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정규직 줄고 임시직이 일반화된다…평생 8~10개 직업 바꿔 일할 것

2주~2개월 짧은 교육 수요 높아져 대학도 마이크로대학이 대세된다

012514.jpg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Frey·66)는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 '다빈치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프레이는 IBM에서 15년간 기술자와 디자이너로 일한 후 10여 회사를 연쇄 창업한 뒤 1997년 다빈치연구소를 세우고 미래학자로 전향했다. 

그는 "향후 10년간 전 세계 대학의 절반가량이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일자리가 변하면 자연히 교육도 달라져야 하는데, 기존 대학들은 이 변화를 따라오기 쉽지 않을 것이란 논리였다.

그는 또 미래 일자리와 관련, “정규직은 점차 줄어들고, 2개월에서 짧게는 2시간까지 단기 고용해 일을 맡기는 임시직이 대세가 된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앞으로 똑같은 직업이라고 해도 하는 일은 전혀 달라진다. 자동차 디자이너의 예를 들어보자. 지난 120년간 운전대, 가속페달처럼 운전을 위한 기능에 힘을 쏟았다면 앞으로는 운전 대신 차 안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데 많은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교사는 학생을 직접 가르치는 대신 AI 교육 로봇과 한 교실에서 협업하게 된다. 

"2030년에 경제 활동을 시작하는 사람은 평생 8~10개 직업을 바꿔가며 일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매우 구체적인 기술 재교육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3D 프린팅 디자이너, 드론 파일럿이 되는 걸 배우는 거다. 다시 대학으로 돌아가 2년간 공부해 새로 학위를 따는 건 말이 안 된다. 대신 2주~2개월짜리 짧은 교육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아질 것이다. 그런 교육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대학'이 대세가 된다."

그는 저서 '에피파니Z'에서 대학 학위가 '신분의 상징'이었던 시대는 끝났다고 했다. 명문대 학위 하나로 평생을 먹고 살던 시대는 가고, 끊임없는 재교육과 세세하게 개인 능력을 평가하는 '정량화된 자아'의 시대가 온다는 것이다.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은 몇 시간 만에 '벽돌 깨기' 게임 원리를 마스터하고 최고 점수를 내고 있다. AI 교사 로봇 역시 개별 학생에게 맞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교육법을 찾아낼 것이다. 이 학생이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갖는지, 하루 중 언제 가장 학습 효율이 높은지를 속속들이 익히는 거다. 이런 맞춤형 교육법을 적용하면 기존보다 학습 효율이 10배는 높아질 것이다. 2년짜리 학위를 한 달 만에 따는 날이 온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잭 마도 지난달 도쿄포럼에서 "이제 기업 CEO는 최고경영책임자가 아닌 최고교육(Education)책임자가 돼야 한다"고 했다. 

일에 대한 개념이 바뀌는 시대, 교육이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542 ICE, 한인 2명 포함한 105명 불체자 적발 file 2018.12.11 9352
1541 영주권자 군입대 다시 시작 계획 file 2018.12.11 8497
1540 멕시코서 캐러밴 겨냥한 총격사건 file 2018.12.11 9189
1539 연간소득, 증가했으나 지역 편차 여전해 file 2018.12.11 8981
1538 미검찰, 중국 정부 연계 해커 사법처리 발표 예정 file 2018.12.11 7388
1537 시스코, 직원들에 중국여행 자제 메일 보내 file 2018.12.11 7838
1536 美 50개주 중 10개주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 file 2018.12.09 8515
1535 대교 아메리카 홈리스 셸터에 방한용품 전달 file 2018.12.09 7904
1534 중국계 美천재 물리학자 돌연 사망 의혹 file 2018.12.09 9078
1533 6명 사망자 낸 음주운전 여성 종신형 선고 file 2018.12.09 9208
1532 미국 전체인구 32% 과잉부담 계층 file 2018.12.09 10025
1531 4년제 대학 졸업률 55%에 미쳐 file 2018.12.09 8286
1530 맨하탄 2학군 학부모 또한 SHSAT 폐지 반대 file 2018.12.09 8963
1529 뉴저지, '산타 없다' 말한 초등교사 해고 file 2018.12.09 13342
1528 대책없이 이민자 대거 석방…'참상' file 2018.12.09 9234
1527 미국 난민 망명 거부율 높아졌다 file 2018.12.09 9552
1526 '불법체류자 돕기' 형사처벌 못해 file 2018.12.09 8533
1525 불체자 미국 출산자녀 한해 25만명 file 2018.12.09 8600
1524 美최대 지식공유 웹사이트 Quora 해킹 file 2018.12.09 9916
1523 테러단체, 2019년 1월 1일 뉴욕 공격 위협 file 2018.12.09 8789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