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022501.jpg

 

a. 잠을 제대로 못 잤을 때

수면 사이클은 항상 일정한 편이 좋지만 그렇지 못할 땐 전날 수면 상태를 감안해 운동량을 결정해야 한다. 운동 못지않게 수면 역시 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전날 잠이 극도로 부족했다면 운동 대신 잠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피곤한 상태에서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도 어렵다.
수면이 부족한 상태에서 운동으로 체력까지 소모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수치가 높아지고 채내 염증 수치가 올라간다. 부족한 에너지를 음식으로 채우려는 욕구가 생겨 과식할 우려도 있다.
 
b. 탈수 증상이 나타날 때
운동을 하던 중 운동을 중단해야 할 때도 있다. 입안이 마르고 두통이나 현기증이 느껴지는 등의 탈수 증세가 나타날 땐 무조건 운동을 멈춰야 한다.
이는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수분의 상당 부분을 잃었다는 의미로, 전해질 불균형이 일어난다. 운동을 멈추고 수분을 보충한 다음 몸 상태를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물만이 아니라 몸이 필요로 하는 영양성분을 평소 골고루 섭취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영양이 불균형하면 운동을 위한 힘을 내기 어렵다. 건강한 지방, 기름기 없는 단백질, 통곡물 등의 탄수화물 식사로 혈당과 에너지의 적정 수치를 유지해야 꾸준한 운동이 가능하다.
 
c. 과도하게 운동했을 때
고강도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고강도 운동 역시 본인의 체력을 고려한 수준에서 강도를 결정해야 한다. 자신의 체력을 넘어선 오버 트레이닝으로 일어난 근육 조직의 손상은 회복하는데 보다 오랜 시간이 걸린다.
운동을 과도하게 했을 땐 적정 강도의 운동을 했을 때보다 1~2일간 더 휴식 시간을 갖도록 한다. 오버 트레이닝은 부상의 위험을 높인다는 점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충분한 회복 없이 또 다시 운동을 하면 영구적인 손상과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상을 입은 상태에서 부분 운동은 가능하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79 한 해 한국서 5만 2천명이나 발생…'탈장' 아세요? file 2020.03.02
1078 집에 있더라도 간단한 운동 해야 file 2020.03.02
1077 술,약물로 손상된 '간', 어떻게? file 2020.03.02
1076 매일 5분 …엉덩이 골밀도 높아져 file 2020.03.02
1075 '입 냄새', 구강 문제?…"15%는 몸속 질병이 원인" file 2020.03.02
1074 몰랐던 '매운맛'의 긍정적 효과? file 2020.03.02
1073 나이 못 숨기는 목주름?...목주름 줄이는 방법이 있다 file 2020.02.29
1072 윗몸 일으키기, 제대로 하는 법은? file 2020.02.29
1071 경제 스트레스로 생긴 우울증? file 2020.02.29
1070 행복 호르몬을 늘릴 방법 5가지? file 2020.02.29
1069 '전통적 남성성' 강하면, 자살위험 높아 file 2020.02.29
1068 시인 기형도가 젊어서 죽은 이유?…질투병 걸린 사람들의 특징 file 2020.02.25
1067 지방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file 2020.02.25
» 매일 하던 운동을 잠시 쉬어야 할 때는 언제일까? file 2020.02.25
1065 감기 등 몸에 좋은 생강차 효능 file 2020.02.25
1064 나이가 드니…겨울에 더 간지럽네 file 2020.02.25
1063 '뜨끈한 물'로 샤워? 피부 손상 위험 file 2020.02.25
1062 감기 낫게 하는 백신은 왜 없을까? file 2020.02.25
1061 감기에 걸리면 왜 몸이 추워질까? file 2020.02.25
1060 중년 이후 건강은 '삶의 속도'가 결정, 느리게 사는 법 10가지 file 2020.02.13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