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2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앞으로 2주간 더 많은 사망자 나올 것"

김수형 기자 sean@sbs.co.kr

코로나19, 지금 상황이 가장 심각한 나라는 미국입니다. 확진자가 30만 명을 넘었는데 120만 명이 넘는

전 세계 확진자의 4분의 1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움직임을 보면요, 지난달 19일에 1만 명을 넘더니 이렇게 기울기가 가팔라집니다. 8일 만에 1만 명에서

10만 명, 다시 닷새 만에 20만 명, 그리고 사흘 만에 30만 명을 넘었습니다. 그중 가장 심각한 곳이

뉴욕주입니다.

의료 시스템이 붕괴 직전인데 뉴욕에 있는 한 한국계 의사는 9·11 테러 때보다 더한 재난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수형 특파원이 그를 인터뷰했는데요, 리포트 보시고 워싱턴 연결하겠습니다.

이현지 뉴욕 한인의사협회장은 코로나19 사태를 9·11 테러와 비교했습니다. 뉴욕이 받은 충격은

지금이 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현지/뉴욕 한인의사협회장 : 9·11 때도 제가 레지던트 생활을 해서 그때도 경험이 있었는데 그때하고

지금하고 너무 다릅니다. 왜냐하면 그때는 순간적인 쇼크였잖아요. (지금은) 끝이 안 보이니까 더

힘들고, 더 길게 가야 한다고 생각도 들고.] 뉴욕에서 20년 동안 의사 생활을 했지만 난생처음 겪는

상황이라고 말합니다.

[이현지/뉴욕 한인의사협회장 : 병원들이 지금 다 꽉 찼어요. 병상도 차고. 이 코로나 바이러스 하나

가지고 이렇게 환자가 갑자기 많이 증가한 거는 정말 처음 보고요.] 코로나19 사망자가 폭증하면서

장례 치르기도 어려워 시신을 냉동 트럭에 임시 보관하는 일이 미국의 심장 뉴욕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현지/뉴욕 한인의사협회장 : 실제로 그렇습니다. 갑작스럽게 사망하시는 분들이 생겨서 그 시신들을

다 한꺼번에 처리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지역 감염이 워낙 만연해 검사도, 입원도 쉽지 않습니다.

[이현지/뉴욕 한인의사협회장 : 중환자 병원에 입원할 환자들 위주로 지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거의 다 감염됐다고 보고 지금 집에서 그냥 격리하라고 그렇게 시에서 지시했어요.] 쿠오모 주지사는

뉴욕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정점에 도달하기까지 4일에서 8일 정도 남았다고 전망했습니다.

김수형 특파원, 미국이 심상치가 않으니까 트럼프 대통령도 앞으로를 더 비관적으로 바라봤네요? 네,

요즘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브리핑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사흘 만에 확진자가 11만 명이나

폭증했지만 더욱 심각한 건 사망자도 폭증한다는 겁니다. 어제(4일) 하루에만 미국에서 1천400명 넘게

숨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대전의 사망자 수와 비교하며 앞으로 2주간 더 많은 사망자가 나올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트럼프/美 대통령 : 아마도 이번 주와 다음 주는 가장 힘든 주가 될 것입니다. 불행하게도 많은

사망자가 나올 것입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는 훨씬 적은 사망자가 나올

것입니다.]

백악관 보건 당국자는 앞으로 2주는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해 식료품점과 약국까지도 될 수 있으면

가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입장을 바꿔서 마스크를 쓰라고 하고 있는데 쓰는

분위기로 좀 바뀌었나요? 네, 오늘 취재차 식료품점에 가봤는데 거의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쓰고

있어서 놀랐습니다.

상당수 주지사, 시장도 천 마스크를 쓰고 공식 석상에 나오기 시작했고요, 미 공중보건서비스단장은

손수건으로 마스크를 접는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의료용 마스크 공급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만들어 쓰라는 고육지책입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코로나 죽음 문턱서 회복된 美 남성, 치료비 13억 ‘폭탄 청구서’

    치료비 112만달러 폭탄 청구서에 충격 워싱턴주 시애틀에 거주하는 70세 남성 마이클 플로 씨가 코로나19로 62일간 치료를 받은 후 약 112만 달러의 ‘폭탄 청구서’를 받았다고 시애틀타임스 등이 전했다. 워싱턴주 한 병원에 입원한 플로 씨는 한...
    Date2020.06.23 Views7199
    Read More
  2. 흑인 총격 백인 경찰...살인 혐의로 기소

    경관 측 "총격은 정당" 항변 게릿 롤프(왼쪽) 전 경관과 데빈 브로스넌 경관. 지난 12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웬디스 근처에서 흑인 청년 레이샤드 브룩스(27)에게 총을 쏜 경찰이 과실치사 등 11개 혐의로 기소됐다. 롤프는 사건 후 해고됐다. 하워드 검사는...
    Date2020.06.23 Views7335
    Read More
  3. 흑인하녀 얼굴의 팬케이크 로고 퇴출

    130년 역사 로고…흑인노인 엉클 벤스도 퇴출 미국에서 인종 차별 철폐 목소리가 거센 가운데 흑인 여성의 얼굴을 로고로 써온 130년 역사의 팬케이크·시럽 브랜드가 퇴출된다. 식품 대기업 퀘이커는 앤트 제미마 브랜드와 로고를 퇴출하기로 결...
    Date2020.06.23 Views7794
    Read More
  4. 뉴저지 대학 올해 말 대면수업 가능할 듯

    뉴저지주에 있는 대학들이 올해 말이나 되야 대면수업을 재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뉴저지 주정부는“현재 뉴저지 대학들이 지난 3월부터 휴교령으로 문을 닫은 상태이지만 올해 말부터 대면수업을 재개하도록 할 것”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이...
    Date2020.06.23 Views6665
    Read More
  5. 승세 탄 바이든… 지지자 60%는 “트럼프 재선 막기 위해 투표”

    바이든의 존재감 부각과 흑인표 결집이 민주당 대권 좌우한다 3수 끝에 미국 야당 민주당의 대선후보에 오른 조 바이든 전 부통령(78)이 가파른 지지율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지난달 25일 백인 경관의 가혹 행위로 숨진 흑인 조지 플로이드 ...
    Date2020.06.15 Views7938
    Read More
  6. No Image

    중국장교, 미국서 산업스파이 혐의로 체포

    미국에서 수행한 연구 성과를 갖고 중국으로 귀국하려던 중국 인민해방군 장교가 미국 당국에 체포됐다. 다만 산업스파이가 아니라 비자 신청 시 허위 내용을 기재한 혐의다. 미 법무부는 중국 톈진으로 출국하려던 중국인 왕신을 최근 LA 국제공항에서 체포...
    Date2020.06.15 Views7075
    Read More
  7. No Image

    뉴저지주 자택 대피령 해제

    야외 100명, 실내 50명 모임 허용 네일업소 22일부터 영업가능 MVC 워크인 서비스 29일부터 뉴저지주의 자택 대피령(Stay-At-Home Order)이 9일부로 해제됐다.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브리핑에서 “현 시간부로 ...
    Date2020.06.15 Views8431
    Read More
  8. No Image

    테이블당 6피트 간격 유지·최대 8명까지 착석

    ▶ 팰팍 타운정부, 옥외 식당영업 관련 시행 지침 발표 ▶ 옥외 영업 허가 신청 타운정부 웹사이트서 가능 뉴저지주에서 오는 15일부터 식당들의 옥외영업이 허용되는 가운데 팰리세이즈팍 타운정부가 이와 관련된 시행 지침을 발표했다. 팰팍 타운정부에 따르...
    Date2020.06.15 Views7022
    Read More
  9. 뉴저지차량국 대면업무, 29일부터 가능

    코로나 사태로 문을 닫았던 뉴저지 차량국 사무소들이 오는 15일부터 운영을 재개하며, 주민 대면 민원서비스는 29일부터 시작한다. 뉴저지주 차량국에 따르면 오는 29일부터 주민 누구나 차량국 사무소를 방문해 민원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 전까...
    Date2020.06.15 Views6836
    Read More
  10. 美 인종갈등은 제도가 문제인가, 사람이 문제인가… 끊이지 않는 미국의 인종갈등…조지 플로이드로 폭발…해결책은? 사람을 죽여도 경찰은 무죄…흑인에 집중된 교통단속이 비극으로…

    끊이지 않는 미국의 인종갈등…조지 플로이드로 폭발…해결책은? 사람을 죽여도 경찰은 무죄…흑인에 집중된 교통단속이 비극으로… 끊이지 않는 미국의 인종갈등…조지 플로이드로 폭발…해결책은? 사람을 죽여도 경찰...
    Date2020.06.15 Views7288
    Read More
  11. No Image

    폭력 경관 솜방망이 처벌에 소수인종 간 갈등 ‘시한폭탄’

    [위클리 리포트]끊이지 않는 美 인종갈등 왜? 미국이 인종 갈등이란 고질병을 치유하지 못해 신음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위조지폐 사용 혐의로 백인 경찰 데릭 쇼빈(44)의 무릎에 목이 눌려 숨진 미네소타주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씨(46) 사건 이후 미국...
    Date2020.06.15 Views7290
    Read More
  12. “미국 코로나19 사망자, 9월에 20만명 ”

    하버드대 연구진…봉쇄조치 조기 완화 문제 지적 코로나 사태 확진자가 210만명에 달하고, 사망자가 11만 6천명을 넘은 가운데 오는 9월까지 사망자가 현재의 2배 가까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하버드대 국제보건연구소(GHI)는 "확진 사례가...
    Date2020.06.15 Views6238
    Read More
  13. 美시위대가 무릎꿇자 경찰도…서로 마주보고 울었다

    백인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비무장 흑인이 사망한 이른바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역에서 이어지는 가운데, 인종을 넘어선 화해의 손짓이 전 세계에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남동부에 있는 페이엣빌에서...
    Date2020.06.09 Views7291
    Read More
  14. No Image

    뉴욕주 2단계 정상화에 ‘옥외 식당’ 허용

    웨스턴 뉴욕 등 총 7개지역…테이블 간격 6피트 유지· 종업원 마스크 착용 등 조건 뉴욕주내 2단계 경제활동 정상화 지역에서 식당들의 옥외 영업이 허용됐다. 앤드류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3일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조건으...
    Date2020.06.09 Views8474
    Read More
  15. 5G 음모론 미국에 상륙…통신탑 테러 우려 ‘긴장'

    미국 통신 업계가 주말을 앞두고 긴장모드에 돌입했다. 5세대(5G) 통신탑이 테러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미국 통신기반시설공사협회(NATE)는 회원사들에 6일에 ‘글로벌 5G 항의의 날' 활동이 계획돼 있다는 소식을 알렸다. NATE는 통신 인프라 ...
    Date2020.06.09 Views8045
    Read More
  16. SAT ‘홈 버전’ 도입 결국 무산돼

    美 칼리지보드, 인터넷 접속 등 공정성 단정못해 미 대입 수학능력시험 SAT를 주관하는 칼리지보드는 “코로나 사태로 올 가을 도입을 추진했던 SAT 홈 버전 계획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 칼리지보드는 코로나19 비상 상황이 지속돼 올 ...
    Date2020.06.09 Views8746
    Read More
  17. 美경찰, 이번엔 75세 노인 밀쳐 중태…피 흐르는데도 방치

    뉴욕주지사 "정당화할 수 없는 불명예"…경찰 2명 무급 정직 미국 뉴욕주 버팔로에서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인종차별 항의시위를 통제하던 경찰이 75세 남성 노인을 땅바닥에 밀쳐 넘어뜨리는 영상이 공개돼 논란이 일고 ...
    Date2020.06.09 Views5908
    Read More
  18. ‘침묵의 8분 46초’ 美전역 플로이드 추모 물결…트럼프 “軍 복귀시킬 것”

    백인 경찰의 무릎에 눌려 숨진 흑인 조지 플로이드 씨의 추도식이 열린 4일(현지 시간) 미 전역에 8분 46초간 침묵의 추모 물결이 이어졌다. 워싱턴의 시위대에 대응하기 위해 연방군 투입 방침을 밝혔던 트럼프 대통령은 군을 복귀시키 겠다며 한 발 물러섰...
    Date2020.06.09 Views7195
    Read More
  19. 미국 5월 실업률 13.3%..시장 전망 크게 하회

    지난달 미국 고용 지표가 시장에서 예상한 것보다 훨씬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다. 5일(현지 시각) 미 노동부는 5월실업률이 13.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상 최악의 실업률을 기록한 지난 4월(14.7%)보다 1.4%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20% 안팎...
    Date2020.06.09 Views8225
    Read More
  20. 美, 실업수당 신규신청 188만건…감소세 이어질까

    코로나19로 일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4200만명을 넘어섰다. 실업수당을 신청한 규모는 줄어드는 모양새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5월 24~30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188만건을 기록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실업수당 신규 청구 건수는 11...
    Date2020.06.09 Views90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