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9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12606.jpg

 

'건강한 수면'…생체리듬 깨뜨리면 안 돼

주말에는 평소 충분히 못 잔 잠을 보충하려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주말에 잠을 보충하는 방법에도 요령이 필요하다. 

 

하루에 몰아 자지 말고, 금요일도 주의

주말에 잠을 많이 자는 것은 평일에 쌓인 피로를 풀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잠이 부족하면 만성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각종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잠을 보충하면 비만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단, 평소보다 지나치게 많이 자는 것은 좋지 않다. 하루에 몰아서 5시간을 자기보단 이틀에 나눠 각각 2시간 정도를 더 자는 게 좋다. 과도한 수면은 생체리듬을 깨뜨려 다시 평일이 됐을 때, 숙면을 방해할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금요일만 되면 새벽 2~3시에 잠을 자거나, 밤을 새우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우리 몸의 일주기 리듬을 깨뜨릴 수 있다. 리듬이 깨지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권장하는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평균 수면 시간은 몇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수면 시간과 질병의 발생 및 사망률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교수가 100만여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평균 하루 7시간 잠을 잔 경우 사망률이 가장 낮았고, 7시간보다 적게 잘 때와 이보다 많이 잘 때 사망률이 높아졌다. 

잠을 많이 잘 수록 사망률이 높아진 이유는 무엇일까? 수면의 질이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평소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고 해도 낮에 졸리고 피곤함이 풀리지 않으면 수면 상태를 점검해봐야 한다.

 

예민해 잠 못 자면 마그네슘 도움

신경이 예민해 잠을 잘 못 이루는 사람은 밤에 마그네슘을 먹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마그네슘은 수면제만큼은 아니지만,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머릿속 해마에는 기억력 유지와 통증 감지 등의 역할을 하는 'NMDA수용체'라는 것이 있는데, NMDA수용체가 과활성화되면 뇌신경이 흥분되면서 예민해지고 잠을 잘 못 잔다. 마그네슘은 NMDA수용체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해 신경을 이완시키고 잠을 잘 자게 한다. 단, 하루 섭취량(350㎎)은 넘기지 않는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943 "미역, 다시마, 심장질환 위험 낮춘다" file 2019.12.15
942 한두 잔 술도 발암 위험 높아진다 file 2019.12.15
941 집안 환기시키면 세균들이 죽는다 file 2019.12.15
940 자신의 혈관 탄력을 높이려면? file 2019.12.10
939 걷기만 해도 혈압, 혈당 떨어진다…올바른 '걷기 자세'는? file 2019.12.10
938 의사가 안 먹는 음식 1위는 탄산음료 file 2019.12.10
937 체내염증 유발, 또는 완화하는 음식 file 2019.12.10
936 입에 고이는 침 뱉을까, 삼킬까? 2019.12.10
935 당신이 하나님의 말씀을 소중하게 여기는 5가지 신호는? file 2019.12.07
934 나이 60은 제 2의 청년기…70은 황금기라고 믿어라 file 2019.12.07
933 심장에 나쁜 음식 vs 좋은 음식? file 2019.12.07
932 자전거,등산,수영… 유산소 운동이 건강에 독이 될 때 file 2019.12.07
931 "미칠듯한 두통"…뇌동맥류, 혹시 나도? file 2019.12.07
930 연말에…'간 건강' 지키는 음주법은? file 2019.12.07
929 사우나로 살을 뺄 수 있을까? file 2019.12.07
928 자전거 많이 타면 성기능에 문제 생길까? file 2019.12.07
927 립스틱 등 화장품 미생물 오염 심각해 file 2019.12.07
926 젊은 세대가 20년 후 100만달러 모으고 은퇴하려면? file 2019.12.03
925 윗배부터 '울룩불룩' 접히면 위험 file 2019.12.03
924 달걀의 콜레스테롤 걱정하지 말라 file 2019.12.03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06 Next
/ 10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