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하루 지나도 효과…금연 1주일이 가장 힘들어

020804.jpg

흡연이 몸에 해롭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흡연하면 폐암·방광암·위암·췌장암 등 약 10여 종의 암 발생 위험이 커진다. 환자 90%가 1년 안에 사망하는 췌장암 발생 위험도 금연으로 30% 낮아진다고 알려졌다. 담배를 끊으면 바로 다음 날부터 우리 몸이 회복 과정에 들어선다. 금연 직후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담배를 끊은 지 하루가 지나면 우리의 폐는 흡연으로 생긴 불필요한 점액 등의 흡연 잔해를 청소하기 시작한다. 한 달이 지나면 흡연으로 인한 콜라젠 파괴가 없어 피부의 탄력이 회복된다. 

금연 4주 후에는 몸속 일산화탄소 농도도 비흡연자 수준으로 떨어진다. 흡연자의 일산화탄소 수치는 평균 15PPM 인데, 금연 후 시간이 지나면 2PPM대로 떨어져 비흡연자와 비슷해진다. 두 달 후부터는 각종 암과 뇌졸중•심장마비 등에 걸릴 위험이 줄고, 운동량이 늘어 장기적으로 체중도 감소한다.

한편 금연 시작 후 첫 1주일은 금단증상으로 흡연충동이 가장 심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흡연에 대한 충동은 모든 흡연자가 금연하는 과정에서 겪는 현상으로 몸에서 더는 니코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생겨난다. 흡연충동은 타인이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요인만으로도 발생한다. 자신이 과거 흡연을 했었던 특정 상황이나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도 흡연충동이 든다.

따라서 성공적인 금연을 위해선 순간적인 흡연충동을 적절히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흡연욕구는 대부분 단시간에 사라지기 때문에 흡연에 대한 욕구가 없어질 때까지 가벼운 스트레칭 및 산책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79 성적,가정형편 외에 장학금 혜택 많다…발품을 팔아보자 file 2018.03.20
1078 세계 5대 장수지역, <이 식품> 꼭 먹는다 2023.02.18
1077 세계 각국에서 각광받는 건강식품 '뽕잎' file 2017.12.19
1076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 10 계명 file 2018.04.22
1075 세계보건기구가 뽑은 '세계 7대 불량식품' file 2018.09.11
1074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식단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file 2018.10.16
1073 세계의 위대한 지도자들은 규칙적으로 일기를 썼다 file 2017.10.08
1072 세계적인 중국 피아니스트 랑랑, 한국계 여성과 결혼 file 2019.06.04
1071 세균 하나 용납못해…나도 혹시 강박증? file 2019.03.17
1070 세균과 환경호르몬 범벅… 2023.04.14
1069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올바른 식습관' 지도하기 file 2017.11.07
1068 세상에 100% 순수하게 정상인 사람은 없다 file 2017.11.14
1067 세상은 '모범생'이 아니라 '모험생'이 바꾼다 file 2017.07.23
1066 세수에 관한 잘못된 실수 3가지 file 2020.12.08
1065 세수할 때…잘못하는 실수 3가지 file 2020.12.14
1064 세탁법만 알아도 속옷 수명 늘릴 수 있다 file 2019.01.04
1063 세포 회춘시키는…역노화 기술 개발 file 2020.12.01
1062 섹스가 뇌에 미치는 영향 6가지 2017.06.27
1061 소고기·유제품 속 동물성 지방, 면역세포 항암 능력 높여 2023.11.25
1060 소고기보다 단백질 4배 초건강식품 황태…근육량 키우고 혈관 해독 file 2021.04.06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