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역경 딛고 해외서 성공한 기업가들

posted Jul 16,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한국의 많은 기업들 중 집안이 좋거나 돈이 많아서 기업을 운영하는 경우가 아닌 맨땅의 헤딩으로 시작해 해외에서 성공한

'세계 속 한국인 사업가'를 알아봤다.

 

유타컵밥으로 유명한 송정훈 대표

01.png

 

송정훈 대표는 미국에서 음식점 'CUPBOP(이하 유타 컵밥)'을 운영하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대표 메뉴는 컵밥이다.

밥 위에 불고기, 닭 불고기, 잡채 등을 올리고 1부터 10단계까지 있는 매운 소스를 올려 판다. 현재 미국 전역에 매장만 20

넘게 운영하면서 연 매출 100억원 이상을 올리고 있다. 송 대표는 노량진 공시생들이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먹던 컵밥을

개발해 미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이다.

 

송 대표는 기획사에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을 정도로 학창 시절 춤에 빠져 살았고 재능도 있었다. 그러나 그가 춤을 추는 게

마음에 들지 않았던 부모님은 미국 유학을 제안했다. 가기 싫었지만 딱 6개월만 다녀오라는 말에 미국 유타주로 떠났다.

달 내내 비행기 티켓을 손에 쥐고 잘 정도로 한국으로 돌아오고 싶었다. 문득 그런 자신이 한심해 보여 공부를 시작했고 미국

생활에 적응하고는 푸드트럭을 보고 컵밥 장사를 준비를 시작했다. 바로 푸드트럭 공부를 시작했다. 한국 다큐멘터리 노량진

컵밥 편을 보기도 했다. 그리고 트럭을 샀다”

 

송 대표는 쿠폰 사업을 같이하던 친구, 10년 넘게 한·일식집을 운영하던 지인과 함께 유타컵밥을 시작했다. 맛은 있었지만

6개월 동안은 매출이 나지 않게 고전했다. 이후 손님을 모으기 위해 즐길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SNS에서 댓글 단 사람을

직접 찾아서 컵밥 파티를 열어주거나 직장으로 찾아가 도시락을 배달했다. 입소문이 퍼져 팬을 확보했고 여기저기서 푸드트럭

요청이 들어왔다. 2015년에는 농구팀 유타 재즈 경기장에서 먼저 입점제안을 했다

 

유럽서 5천억 매출 '켈리델리' 켈리 최 

02.png

켈리 최 대표(), 스시 데일리에서 파는 도시락() / jobsN, 스시데일리 인스타그램 캡처

 

켈리 최(본명 최금례) 대표는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켈리델리'를 운영한다. 켈리델리의 대표 브랜드는 '스시 데일리'.

유럽 10개국에 700여개 매장에서 롤과 초밥이 담긴 도시락을 팔아 연 매출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그의 고향은 전북 정읍. 학창 시절 서울로 올라와 와이셔츠 공장에서 일하면서 학비를 벌어 생활했다. 패션 디자이너를

꿈꾸던 그는 1988년 일본으로 유학을 갔고 1995년에는 패션의 중심지인 프랑스로 떠났다. 그러나 ‘최고는 힘들겠다’는 한계

를 느꼈다. 광고 회사를 창업하자는 친구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9년 동안 회사를 운영했지만 남은 것은 빚 10억원 뿐이었다.

돈이 없어 힘든 시절을 보내던 그가 다시 일어난 계기는 도시락 창업이었다.

 

 

경기를 타지 않으면서 창업 비용이 적게 드는 도시락 사업을 생각하고 2년 동안 시장조사와 비법 전수에 매달렸다. 유통·사업

에 관한 책은 100권 이상 읽고 스노우폭스 김승호 회장에게 요식업 조언을 받고 스시 조리법은 프랑스 대통령이 중요 행사

때마다 찾는다는 야마모토 셰프 밑에서 배웠다. 그 결과 파리 창업지원사업에 뽑혀 자본금 약 3900만원을 지원받았고 2010

프랑스 리옹 까르푸에 입점했다. 맛은 기본이고 매대에서 직접 도시락을 싸는 모습을 보여주고 도시락도 예쁘게 연출했다.

현재 시장 점유율은 약 50%로 업계 1위다.

 

미스터 리 라면 이철호 전 대표

03.png

 

이철호 전 대표는 노르웨이에 라면 브랜드 '미스터리(Mr. Lee)'를 세운 창업주다. 미스터리 라면은 노르웨이 사람의 입맛을

사로잡아 노르웨이 라면 시장 점유율 80% 이상으로 한때는 95%까지 차지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회사 이름은 라면을 이르는

고유명사로 자리 잡았고 이철호 전 회장의 별명은 '노르웨이 라면왕'이다.

 

 

1937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난 이철호 전 대표는 이후 몇 번의 사업 실패를 겪고 50세 넘은 나이에 라면 사업을 시작했다.

1970년 대 초 한국을 방문하고 처음 라면을 맛본 후 노르웨이인들이 좋아하는 소스를 갖고 한국의 유명 라면회사 연구소에

찾아갔다. 연구진과 함께 노르웨이인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덜 맵고 더 기름진 소스를 개발했고 이것이 '미스터 리(Mr.Lee)'

라면의 탄생이었다. 그의 나이 52세 때였다. 이 전 대표는 1989년 노르웨이 식품 제조 회사에 브랜드를 매각하고 상품 개발에

매달렸다.이철호 전 대표는 2018년 별세했다.

 

아이폰 카메라 모듈로 1곽정환 회장

04.png

 

애플에 아이폰 카메라 모듈을 납품해 연 매출 1조원을 올리는 '코웰이홀딩스'를 운영하는 곽정환 회장도 국내보다도 해외

시장을 먼저 공략한 사업가다. 홍콩 증시에 상장한 최초의 한국인 CEO.

1964년 대구 출신인 곽정환 회장은 1987년 대우에서 '상사맨'을 하다가 1992년 홍콩으로 건너갔다. 봉제인형을 만들어

수출했다. 매출 1000억원대 회사로 키웠지만 2001년 카메라 모듈로 사업 방향을 돌렸다. 그는 휴대폰 카메라가 대세로 자리

잡을 거라고 보고 시장 초기진입을 노렸다. 카메라가 주요 기능으로 떠오르면서 삼성, LG에 납품하는 데 성공했다. 2007

애플로 시선을 돌려 협의를 시작해 2009년부터 공급을 시작했다. 지금까지 계약을 이어오고 있다. 생산 물량의 80%를 납품

하고 있다.

 

2015 3월에는 한국 기업인 최초로 홍콩 증시에 상장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한국외교부, '국적보유 신고제' 권고

    美시민권 취득 후에도 일정기간 복수국적 가능 한국 외교부가 미주지역 총영사관 홈페이지를 통해 미 시민권 취득 한인들에게 국적보유 신고를 권고했다. 국적보유 신고는 미 시민권을 취득한 한인이 한국 국적을 계속 유지하는 것을 희망할 경우 하는 절차로 ...
    Date2018.12.04
    Read More
  2. 한국에선 지금…노인 보는 시선, 급속도로 싸늘해져

    청년 56% "우리 일자리 뺏겨", 77% "복지 늘면 우리만 부담" 고독사, 학대, 차별 질문에...청년이 노인보다 2배 이상 '걱정' 노인을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시선이 급속도로 싸늘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노인인권 ...
    Date2018.03.20
    Read More
  3. 한국에서 취득세·종부세 없는 美부동산에 관심 폭증

    美선 다주택자 세금중과 안돼…에스크로 이용해 매매 거래도 안전 뉴욕 중위값 7.6억원, LA 8.9억원…서울 9.2억원보다 싼 것도 매력 서울 강남에 2주택을 보유해 부동산 세금 부담이 늘어난 자산가 B씨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 주택을 구...
    Date2021.12.27
    Read More
  4. 한국에서 최근 종북성향 단체 급증

    "김정은 팬클럽 모집…나는 공산당이 좋아요!" '위인맞이환영단'이 제작한 김정은 서울 방문 환영 포스터. "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님의 열렬한 팬입니다. 팬클럽을 공개 모집합니다. 나는 공산당이 좋아요!"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이런 외침이 ...
    Date2018.11.27
    Read More
  5. 한국에서 유니클로 불매운동 직격탄

    한국에서 유니클로 불매운동 직격탄 유니클로가 불매운동 직격탄을 제대 로 맞는 분위기다.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는 2차 수출 규제를 강행함에 따라 한국 내 일본제 품 불매운동이 더욱 장기화 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
    Date2019.08.06
    Read More
  6. 한국에서 부자는? "최소 39억원은 있어야 부자"

    한국인의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 1천만원…상위 20%는 9억원 사람인 4111명 조사...현실적으로 평생 모을 자산은 7억4천만원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공동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 1573만원이었으며, 소득 상위 20%인 5...
    Date2019.12.10
    Read More
  7. 한국에서 "수능 성적표 위조 해준다" 글 쏟아져

    한국 경찰 "조작행위와 사는 행위 모두 처벌 받아" 수능 성적이 공개를 코 앞에 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나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실제와 똑같은 성적표를 제작해주겠다’는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20만원 정도 주면 수능성적표를 위조해주겠...
    Date2018.12.04
    Read More
  8. 한국에 산재해 있는 교육청마다 쌓아둔 돈이 총 6조600억원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예산이 남아돌아 각종 명목으로 쌓아둔 돈이 작년 6조6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매년 세금(지방재정교육교부금)을 걷어 유·초·중·고 교육에 쓰라고 각 교육청에 예산을 나눠 주는데 세수...
    Date2022.08.12
    Read More
  9. 한국식 덮밥 프랜차이즈 <와바 그릴>, 대기업으로 키운다

    CEO는 한인 앤드류 김씨…현재 미 전역에 매장 191개, 연매출 1억7천만불 캘리포니아에서 네바다·텍사스 등 타주 확장 박차…한국의 신규 브랜드 확대 앤드류 김 CEO(가운데)와 임원진 [와바 그릴 제공] 한식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덮밥을...
    Date2022.08.13
    Read More
  10. 한국선 '서민의 발' 포터가 판매 1위

    한국선 '서민의 발' 포터가 판매 1위 1톤 트럭 판매 1위로 본, 후퇴하는 한국경제 영세 자영업자들이 이용하는 1톤트럭 포터(사 진)가 팰리세이드, 쏘나타 등 신차를 제치고 올 해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로 집계됐다. 최근 경제상...
    Date2019.08.17
    Read More
  11. 한국서 절대 투자하면 안될 부동산 5가지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들은 은퇴 이후에도 부동산 시장의 왕성한 소비자로 남겠지만, 투자의 패턴은 달라져야 한다. 요즘 인기있는 농작물을 활용한 수익형 전원주택이나 그린벨트 투자는 너무 위험하다. 고령화 시대라고 ‘실버주택’...
    Date2018.04.04
    Read More
  12. No Image

    한국서 육체노동 정년 60세→65세…대법원 "수명늘고, 경제규모 4배"

    한국에서 사람이 일해서 돈을 벌 수 있는 마지막 나이인 가동연한을 60세가 아닌 65세로 봐야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1989년 가동연한을 55세에서 60세로 높인 이후 30년 만에 처음 바뀐 것이다. 대법원은 물놀이 사고로 사망한 아이의 부모 박모씨 등 3...
    Date2019.02.22
    Read More
  13. 한국서 역경 딛고 해외서 성공한 기업가들

    한국의 많은 기업들 중 집안이 좋거나 돈이 많아서 기업을 운영하는 경우가 아닌 맨땅의 헤딩으로 시작해 해외에서 성공한 '세계 속 한국인 사업가'를 알아봤다. 유타컵밥으로 유명한 송정훈 대표 송정훈 대표는 미국에서 음식점 'CUPBOP(이하 유...
    Date2020.07.16
    Read More
  14. 한국서 부동산 처분한 재외국민, 양도세 미납땐 소유권 이전 못해

    한국서 부동산 처분한 재외국민, 양도세 미납땐 소유권 이전 못해 내년부터 재외국민이나 외국인(시민권자)이 한국에서 부동산을 처분한 후 소득이 발생했음 에도 양도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고 해외로 출 국하는 경우 소유권 인정을 받지 못하게 된다. 한국 기...
    Date2019.07.27
    Read More
  15. 한국서 부동산 단기투자로 5억 벌어

    9억 집사서 2년 후 매각…평균 5.4억원 차익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보유한지 2년 안에 집을 파는 ‘단타’ 주택매매로 차익을 거둔 액수가 한해 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9억원 넘는 주택의 경우, 집 한채 당 양도차익이 5억4000만...
    Date2020.07.17
    Read More
  16. 한국서 돈 빼돌려 미국서 저택 구입?

    한국정부, 금융부실 한국인들 미국까지 추적 거액 융자금 안갚고 미국에 은닉환수 소송 한국정부가 한국의 금융 부실 관련자들이 돈을 미국으로 빼돌려 LA나 뉴욕 등지에 차명으로 부동산을 구입하면서 재산 도피를 하자, 미국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적극...
    Date2018.08.18
    Read More
  17. No Image

    한국서 대졸자 3명 중 1명이 '백수'...한국의 말라버린 젊은 일자리

    한국서 대졸자 3명 중 1명이 '백수'...한국의 말라버린 젊은 일자리 취업자 45%는 월급 150만원 미만,...68%는 평균 1년6개월 전 퇴사 한국의 대학졸업자들이 취업난에 허덕 이고 있다. 학교를 졸업한 청년 3명 중 1 명은 백수 상태이고, 첫 일자리를 ...
    Date2019.07.27
    Read More
  18. No Image

    한국서 대졸자 3명 중 1명이 '백수'...한국의 말라버린 젊은 일자리

    한국서 대졸자 3명 중 1명이 '백수'...한국의 말라버린 젊은 일자리 취업자 45%는 월급 150만원 미만,...68%는 평균 1년6개월 전 퇴사 한국의 대학졸업자들이 취업난에 허덕 이고 있다. 학교를 졸업한 청년 3명 중 1 명은 백수 상태이고, 첫 일자리를 구하려 ...
    Date2019.07.23
    Read More
  19. No Image

    한국서 내 자녀 직업은 '이것'이었으면…

    부동의 1위는 공무원…2위, 3위는 의료인, 법조인 최근 초·중·고등학생들의 희망 직업 선호도 양상이 과거와 달라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취업난과 경제 불황으로 인해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자녀의 직업은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Date2019.02.12
    Read More
  20. No Image

    한국서 가장 비싼 땅…㎡당 9130만원

    명동역 뒤 네이처 리퍼블릭…15년째 가장 비싸   전국에서 표준지 공시지가가 가장 비싼 건물은 서울 명동8길의 네이처 리퍼블릭 건물로 ㎡당 9130만원이다. 1평으로 따지만 거의 3억원에 가까운 돈이다. 네이처 리퍼블릭의 플래그샵(Flag Shop)이다. 지난해 ㎡...
    Date2018.02.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68 Next
/ 6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