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서울아산병원…5년후 생존율 72%로 높아져

011801.jpg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 10명 가운데 7명은 완치가 가능하다는 한국 의료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폐암의 경우 수술 이후 5년 이상 생존할 경우, 완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폐암 수술팀은 지난 2002년부터 2016년까지 폐 절제술을 받은 폐암 환자 7500여명의 치료 결과를 5년 단위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생존율은 72%로, 2002∼2006년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 61%보다 크게 향상됐다.

15년간 수술법도 통증이나 감염 위험을 줄이고 폐 기능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향상된 점이 큰 역할을 했다.

가슴에 3∼4㎝ 정도의 구멍 두세개만 뚫어 폐를 절제하는 흉강경 수술을 받은 비율은 2002∼2006년인 2000년대 초반엔 9.7%에서 십년 후인 2012∼2016년 74.5%로 증가했다. 특히 2016년에는 84.4%를 기록했다. 

폐엽의 일부만 잘라내는 폐엽 이하 절제술 비율도 같은 기간 4.3%에서 20%까지 증가했다.

폐는 여러 개의 엽으로 이뤄져 있는데 폐엽 이하 절제술은 암이 생긴 부위를 중심으로 특정 엽의 일부만 잘라내는 최소 절제 수술이다. 

암이 생긴 엽 전체를 들어내는 폐엽 절제술보다 환자의 폐 기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술법 발전과 함께 70세 이상의 고령 수술 환자도 2002년 13.3%에서 2016년 25.3%로 증가했다. 

이런 변화는 기존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보다 방사선 노출량은 20%에 불과하고, 폐암 등 폐 질환 발견율이 최대 10배 높은 흉부 컴퓨터단층촬영(LDCT) 검사가 활성화됐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79 한 해 한국서 5만 2천명이나 발생…'탈장' 아세요? file 2020.03.02
1078 집에 있더라도 간단한 운동 해야 file 2020.03.02
1077 술,약물로 손상된 '간', 어떻게? file 2020.03.02
1076 매일 5분 …엉덩이 골밀도 높아져 file 2020.03.02
1075 '입 냄새', 구강 문제?…"15%는 몸속 질병이 원인" file 2020.03.02
1074 몰랐던 '매운맛'의 긍정적 효과? file 2020.03.02
1073 나이 못 숨기는 목주름?...목주름 줄이는 방법이 있다 file 2020.02.29
1072 윗몸 일으키기, 제대로 하는 법은? file 2020.02.29
1071 경제 스트레스로 생긴 우울증? file 2020.02.29
1070 행복 호르몬을 늘릴 방법 5가지? file 2020.02.29
1069 '전통적 남성성' 강하면, 자살위험 높아 file 2020.02.29
1068 시인 기형도가 젊어서 죽은 이유?…질투병 걸린 사람들의 특징 file 2020.02.25
1067 지방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file 2020.02.25
1066 매일 하던 운동을 잠시 쉬어야 할 때는 언제일까? file 2020.02.25
1065 감기 등 몸에 좋은 생강차 효능 file 2020.02.25
1064 나이가 드니…겨울에 더 간지럽네 file 2020.02.25
1063 '뜨끈한 물'로 샤워? 피부 손상 위험 file 2020.02.25
1062 감기 낫게 하는 백신은 왜 없을까? file 2020.02.25
1061 감기에 걸리면 왜 몸이 추워질까? file 2020.02.25
1060 중년 이후 건강은 '삶의 속도'가 결정, 느리게 사는 법 10가지 file 2020.02.13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