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4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png


 다친 것도 아닌데 손톱에 반점이나 가로 방향의 줄이 보인다면 '아연' 결핍 때문일 있다.
 

손톱은 단백질로 이뤄졌는데, 아연은 체내 단백질 합성 능력과 세포 생성을 높이는 역할을 손톱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 아연이 결핍되면 손톱 모양과 색깔이 변한다. 특히 손톱에 있는 신생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

면서 반점과 가로줄이 나타난다. 아연이 심하게 결핍되면 손톱이 갈라지거나 부서질 수도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아연이 풍부한 식품인 , 소고기, 오징어, 미역 등을 섭취하는 좋다. 단백질 합성과 세포 생성 등이

원활해지면서 손톱에 나타나던 반점과 줄을 예방할 있다.
 

 

한편, 영유아에의 손톱에서 반점이 보이면 단순 아연 부족이 아니라, 편식에 따른 영양부족 상태일 확률이 높다. 또한 영유아

땀을 많이 흘리는데, 아연이 땀으로 배출되는 특성이 있어 아연 결핍이 생기기 쉽다. 아이 손톱에서 반점이나 줄이

이면 아이가 골고루 먹으면서 편식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339 탈모 예방법…나쁜 습관 고치고, 건강을 챙겨야 file 2019.08.24
1338 美최고병원 메이요클리닉, '척추질환의 한방치료' 인정 2019.08.24
1337 잠은 너무 중요하다… 건강한 성인도 하루 7~8시간 자는게 좋아 file 2019.08.24
1336 갑자기 유방에 딱딱한 멍울이 잡히는데…혹시 암? file 2019.08.24
1335 한국인에게 전자담배 더 나쁜 이유? file 2019.08.24
1334 과학자들이 확인한 95세 송해의 건강비결 한가지는? file 2019.08.24
1333 항생제 과다 사용하면…병원균 내성 높이고 대장암 걸릴 위험도 file 2019.08.24
1332 남성과 여성, 심장마비 증상 다르다 file 2019.08.24
1331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들은 저혈당이 더 무섭다 file 2019.09.06
1330 9월에 환자가 가장 많은 의외의 질환? file 2019.09.06
1329 “성장호르몬•당뇨약 투여하니 1년만에 신체나이 2.5세 젊어져” file 2019.09.11
1328 다리 꼬고 앉으면…건강 해치는 이유 3가지 file 2019.09.15
1327 허참, 늙지 않는 동안 비결은 바로 '이것' file 2019.09.15
1326 1주일에 한두 번은 낮잠을 자라 file 2019.09.15
1325 심혈관 질환 막는 식사법은? file 2019.09.15
1324 나이 들수록 살찌는 이유와 대처법 file 2019.09.15
1323 짠 음식 되도록 줄이고, 식후엔 짧게라도 산책해야 file 2019.09.15
1322 소득이 높을수록 오래 산다 file 2019.09.15
1321 단순 건망증과 치매를 구분하는 방법 8가지는? file 2019.09.17
1320 차를 즐기면 뇌 건강 유지에 도움 file 2019.09.17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