을 갖고 있는 인도인이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일부다처제를 신봉하는 교주인 그는 최소 38명의 아내와 ... file 2021.06.15
1095 아기 북극곰 플라스틱 물어뜯어 아기 북극곰들이 플라스틱을 먹이처럼 뜯어먹는 사진이 공개면서 안타까움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영국 일간신문 더 선 등에 최근 찍힌 이번 아기 북극곰 사진은... file 2018.07.17
1094 쓰촨 대지진서 구조된 ‘경례아기’…대입에서 0.003% 최상위 성적 받아 중국 최고 명문 베이징대 입학 예정…’폐허 속 희망의 상징’ 소년으로 성장 2008년 쓰촨 대지진 당시 군인들에 의해 구조된 3살짜리 아기인 ... file 2023.07.02
1093 쓰지 않는 화장품, 왜 버리세요? 화장품의 3가지 팁 저렴하게 구매한 화장품, 막상 쓸 것 같지만 유행을 타거나 유통기한이 넘어가 버려지는 것들이 많을 것이다. 오래된 화장품, 버리기는 아깝고 쓰지는 못한다면 ... file 2018.06.26
1092 쓰레기양 1위 미국인들, 하루 1인당 453g 음식물 버려 과일 야채 위주 식사할수록 음식물 쓰레기 더 나와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건강한 다이어트 식사를 하는 사람일수록 더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다는 연구결과가... file 2018.04.22
1091 쓰레기 13톤 뒤져 다이아반지 찾아준 청소부들   중국의 한 여성이 잃어버린 고가의 다이아몬드 반지를 쓰레기 처리장에서 겨우 찾아냈다. 당국 위생직원들의 노고가 없었다면, 이 여성의 반지는 소각장으로 ... file 2017.12.22
1090 싸이 '강남스타일', 빌보드 선정 '21세기 위대한 뮤비' 12위 등극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미국 빌보드가 뽑은 '21세기 가장 위대한 뮤직비디오 100' 중 12위로 뽑혔다. ... file 2018.08.05
1089 싱가포르, 전세계 국가경쟁력 '1위' 미국은 2위로 밀려…3위 홍콩, 일본 6위, 한국 13위 싱가포르(사진)가 미국을 밀어내고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이 높은 국가로 선정됐다. 한국도 지난해보다 ... file 2019.10.12
1088 실직·폐업으로 중산층은 무너지는데… 슈퍼카, 명품 쓸어담는 한국과 세계의 부유층 저소득·빈곤층이 늘어나는 동시에 금융·부동산 자산이 있는 이들의 부가 팬데믹 기간 급증하면서 국... file 2021.04.26
1087 신형 아이폰 화면 꺼져 있으면 충전 안돼 아이폰 이용자들 애플에 조치 요구 애플의 신형 아이폰 '아이폰XS'와 '아이폰XS맥스'에서 화면이 꺼져있을 경우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 file 2018.10.09
1086 신임 이탈리아 북한대사 대리 "조성길 딸, 납치 아니다" 김천 대사대리, "혼자 남겨진 딸, 부모 증오…평양서 치료받으며 잘 지내" 작년 11월 북한 귀임을 앞두고 잠적한 조성길 전 이탈리아 북한 대사대리(사진)... file 2019.02.22
1085 신성일 향년 81세의 나이에 별세 영화배우 신성일(본명 강신성일)이 지난 4일 오전 2시 25분 (한국 현지 시간) 폐암으로 향년 81세의 나이에 숨을 거뒀다. 지난해 6월 폐암 3기 판정을 받은 신성... file 2018.11.06
» 신분상승 욕망, 쉼 없이 자극…“루이비통 램프” 두드리다 신분상승 욕망, 쉼 없이 자극…“루이비통 램프” 두드리다 35세때 경영난 빠진 ‘디올’ 인수 부동산 사업가서 명품계 구루 반열에 ... file 2019.09.10
1083 신년에 전세계 5G기기 1억6천만대 에릭슨엘지 보고서…올해 대비 10배 증가 내년 글로벌 5G 시장이 크게 확장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20년 올해보다 10배가량 늘어난 1억6천만대의 5G 기... file 2019.12.23
1082 시진핑 중국 주석, 책임회피 논란 속 우한폐렴 현장 첫 방문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중국 정부를 향한 비판 여론이 커지는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처음으로 우한 폐렴 현장을 공개적으로 찾았다. ... file 2020.02.13
1081 시진핑 주석, 장기 집권 공식화 "주석직 2번 연임 제한 규정 삭제" 제안     중국의 집권 공산당이 시진핑 국가 주석의 임기를 두번까지로 제한한 규정을 철폐하기로 했다. 5년 임기를 두번 연임... file 2018.02.27
1080 시진핑 비하 문구 대만 온라인 게임 중국 퇴출 사과문 발표 했으나 결국 중국시장 제외 한 대만 기업의 온라인게임이 중국 네티즌들의 보이콧 속에 중국시장에서 퇴출됐다. 게임 배경 중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 file 2019.02.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95 Next
/ 9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