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소 MC였던 그녀…한국 1호 소셜벤처 창업가 된 사연

by 벼룩시장 posted Sep 18, 2021

시지온 김미균 대표, 희귀병으로 아나운서 접고, 최초로 소셜댓글 서비스 론칭

 

Picture6.png

 

 

 언론사 각종 웹사이트에서 소셜댓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지온 김미균(35) 대표는 댓글 문화 정비가 이젠 정말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한다. 악성댓글로 누군가는 자살을 하고, 직업을 관두거나 사회적 갈등이 생기기 때문이다
 

김미균 대표가 창업을 2007년에도 악성댓글은 사회적 문제였다. 시지온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전에서 시작됐다. 아이디어 핵심은 SNS 로그인으로 댓글 작성 장벽을 낮춘 것이다. 연세대에서 언론홍보영상을 공부하던 그녀는 뜻이 맞는 동문 김범균 공동대표와 함께시지온 만들었다. 당시 김미균 대표 나이는 22, 대학교 2학년이었다.
 

시지온은 2009 아시아 최초로 소셜댓글 서비스라이브리 론칭했다. 라이브리는 웹사이트에 설치할 있는 댓글 플랫폼이다. 어느 웹사이트에서도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SNS 계정을 통해 댓글 작성을 가능하도록 했다. 댓글을 남기기 위해 사이트에 가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게다가 악성댓글을 줄이는 효과까지 있다. 현재 고객사 1400여개, 설치사이트 5만개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 아시아 시장으로도 발을 넓히고 있다. 언론사, 기업, 공공기관, NGO, 쇼핑몰 사이트들이 라이브리 고객이다

시지온은 리액션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다. 리액션을 있는 도구를 만들과 있다. 온라인 상에는 수많은 리액션 콘텐츠가 있다. 1차적으로 액션 콘텐츠가 있다면, 그에 대한 댓글과 후기, 인증샷 2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리액션 콘텐츠다.  댓글을 있는 도구, 리뷰를 작성할 있는 도구가 라이브리, 어트랙트 서비스다
 

어트랙트 2017 출시한 서비스다. 어트랙트는 리뷰를 큐레이션하는 서비스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먹고 해당 아이스크림사 홈페이지에 리뷰를 남기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 리뷰를 남긴다. 시지온은 외부에 흩어진 이들 리뷰들을 모아 슬라이드쇼, 미디어월 다양한 형태로 정돈한다. 이후 해당 홈페이지에 제공하는데, 이럴 경우 고객이 제품에 접근하는 것부터 구매를 하는 것까지 과정을 파악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아나운서를 꿈꿨는데, 고등학교 EBS ‘청소년 원탁토론이라는 프로그램 MC 맡았다. 당시 시사·교양프로그램에서 최연소 MC였어요. 고등학교 3 동안 활발히 활동했다.
 

그런데  대학 진학 본격적으로 아나운서 준비를 시작하면서 치아 교정을 위해 병원을 찾았는데,  병원에서 교정을 받을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턱뼈가 마모되는 희귀병이 있다는 것이다. 그녀에겐 청천벽력 같았고, 슬럼프가 찾아와 아주 힘든 시기를 보냈다고 한다.
 

이후 온라인 환경에서 가장 문제인 악성댓글에 관심이 갔다. 일반인이 악성댓글 때문에 자살하고, 마음의 병을 앓게 되거나 사회 갈등이 발생하면서,  기초 커뮤니케이션이 건강해야 한다는 생각이 창업의 시작이었다. 악성댓글을 줄이는 방법을 고민하고,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시지온의 수입은 라이브리와 어트랙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사를 통해 매출이 발생한다. 매출 비중은 라이브리와 어트랙트가 절반씩이다. 작년보다 15% 성장했다.

 

-시지온의 소셜 댓글 서비스가 어떻게 악성댓글을 줄이나?

의견에는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어요. 아주 반대, 약간 반대, 보통, 약간 찬성, 아주 찬성 등이 있죠. 중에서 아주 반대나 아주 찬성하는 사람들은 의견의 세기가 강해요. 발언을 의지가 강하죠. 아주 찬성은 팬클럽 같은 경우가 해당해요. 유명인이 곤경에 처하면 적극적으로 발언하거나 댓글을 쓰는 사람이 많아요. 극단에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든 댓글을 남기고 싶어해요. 하지만 중간 의견들은 상대적으로 발언할 의지가 적어요. 예컨대 정치적 사안을 보더라도 그런가보다 하고 굳이 댓글까지 필요를 느끼죠. 그렇기 때문에 로그인 절차가 복잡하면 중간 의견들은 더욱 댓글을 쓰지 않는거에요. 그럼 극단에 있는 사람들만 댓글을 남기고, 갈등은 고조됩니다. 저희는 악성 댓글을 줄이는 방법으로 로그인 절차를 간단하게 만들어 중간 의견 접근을 쉽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실제로도 악성댓글 비중이 68%였던 웹사이트에서 라이브리 서비스를 활용 2.75% 줄어든 것을 확인했어요.”

 

-요즘 온라인 환경 트렌드는 무엇인가?

온라인 상에서 MZ세대들의 활동이 두드러져요. 이전 세대들은 정보에 대해 수용적이었다면 MZ 세대들은 정보를 재해석해 콘텐츠를 만들죠. 인스타그램, 유튜브만 봐도 그런 풍토에요.

 

-현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온라인 상에서 건강한 토론을 하는 그룹이 부재한다는 점이에요. 어떤 댓글이 좋고, 생산적인지 있는 롤모델이 안보여요. 미디어도 사이트도, 커뮤니티도 모두 마찬가지죠. 저희 회사는 건강한 댓글을 쓰는 분들을 발굴하는 노력을 하고 있어요. 라이브리 서버에 수집된 댓글 중에는 좋은 댓글들도 있어요. 촌철살인을 남기는 분도, 약간의 유머를 동반해 생산적인 댓글을 남기는 분들도 있죠. 그런 분들에게 보상을 주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어요. 좋은 댓글 쓰기에 참여하는 환경을 만들고 싶어요.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나?

미국 워싱턴포스트에서 사이트 댓글 시스템을 만들어달라고 제안이 적이 있어요. 투자를 받아 미국 워싱턴 D.C. 지사를 냈죠. 그런데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가 워싱턴포스트를 인수한 하루 아침에 조직 개편이 일어나고 저희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담당자도 실직했어요. 저희 프로젝트도 중단됐고요. 이걸 성공시켰다면 미국 다른 언론사에도 진출할 있는 좋은 기회가 있었겠죠.

미국에서 돌아오면서 배운 있어요. 미국은 건강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었죠. 한국에서는 댓글 총량이 적고, 악성댓글은 많은 반면 미국은 좋은 댓글이 너무 많아서 고민이었어요. 수많은 좋은 댓글 어떤 댓글을 선별해 상단에 노출할 것인가가 과제였죠. 질이 다른 고민이었어요.

토론식 교육이 자리잡은 미국과 예의범절이 중요한 우리의 문화 차이에서 비롯한 문제 같아요. 우리와 비슷한 문화가 있는 아시아로 서비스 대상을 변경했어요. 악성댓글이 문제되는 나라가 중심이었죠. 중국과 일본으로 진출하게 배경이에요.”

-현재 해외 진출 상황은 어떤가?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어요. 지원하는 언어도 21 정도 됩니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곳은 중국이에요. 작년 1 상하이에 법인을 냈어요. 라이브리 중국어 버전은 라이삐리에요. 라이삐리는 중국 SNS 위챗, 큐큐, 바이두, 웨이보, 런런왕, 도우반 등과 연동됩니다.”

 

Picture7.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0 美 대통령 비밀경호국장, 한인 데이비드 조, 백악관 떠난다 file 벼룩시장 2021.12.11 2244
349 영화 <친구> 흥행배우→전과 3범→선교사…정운택, 파란만장 인생사 영화 &lsquo;친구&rsquo;, &lsquo;두사부일체&rsquo;에서 맛깔나는 감초 연기로 사랑을 받았던 배우 정운택(46)이 선교사가 된 근황을 전했다. MBN &lsquo;특종... 벼룩시장 2022.03.18 2224
348 메릴랜드 주지사 한국계 딸, 카운티 검사장에 당선됐다 file 벼룩시장 2022.07.23 2212
347 ‘코리아 마법가루’로 불리며 아마존 1위 한 이것 file 벼룩시장 2021.09.03 2197
346 30세 피그마 창업자, 200억불에 회사 매각 1불짜리 커피 즐기던 수줍은 딜런 필드, 억만장자 됐다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어도비(Adobe)가 경쟁업체 피그마(Figma)를 거액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피그마 공동 ... 벼룩시장 2022.09.23 2184
345 <대통령의 구두> 만든 중소기업 ‘바이네르’ 김원길 사장, 코로나로 매출 반토막&hellip;&lt;대통령의 구두&gt; 유명세 구두 기능공 출신 구두회사 최고경영자(CEO). 2007년부터 많을 때는 한 해 3000여명 이상을 ... 벼룩시장 2022.05.27 2183
344 23세 최연소 억만장자, 명단에서 빼기로 file 벼룩시장 2021.11.20 2178
343 1분만에 하수구 악취 완벽 차단, 150만개 대박 아이디어 물 내려갈 때만 열리는 하수구캡 개발해 히트한 생활용품업체의 창업 스토리 날이 슬슬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화장실이나 싱크대에서 올라오는 하수구 냄새로 고... 벼룩시장 2022.04.30 2164
342 한인선수, 美프로야구 최고 수비수 됐다 file 벼룩시장 2021.11.14 2153
341 첫 연방고등법원 한인판사 인준된 루시 고 file 벼룩시장 2021.12.18 2152
340 크리스틴 윤씨, 뉴욕시 <BSA> 커미셔너 임명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한인 건축가 크리스틴 윤(사진)씨를 뉴욕시장실 산하 &lsquo;표준&middot;항소위원회&rsquo;(BSA) 커미셔너 중 한명으로 임명했다. 윤 ... 벼룩시장 2022.06.18 2149
339 한인 변호사, 일리노이 주검찰총장에 출마 스티브 김 공화당 후보, 민주당 현 검찰총장에 재도전 시카고의 한인 변호사 스티브 김(51&middot;한국명 김형석&middot;사진)씨가 일리노이주 검찰총장 선거에 ... 벼룩시장 2022.01.21 2135
338 뉴욕시경 사상 첫 한인서장 탄생했다 file 벼룩시장 2022.04.09 2122
337 낙방한 스탠퍼드大에 11억불 기부한 美억만장자 구글 등 벤처투자로 성공한 존 도어&hellip;기후 변화 해결 연구 위해 미국의 억만장자 벤처투자자 존 도어(71&middot;사진)가 서부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명문... 벼룩시장 2022.05.06 2090
336 부자들의 자녀교육…<인덱스 펀드>의 아버지 보글이 매년 자녀에게 사준 것 file 벼룩시장 2022.02.18 2088
335 82세 할머니가 서울의 얼굴로 선정됐다 46년간 팥죽팔아 12억 기부한 김은숙 할머니 병원과 사회복지기관에 12억 원이 넘는 돈을 기부한 80대 노인 등 서울시민 3명과 단체 1곳이 올해 명예의 전당 &ls... 벼룩시장 2021.12.27 2071
334 제레미 린, 민권센터에 15만달러 기부 3년간 청소년 권익 및 다인종 연대 프로그램에 사용 제레미 린 재단이 민권센터 청소년 권익 프로그램을 위해 15만달러를 기부한다. NBA 농구선구 제레미 린이 ... 벼룩시장 2022.11.19 2068
333 루브르박물관도 반한 <한지>의 매력…그 뒤엔 한인형제 일본 화지, 외국 문화재 복원시장의 99.9% 차지&hellip;한지로 시장 확대 추진 프랑스에서 문화재 복원전문가로 활동하는 김민중 씨(35)는 2020년 봄 한 통의 e... 벼룩시장 2022.04.30 2066
332 “컴퓨터학원 문닫고, 도마 제작, 판매로 성공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판로 막힌 도마를 온라인으로 판매&hellip;월 매출 2000만원 베스트 셀러인 미목 편백나무 도마와 김태훈 대표. /더비비드 원목 도마를 만드는 &ls... 벼룩시장 2022.07.29 2056
331 직장 잃고 단돈 60만원으로 창업해서 만든 엄마의 현실 매출 나도 될 수 있다, 성공 셀러&hellip;엄마 위한 원피스 브랜드의 셀러 성공기 서주은(37.사진) 씨는 작년 8월 30&sdot;40대 여성용 원피스 전문 브랜드 &lsquo;해... 벼룩시장 2022.05.06 20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