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6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Picture1.png

 

건강 조건도 성격 형성에 기여한다. 가지 질환과 성격은 다음과 같은 연관성이 있다.
 

1. 갑상선 질환

중앙에 위치한 갑상선(갑상샘)에서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호르몬이 너무 많이 분비되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이 발생하는데,
 
이땐 불안하고 초조한 태도를 보이고 기분 변화가 두드러진다.
 

반면 호르몬이 분비되지 못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으면 감정 기복이 많지 않고 무언가를 쉽게 잊어버리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2.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이 생기면 사고, 판단, 기억력, 의사 결정 등에 변화가 일어난다. 곧잘 혼란을 느끼고 불안해하거나 짜증이 늘기도

.이로 인해 사려 깊고 다정했던 사람이 권위적이고, 다른 사람을 군림시키려는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반대로 이전에 걱정이

쉽게 스트레스를 받는 유형의 사람이 느긋하고 여유로워지기도 한다.
 

3. 치매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치매 유형인 루이소체 치매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덩어리인 루이소체가 기억력, 움직임, 생각 등을

어하는 부위에 생겨 발생한다. , 정신과 신체 모두에 문제를 일으킨다. 치매에 걸린 사람들은 예전보다 감정 표출을

하고 보다 수동적인 성향을 보이며 신체 활동과 연관된 취미에 흥미를 잃는다.
 

4. 파킨슨병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이 있으면 손이 떨리는 증상에서 시작해 걸음, 말하기, 수면, 사고 등에 전반적으로 이상이

시작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초기부터 작고 사소한 일에 집착하는 강박을 보일 있다. 건망증을 보이거나 이전보다 사교성

떨어지기도 한다. 사고를 일관되게 유지하는데도 점점 어려움을 느낀다.
 

5. 헌팅턴병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유전병이지만 대체로 30~40세에 이르렀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병이다.

뇌세포가 손상을 입어 또렷하게 사고하기 어려워지고 쉽게 화를 내며 이를 닦는 일처럼 사소한 일도 쉽게 무시한다. 자신에게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지각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
 

6. 뇌종양

성격, 감정, 문제 해결, 기억력 등에 관여하는 부위인 전두엽에 종양이 생기면 성격이 변할 수밖에 없다. 자주 혼란을 느끼고

무언가를 잊어버린다. 기분 변화가 잦고 공격적인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누군가 나를 해칠 것이란 피해망상과 편집증을

이기도 한다.
 

7. 다발성 경화증

뇌와 척수에 있는 신경에 염증이 침투해 발생하는 질환은 배뇨 기능에 이상이 생기고 하반신이나 사지가 마비되는 증상이 일어

걸을 없는 상태에 이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우울감이 온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799 고기 먹고 커피 한 잔?... 철분 흡수량이 절반으로 떨어진다 file 2020.12.14
798 운동과 좋은 음식이…독이 되는 경우 5가지나 된다 file 2020.12.22
797 겨울철에도…냉면이 몸에 좋은 이유 file 2020.12.22
796 겨울철 혈액순환 돕는 식품 5가지 file 2020.12.22
795 밤중에 잠깰 때…하면 안되는 2가지 file 2020.12.22
794 자꾸 소변 마려운데, 나도 과민성방광? file 2020.12.22
793 일어날 때 핑 돌면… 70세 이상 30%는 기립성 저혈압 file 2020.12.22
792 현대인의 질병…스트레스에 대해 알아야 할 3가지는? file 2020.12.22
791 코로나 극복의 해…2021년 건강하게 지내는 팁 5가지 file 2021.01.04
790 짜고 달게 먹으면 주름 많아져 file 2021.01.04
789 새해에는 건강하게 잠을 잘 자야 file 2021.01.04
788 “맛있는 것 먹고 배우는 것이 장수 비결” file 2021.01.04
787 주름 예방하려면 얼굴 스트레칭 중요 file 2021.01.04
786 접종 늘리기 위해 모더나 백신 용량 절반만 투여 검토 file 2021.01.04
785 열 발생시키고, 살 빼는데 도움이 되는 식품 5가지 file 2021.01.04
» 성격을 하루아침에 바꾸게 만드는 질환 7가지 file 2021.01.11
783 오래된 메트리스, 건강에 안 좋은 이유? file 2021.01.11
782 코로나 백신 가장 많이 접종한 나라는? file 2021.01.11
781 새해 좋은 수면 위한 5가지 방법 2021.01.11
780 새해 건강계획 돕는 5가지 습관 2021.01.11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