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워싱턴포스트, 한국과 미국의 불평등 통계 비교하며 기생충 미국 반향 분석

"한국에선 최상위 1%가 부의 25% 차지하지만 미국에선 더 많은 39% 독식"

20200229_162950.png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의 주요 주제는 한국의 빈부격차다.

그런데 미국에서 이 영화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이런 불평등이 한국보다 미국에서 훨씬 더 심각하기 때문이라고 미국의 유력 매체가 진단했다.

워싱턴포스트는 '기생충은 한국의 불평등을 악몽처럼 그린다. 미국에서의 현실은 훨씬 더 나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같이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 영화와 거기에 담긴 메시지는 미국 관객에게 강하게 울려 퍼졌고,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은 이 영화의 미국 내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며 "여기 미국에서의 불평등은 봉 감독의 한국보다 훨씬, 훨씬 더 심각하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한미 불평등을 비교하기 위해 세계불평등 데이터베이스의 통계를 인용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서 최상위 1%가 나라 전체 부의 25%를 차지하지만, 하위 50%가 소유한 재산은 2%에도 미치지 못한다.

즉, 한국 인구가 100명이라고 가정하면 파이 100조각 중 가장 부유한 1명이 25조각을 차지하고, 하위 50명이 겨우 2조각을 나눠 갖는다는 의미다.

같은 식으로 비유하면 미국의 경우 최고 부자 1명이 가져가는 파이가 39조각으로 한국보다 훨씬 더 많다. 특히 하위 50명의 미국인은 단 한 조각의 파이도 가져가지 못한다. 오히려 이들은 파이를 빚진 상태다. 미국인 하위 50%의 채무 총합은 파이 한 조각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소득 면에서도 한국에서는 상위 1%가 전체 국민소득의 12%를 벌어들이는 반면, 미국인 상위 1%는 국민소득의 20% 이상을 벌어들인다.

한국의 불평등도 심각하지만 그래도 하위 50%가 뭔가 가치 있는 것을 일부라도 보유한 반면, 미국에서는 같은 계층이 말 그대로 땡전 한 푼 없이 순자산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라고 워싱턴포스트는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에서 불평등이 커지는 상황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면서 이는 의회와 부유한 후원자들이 내린 정책 결정의 직접적 결과라고 분석했다. 부유층이 자신의 권력을 이용해 더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도록 규칙을 직접 쓰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한국은 미국과 달리 보편적 보건의료와 노동자 계층을 위한 더 많은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다는 게 큰 차이를 만들어냈다고 신문은 전했다. 미국에 없지만, 한국에는 40주의 육아휴직, 보편적 유아교육, 3살 미만 아이에 대한 육아 보조금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아울러 한국은 미국보다 많은 법인세를 걷고, 상속세와 증여세로 거둬들이는 세입의 GDP 비중이 미국의 4배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런 세입은 올바르게 쓰인다면 불평등을 바로잡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미국도 비슷한 수준의 세금을 거둔다면 부의 재분배 수준이 한국과 비슷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122 오바마 자산 830억원어떻게 벌었을까? 퇴임후 넷플릭스 제작 등 활동 2022.01.21 5186
3121 오바마 생일 기념일, 법정공휴일 지정무산 file 2017.08.08 8094
3120 오바마 부부, 보스턴 인근에 1200만불 주택 구입 file 2019.12.07 8916
3119 오바마 대통령, 헐리웃 스타들도 이 회사의 고객 file 2020.08.24 7074
3118 오미크론으로 전 세계에 항공대란 확산 file 2021.12.27 4953
3117 오미크론 바이러스 우려에도 미 연말 연휴 시즌 1억 1천만명 여행 예상 file 2021.12.18 5513
3116 오리건주 고속도로서 한국 수출용 꼼장어 7천 5백 파운드 쏟아져 file 2017.07.18 9645
3115 오르기만 하는 지구촌 집값…10년 전 금융위기 근접? 2017.08.27 8517
3114 오렌지 카운티 고급 주택단지 모델홈 투어 제공 file 2018.10.30 10558
3113 오닐 판사, 코스비 1심 재심신청 기각 file 2018.10.28 7201
3112 옐런 신임 美재무장관, 금융 제재에 정통…북한, 중국 가차없이 제재예상 file 2020.12.08 6841
3111 예일대서 흑인 여대생 인종차별 file 2018.05.15 8429
3110 예일대 출신…월가 금융인도 홈리스로 전락 file 2019.09.22 8017
3109 예일대 교수, "섬에 있는 연구소에 가자"..여대생들 5명 성폭행 file 2019.08.24 8339
3108 예일대 개교 323년만에 한국학 개설… 고려대와 학술교류 2023.11.25 2075
3107 예일 학부생 14% 시험중 부정행위 경험 file 2019.02.19 8148
3106 예비군 훈련 다녀온 약사 해고 후...美대형병원, 억대 배상금 폭탄 file 2021.05.10 5059
3105 예배 도중 총격으로 아버지 잃은 딸 "범인을 용서합니다" file 2020.01.05 5884
3104 예방위해 마스크를 썼을 뿐인데….美은행은 경찰을 불렀다 file 2020.03.02 7838
3103 영화 작은 아씨들(Little Women) 보스톤서 촬영 중 file 2018.10.16 10517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