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5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20191005_162448.png

 

뇌혈관에 노폐물이 쌓이면 뇌혈관질환이나 혈관성 치매 등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평소 운동·스트레스 관리 등을 잘 해야 이를 막을 수 있다이와 함께 음식 섭취에도 신경써야 한다.

 

◇동물성지방·트랜스지방이 든 가공식품
기름진 음식도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동물성지방과 트랜스지방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관에 기름기가 생기는데, 이로 인해 뇌혈관이 막히거나 손상돼 뇌가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한다. 오랫동안 뇌에 혈액순환이 잘 안 되면 뇌졸중·치매로 이어진다. 특히 트랜스지방은 혈관 내벽에 염증 물질을 증가시켜 현재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는 식품에 트랜스지방을 사용할 수 없도록 금지하고 있다.

 

◇사탕·아이스크림 등 과도한 당분
탄수화물 급원 식품 외에 당분 자체로 이루어진 음식도 뇌 기능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다. 사탕·초콜릿·아이스크림·음료수 등은 대부분 단순당으로 이루어져 마찬가지로 혈당을 빨리 높인다. 당분이 뇌혈관에 쌓이면서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정제한 흰쌀·밀가루
지나치게 정제한 흰쌀과 밀가루를 과잉 섭취하면 뇌 건강에 해롭다. 이들 식품에는 섬유질 부위가 제거돼 순수한 탄수화물만 남아있는데, 탄수화물은 몸에서 빠르게 당으로 분해돼 혈당을 높인다. 적당량을 먹으면 에너지를 내는 데 도움을 주고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자주 많은 양의 탄수화물을 먹으면 당분을 세포로 옮기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이후에는 당분을 먹어도 뇌세포가 제대로 당을 활용하지 못해 두뇌 활동이 떨어진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839 건강 수명 늘리는 식사 습관은? file 2020.11.10
838 끓어오르는 분노, 유연하게 참는 법 file 2020.11.10
837 낙관적 생각하며 살면 수명 최대 15% 늘어난다…美 연구 결과 file 2020.11.10
836 어릴 때부터 자녀에게 책 읽어주기는 자녀 성공 지름길 file 2020.11.10
835 심장병 예방에 도움주는 견과류는? file 2020.11.17
834 몸의 염증을 줄이는 식품 5가지 file 2020.11.17
833 40대인데…벌써? 노화가 빨라지고 있다는 증상 6가지 file 2020.11.17
832 손가락이 굵어지면 관절염…부으면? file 2020.11.17
831 뼈를 튼튼하게 하는 걷기운동법 4가지 file 2020.11.17
830 머리가 아프세요? 두통 부위를 살펴보면 답이 나옵니다 file 2020.11.17
829 나를 더 영리하게 만드는 식단은? file 2020.11.24
828 심장병 예방하는 작은 습관 5가지 file 2020.11.24
827 빨라지는 뇌의 노화, ‘젊은 뇌’ 유지하는 습관 7가지 file 2020.11.24
826 노인이 되면 아침잠 줄어드는 이유 file 2020.11.25
825 콩나물, 시금치…혈관 지키는 채소 반찬 file 2020.11.25
824 다양한 사회 활동하는 노인, 우울증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 file 2020.11.25
823 빈 속에, 음주 후…고쳐야 할 커피 마시는 습관들 file 2020.11.25
822 사소하지만 간과해서는 안 되는 암 징후들을 기억하라 file 2020.11.30
821 스트레스로 뇌가 손상될 수 있을까? file 2020.11.30
820 스트레스 완화에 좋은 먹거리는? file 2020.11.30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