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2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AI 활용 ‘퀀트 펀드’ 자산 크게 늘어… ‘감과 배짱’ 더 안통해

026539.jpg

▶ 리언 쿠퍼먼(왼쪽)  존 폴슨(오른쪽)

 

인공지능(AI)의 급부상으로 미국 유명 헤지펀드 창업자들이 잇따라 은퇴하고 있다. AI를 이용한 헤지펀드가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데다 경쟁 격화 및 수수료 인하 압력 등으로 매니저의 ‘감과 배짱’에 의지했던 전통적 펀드 운용 방식이 쇠퇴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1∼3월)와 지난해에 사업을 접은 헤지펀드 수는 870여개이며,  신규로 설정된 펀드 수는 690여개보다 훨씬 많았다. 한때 월가를 주름잡던 펀드들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더 이상 스트레스를 견디기 힘들다. 남은 인생을 주가와 운용 수익률만 보면서 보내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 큰돈을 벌었던 ‘헤지펀드의 제왕’ 존 폴슨조차 최근 “수년 내 패밀리 오피스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위 ‘퀀트 펀드’는 쑥쑥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 퀀트 펀드인 ‘투시그마’는 전체 직원의 60%가 기존 금융 분야 경력이 없는 사람이다. 

대신 수학 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 15명을 포함해 수학 및 AI에 능통한 사람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11년 60억 달러였던 자산 규모도 현재 580억 달러로 9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니혼게이자이는 “AI 펀드의 등장으로 수익률 높은 종목을 잘 고르는 카리스마형 펀드 매니저의 시대가 사라졌다”고 진단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미국 청소년 자살, 3년새 25% 급증…사망 원인 2번째

    디지털 기기, 온라인 세계에 몰입…사회적 고립에 빠지게 돼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미국 청소년들이 최근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 자살방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미 전국적으로 지난 3년간 청소년(15세~19세) 자살률이 인구 10...
    Date2019.10.05 Views8995
    Read More
  2. “하버드대, 아시안계 입학 차별 안했다”

    탈락자들, “역차별”…법원 “소수인종에 가점 부여 정당” 아시아계 학생단체(SFFA)가 2014년 하버드대학을 상대로 “의도적으로 아시아계 지원자를 차별했다”며 제기한 소송에서 연방법원이 대학측 손을 들어줬다. ...
    Date2019.10.05 Views8299
    Read More
  3. 美대학, 이란에 고대 유물 1천여점 반환

    명문 시카고대학, 페르시아 유물 1천783점 돌려줘 미국 시카고대학이 80여년 전 이란 유적지에서 발굴해 온 고대 유물 가운데 1천783점을 반환했다. AP통신은 이란 정부 발표를 인용, 시카고대학 동양학 연구소 학자 2명이 설형문자가 새겨진 점토판과 점토 ...
    Date2019.10.05 Views7991
    Read More
  4. LA통합교육구, K-Pop-한국문화를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

    美 공립학교 최초로 K팝 교과 채택…UC계열 대입 학점 인정도 추진 K팝·한국문화 코스 교과 채택한 학교에 지원금 전달. 사진: LA한국교육원 'K팝·한국문화 코스'가 LA 통합교육구(LAUSD)에서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됐다. LA한국교...
    Date2019.10.05 Views7268
    Read More
  5. 세번째로 큰 시카고 교원노조 5만5천명, 3년만에 또 파업 선언

    미국에서 세 번째 큰 교육구인 시카고 교육청 소속 교원노조가 근로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3년 만에 또다시 파업 결정을 내렸다. 시카고 교원 노조는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과 합의 도출에 실패한 후 "오는 17일 하루, 전면 파업을 단행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Date2019.10.05 Views6623
    Read More
  6. 캘리포니아대, SAT점수 제출 폐지 검토…고득점 한인 불리 우려

    이미 1,000여 대학들, SAT, ACT 성적 요구하지 않아…美 입시 큰 변화 UC버클리, UCLA등 10여개의 명문 대학들이 포함돼 있는 캘리포니아대학(UC)의 이사회가 신입생 입학 지원시 제출하고 있는 SAT나 ACT 성적을 필수항목에서 제외해 선택사항으로 바꾸...
    Date2019.10.05 Views6859
    Read More
  7. 홍콩여성, 롤러블레이드 타고 美 마이애미-LA 횡단

    야니세 호(23)라는 홍콩 출신 여성이 롤러블레이드를 타고 미국을 횡단했다. 야니세 호는 케냐 여학생들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장학금 모금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그녀는 마이애미부터 LA까지 롤러블레이드를 타고 물, 음식, 돈 없이 총 6000마일을 여행했...
    Date2019.10.05 Views7757
    Read More
  8. "로봇이 향후 10년간 미국서 은행 일자리 20만개 없앤다"

    미국 은행업계에서 향후 10년간 20만개의 일자리가 로봇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금융기업들이 기술 부문에 연간 1천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은행 운영비의 절반을 차지하는 인건비 절감으로 이어질 것"이...
    Date2019.10.05 Views6983
    Read More
  9. 트럼프, “이민자 다리에 총 쏴라…뱀·악어 풀어서 이민 막아라”

    뉴욕타임스, 트럼프 대통령의 극단적 반이민 참모회의 내용 공개 CNN 홈페이지 캡처 다리에 총 쏘기, 전기가 흐르고 사람의 살을 뚫을 꼬챙이가 있는 국경장벽, 악어와 뱀으로 가득 찬 참호 등…잔혹영화에 나올 법한 사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
    Date2019.10.05 Views7981
    Read More
  10. ‘의료비 절약…한국가서 아파라’

    LA타임스, 미국 의료제도 문제점 보도 한국의 전국민 단일건강보험, 최고수준 LA타임스가 미국의 터무니없는 의료비 과다 문제를 신랄하게 비판하며, “미국은 한국의 단일 의료보험제도를 배우고, 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한다”고 보도해 주목을 끌...
    Date2019.09.30 Views7892
    Read More
  11. 美이민국 고용 확인서(I-9) 작성 필수

    뉴욕청소업체, 직원들 I-9 작성 안해 110만불 벌금 연방이민국이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직원들의 고용자격 확인서(I-9)를 작성하지 않았다가, 뉴욕의 한 업체가 거액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연방법원이 최근 뉴욕 소재 ‘이매큐클...
    Date2019.09.30 Views8543
    Read More
  12. 팔없이 태어난 美여성이 한쪽 팔을 유리로 만든 이유?

    신체 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 응원을 보내기 위해 '유리 팔을 가진 신데렐라' 코스튬을 직접 제작한 한 미국 여성의 사연이 전해져 감동을 자아내고 있다. NBC 샌디에고 등 외신은 팔을 잃은 한 여성이 신데렐라로 분장하면서 뜻밖의 요소를 더했다고...
    Date2019.09.30 Views8281
    Read More
  13. 역주행 차량에 한인가족 또 참변

    송준희 애틀랜타 전 한인회장 가족 3명 사망 음주운전 전과 상대방 및 동승자 4명도 숨져 애틀란타 한인회장을 역임한 80세 한인과 부인, 그리고 막내 딸 등 3명이 앨라마마주 I-65 프리웨이에서 음주운전을 한 후 역주행을 하던 음주운전 차량에 들이받혀 모...
    Date2019.09.30 Views7237
    Read More
  14. 뉴저지 무기거래상 부부 강덕원, 김주희씨 7,550만불 피소

    한국 해군 통영함 납품비리 관련…방위사업청, 뉴저지법원에 제소 뉴저지에 거주하면서 한국과 군무기 납품업을 해온 한인 부부 강덕원씨와 김주희씨가 한국 해군 통영함 납품비리 관련해 한국정부로부터 7,500만달러 규모의 환수 소송을 당했다. 뉴욕한...
    Date2019.09.30 Views10557
    Read More
  15. LA의 잠자는 노숙촌에 방화사건

    연방,주,시 정부 악화되는 홈리스문제 대처 부심 최근 노숙자(홈리스) 급증 문제가 미국의 큰 이슈가 되면서 연방, 주정부, 시정부 등이 홈리스를 줄이기 위한 대처방안에 고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뉴욕 다음으로 홈리스가 많은 LA의 노숙자 캠프에 방화 사...
    Date2019.09.30 Views8204
    Read More
  16. 미국에서 한류 타고… '한국어능력시험' 인기 높아졌다

    LA 응시생 2배 급증…한국기업체, 한국학교 취업 필요…타인종도 늘어 한국 정부가 인증하는 한국어능력시험 ‘토픽’(TOPIK)이 최근 큰 인기를 모으고 있어 한인 2세들과 미국인들의 응시가 크게 늘고 있다. 꾸준히 응시자가 늘자 한국...
    Date2019.09.30 Views8127
    Read More
  17. “SHSAT 폐지계획 전면 재검토할 것”

    드블라지오 뉴욕시장, 소수계 언론 간담회서 밝혀 빌 드블라지오 뉴욕시장이 그동안 강력하게 추진해왔던 특수목적고등학교 입학시험(SHSAT) 폐지 계획을 전면 재검토할 것이란 입장을 아시안 커뮤니티에 밝혔다. 드블라지오 뉴욕시장은 뉴욕시청에서 열린 소...
    Date2019.09.30 Views8016
    Read More
  18. 미국서 작년에 검열대상 된 책 480권

    美 수정헌법 “음란물 제외하곤 도서금지 못해” ​​​​​​​ 지난해 미국에서 검열을 받거나 '금서' 처분된 책이 480여 권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카고에 본부를 둔 미국 도서관 협회에 따르면 2018년 미 전역의 도서관, 학교, 대학에서 ...
    Date2019.09.30 Views7633
    Read More
  19. 인공지능에 밀려…美헤지펀드 창업자들 퇴진

    AI 활용 ‘퀀트 펀드’ 자산 크게 늘어… ‘감과 배짱’ 더 안통해 ▶ 리언 쿠퍼먼(왼쪽) 존 폴슨(오른쪽) 인공지능(AI)의 급부상으로 미국 유명 헤지펀드 창업자들이 잇따라 은퇴하고 있다. AI를 이용한 헤지펀드가 좋은 성적을 내...
    Date2019.09.30 Views8232
    Read More
  20. “IRS직원 사칭에 속지 마라”

    한인, “IRS다. 벌금내라”…100만불이나 갈취 20대 한인 이지현씨 등 2인조 사기단 체포 지금 벌금 안내면 체포…한인들 피해 우려 IRS를 사칭한 사기단에 의해 겁을 먹고, 순순히 사기단에 돈을 보내는 한인들이 예상보다 많은 것으...
    Date2019.09.25 Views79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