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6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통증, 호흡 점검해서 운동 강도 조절해야

123101.jpg

 

건강 증진을 위해 운동은 필수다. 그러나 자신의 체력에 맞지 않는 강도로 운동하거나, 잘못된 운동 방법으로 운동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운동이 부르는 질병에 대해 알아본다.

 

▷탈장=복압이 높아지는 운동을 하면 탈장이 생길 수 있다. 탈장은 본래 위치에 있어야 할 장기가 자리를 이탈한 것이다. 탈장은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가 늦어지면 장이 괴사하는 등 응급상황이 생길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운동을 하면 어깨 힘줄이 찢어지는 회전근개파열이 생길 수 있다. 수영할 때 잘 생긴다. 머리 위로 팔을 들었을 때 어깨가 찌릿찌릿하면 의심해볼 수 있다.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을 시도하고 그래도 낫지 않으면 끊어진 힘줄을 다시 연결하는 재건술이 필요할 수 있다.

 

▷햄스트링부상=하체 근력을 키우기 위해 스쿼트를 과도하게 하면 허벅지 뒤쪽 근육이 찢어지는 햄스트링 부상이 생길 수 있다. 햄스트링 부상이 생기면 한동안 운동을 그만하고 찜질이나 물리치료로 근육을 먼저 회복시켜야 한다.

 

▷디스크=허리 근육이 약한 사람이 자전거를 과도하게 타면 허리디스크가 생길 수 있다. 허리 아래쪽에서 통증이 느껴지면 의심해봐야 한다. 허리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플랭크 운동을 권장한다. 자세를 30초~1분간 버티면 된다.

 

▷통증 점검=운동 후 관절 통증을 점검한다. 운동 중이나 운동 후에 관절이 욱신거리는 통증을 느낀다면 해당 운동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관절 통증이든 허벅지 근육이 당기는 근육통이든 48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동을 과도하게 한 것이다.

 

▷호흡 살피기=운동 후 숨이 찬 정도를 살핀다. 운동을 하면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는 등 심장과 폐에 부담이 되지만, 곧 회복된다. 하지만 운동 후 숨이 차거나 답답한 증상이 며칠 동안 계속되면 심장,혈관,폐에 무리가 간 것으로 운동 강도를 줄이는 게 좋다.

 

▷중간 강도로 운동=운동은 중간 강도로 해야 효과를 누리면서 부상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노년층이라면 고강도 운동은 피하자. 중강도의 운동은 땀은 적당히 나고 관절에 통증이 없는 정도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783 고혈압 막아주는 식품 4가지는? file 2021.10.08
1782 고혈압 생긴지 20년… 환자 12%가 뇌졸중, 15% 가 <이 병> 걸린다 2023.06.03
1781 고혈압 치료하면, 치매 위험 낮아져 file 2019.10.19
1780 고혈압 환자들이 약 없이 혈압 낮추는 방법 15가지는? file 2021.04.19
1779 고혈압, 당뇨병 약, 왜 평생 먹으라고 하는 걸까 file 2019.10.30
1778 고혈압을 낮추는 운동 비법 file 2018.09.22
1777 고혈압을 악화시키는 의외의 생활습관 3가지 file 2021.08.06
1776 골다공증 비단 노인만의 문제 아냐 file 2019.05.27
1775 골다공증 없는 노년을 위해…중년 때의 뼈 건강 관리법은? file 2020.08.17
1774 공복해 피해야 하는 음식 2 file 2019.05.12
1773 공원 많아지면 시민의 행복도 상승한다 file 2019.01.17
1772 공포와 우울증…'사회불안장애' file 2019.02.26
» 과도하게 운동하면 화를 부른다 file 2020.01.01
1770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원인과 유형 file 2019.01.27
1769 과식 후 자기 혐오 느끼면 음식중독 2017.06.27
1768 과식했을 때 슬기로운 대처법 5가지 file 2021.05.25
1767 과일 먹지말고 피부에 양보하세요 file 2018.07.10
1766 과일 주스, 설탕 범벅인 줄 알면서도 마신다 file 2021.03.29
1765 과일·야채에 남아있는 찝찝한 잔류농약, 이렇게 씻어보자 file 2018.11.30
1764 과학자들이 확인한 95세 송해의 건강비결 한가지는? file 2019.08.24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06 Next
/ 10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