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소 MC였던 그녀…한국 1호 소셜벤처 창업가 된 사연

by 벼룩시장 posted Sep 18, 2021

시지온 김미균 대표, 희귀병으로 아나운서 접고, 최초로 소셜댓글 서비스 론칭

 

Picture6.png

 

 

 언론사 각종 웹사이트에서 소셜댓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지온 김미균(35) 대표는 댓글 문화 정비가 이젠 정말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한다. 악성댓글로 누군가는 자살을 하고, 직업을 관두거나 사회적 갈등이 생기기 때문이다
 

김미균 대표가 창업을 2007년에도 악성댓글은 사회적 문제였다. 시지온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전에서 시작됐다. 아이디어 핵심은 SNS 로그인으로 댓글 작성 장벽을 낮춘 것이다. 연세대에서 언론홍보영상을 공부하던 그녀는 뜻이 맞는 동문 김범균 공동대표와 함께시지온 만들었다. 당시 김미균 대표 나이는 22, 대학교 2학년이었다.
 

시지온은 2009 아시아 최초로 소셜댓글 서비스라이브리 론칭했다. 라이브리는 웹사이트에 설치할 있는 댓글 플랫폼이다. 어느 웹사이트에서도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SNS 계정을 통해 댓글 작성을 가능하도록 했다. 댓글을 남기기 위해 사이트에 가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게다가 악성댓글을 줄이는 효과까지 있다. 현재 고객사 1400여개, 설치사이트 5만개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 아시아 시장으로도 발을 넓히고 있다. 언론사, 기업, 공공기관, NGO, 쇼핑몰 사이트들이 라이브리 고객이다

시지온은 리액션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다. 리액션을 있는 도구를 만들과 있다. 온라인 상에는 수많은 리액션 콘텐츠가 있다. 1차적으로 액션 콘텐츠가 있다면, 그에 대한 댓글과 후기, 인증샷 2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리액션 콘텐츠다.  댓글을 있는 도구, 리뷰를 작성할 있는 도구가 라이브리, 어트랙트 서비스다
 

어트랙트 2017 출시한 서비스다. 어트랙트는 리뷰를 큐레이션하는 서비스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먹고 해당 아이스크림사 홈페이지에 리뷰를 남기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 리뷰를 남긴다. 시지온은 외부에 흩어진 이들 리뷰들을 모아 슬라이드쇼, 미디어월 다양한 형태로 정돈한다. 이후 해당 홈페이지에 제공하는데, 이럴 경우 고객이 제품에 접근하는 것부터 구매를 하는 것까지 과정을 파악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아나운서를 꿈꿨는데, 고등학교 EBS ‘청소년 원탁토론이라는 프로그램 MC 맡았다. 당시 시사·교양프로그램에서 최연소 MC였어요. 고등학교 3 동안 활발히 활동했다.
 

그런데  대학 진학 본격적으로 아나운서 준비를 시작하면서 치아 교정을 위해 병원을 찾았는데,  병원에서 교정을 받을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턱뼈가 마모되는 희귀병이 있다는 것이다. 그녀에겐 청천벽력 같았고, 슬럼프가 찾아와 아주 힘든 시기를 보냈다고 한다.
 

이후 온라인 환경에서 가장 문제인 악성댓글에 관심이 갔다. 일반인이 악성댓글 때문에 자살하고, 마음의 병을 앓게 되거나 사회 갈등이 발생하면서,  기초 커뮤니케이션이 건강해야 한다는 생각이 창업의 시작이었다. 악성댓글을 줄이는 방법을 고민하고,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시지온의 수입은 라이브리와 어트랙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사를 통해 매출이 발생한다. 매출 비중은 라이브리와 어트랙트가 절반씩이다. 작년보다 15% 성장했다.

 

-시지온의 소셜 댓글 서비스가 어떻게 악성댓글을 줄이나?

의견에는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어요. 아주 반대, 약간 반대, 보통, 약간 찬성, 아주 찬성 등이 있죠. 중에서 아주 반대나 아주 찬성하는 사람들은 의견의 세기가 강해요. 발언을 의지가 강하죠. 아주 찬성은 팬클럽 같은 경우가 해당해요. 유명인이 곤경에 처하면 적극적으로 발언하거나 댓글을 쓰는 사람이 많아요. 극단에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든 댓글을 남기고 싶어해요. 하지만 중간 의견들은 상대적으로 발언할 의지가 적어요. 예컨대 정치적 사안을 보더라도 그런가보다 하고 굳이 댓글까지 필요를 느끼죠. 그렇기 때문에 로그인 절차가 복잡하면 중간 의견들은 더욱 댓글을 쓰지 않는거에요. 그럼 극단에 있는 사람들만 댓글을 남기고, 갈등은 고조됩니다. 저희는 악성 댓글을 줄이는 방법으로 로그인 절차를 간단하게 만들어 중간 의견 접근을 쉽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실제로도 악성댓글 비중이 68%였던 웹사이트에서 라이브리 서비스를 활용 2.75% 줄어든 것을 확인했어요.”

 

-요즘 온라인 환경 트렌드는 무엇인가?

온라인 상에서 MZ세대들의 활동이 두드러져요. 이전 세대들은 정보에 대해 수용적이었다면 MZ 세대들은 정보를 재해석해 콘텐츠를 만들죠. 인스타그램, 유튜브만 봐도 그런 풍토에요.

 

-현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온라인 상에서 건강한 토론을 하는 그룹이 부재한다는 점이에요. 어떤 댓글이 좋고, 생산적인지 있는 롤모델이 안보여요. 미디어도 사이트도, 커뮤니티도 모두 마찬가지죠. 저희 회사는 건강한 댓글을 쓰는 분들을 발굴하는 노력을 하고 있어요. 라이브리 서버에 수집된 댓글 중에는 좋은 댓글들도 있어요. 촌철살인을 남기는 분도, 약간의 유머를 동반해 생산적인 댓글을 남기는 분들도 있죠. 그런 분들에게 보상을 주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어요. 좋은 댓글 쓰기에 참여하는 환경을 만들고 싶어요.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나?

미국 워싱턴포스트에서 사이트 댓글 시스템을 만들어달라고 제안이 적이 있어요. 투자를 받아 미국 워싱턴 D.C. 지사를 냈죠. 그런데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가 워싱턴포스트를 인수한 하루 아침에 조직 개편이 일어나고 저희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담당자도 실직했어요. 저희 프로젝트도 중단됐고요. 이걸 성공시켰다면 미국 다른 언론사에도 진출할 있는 좋은 기회가 있었겠죠.

미국에서 돌아오면서 배운 있어요. 미국은 건강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었죠. 한국에서는 댓글 총량이 적고, 악성댓글은 많은 반면 미국은 좋은 댓글이 너무 많아서 고민이었어요. 수많은 좋은 댓글 어떤 댓글을 선별해 상단에 노출할 것인가가 과제였죠. 질이 다른 고민이었어요.

토론식 교육이 자리잡은 미국과 예의범절이 중요한 우리의 문화 차이에서 비롯한 문제 같아요. 우리와 비슷한 문화가 있는 아시아로 서비스 대상을 변경했어요. 악성댓글이 문제되는 나라가 중심이었죠. 중국과 일본으로 진출하게 배경이에요.”

-현재 해외 진출 상황은 어떤가?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어요. 지원하는 언어도 21 정도 됩니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곳은 중국이에요. 작년 1 상하이에 법인을 냈어요. 라이브리 중국어 버전은 라이삐리에요. 라이삐리는 중국 SNS 위챗, 큐큐, 바이두, 웨이보, 런런왕, 도우반 등과 연동됩니다.”

 

Picture7.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3 바이든, 한국계 신디 정, 美 연방항소법원 판사에 임명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연방제3항소법원 판사에 한국계 여성인 신디 정(47) 검사를 지명했다. 연방제3항소법원은 델라웨어와 뉴저지, 펜실베이니아주를 관할한... 벼룩시장 2022.07.17 1651
352 바이든, 연방판사 인준에 한인판사 예로 들며 <다양성 확대> 강조 연방판사 100명 임명&hellip;여성 76%, 유색인종 68%, 2년만에 많은 장벽 허물어&rdquo;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자신이 지명한 연방 판사에 대한 상원의 10... 벼룩시장 2023.02.18 1390
351 바이든, 연방조달청 행정관에 강석희 전 어바인 시장 임명 바이든 대통령이 강석희 전 어바인 시장을 &lsquo;연방 조달청&rsquo;(GSA,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북서부 지역(Regional 9, 10) 총괄 행정관으로 임... 벼룩시장 2023.01.14 1264
350 바이든, 美 연방항소법원 판사에 한인판사 최초 지명 file 벼룩시장 2021.09.10 3700
349 바이든 대통령,북한 인권특사에 한국계 터너 지명 6년간 공석이었던 자리&hellip;대사급 직책, 미상원 인준 받아야 미국무부 인권국에 16년간 근무한 아태담당과장 임명한 것 사진 출처: 미 국무부 인권&middot;... 벼룩시장 2023.01.27 1502
348 밀양 박씨 혼혈인, 그래미상 주인공 됐다 file 벼룩시장 2022.04.09 2303
347 미프로풋볼(NFL) 한국계 카일러 머리 "야구도 하고 싶어요" file 벼룩시장 2020.01.21 5237
346 미주한인, 탄탄한 직장 접고, 의미있는 사업 찾았다 file 벼룩시장 2020.09.07 5076
345 미주한인 출신 가수 유승준, 유튜브 시작 악플러 언급 &quot;악플 다느라 수고 많다..관심 감사&quot; 미주한인 출신 가수 유승준이 최근 개인 방송을 시작하며 악플러들에 대해 언급했다. 유승준은 자신의 인스타그... 벼룩시장 2019.10.27 5258
344 미스코리아 출신 한인여성의 실패와 성공 file 벼룩시장 2020.09.21 4039
343 미스코리아 당선 후 연예계 대신 이 길 택했다 연예계 대신 창업 선택한 미스코리아 출신 사장들 고현정, 김사랑, 이하늬&hellip;. 미스코리아 출신 여배우들이다. 미스코리아를 연예계 진출의 등용문이라고 ... 벼룩시장 2022.02.19 1958
342 미스 코리아가 ‘Miss Earth’ 우승 차지 미스코리아 선 최미나수(23), 한국인으론 첫 우승 Miss Earth 페이스북 2021 미스코리아 선(善) 최미나수(23)가 국제 미인 대회인 &lsquo;미스 어스(Miss Earth)... 벼룩시장 2022.12.02 1493
341 미스 유니버스의 위엄…방부제 미모 72세 할머니 화제 file 벼룩시장 2019.12.17 6552
340 미스 유니버스, 남아공 대표 우승…"피부색 편견 오늘로 끝내야" file 벼룩시장 2019.12.10 5892
339 미군 현역 유일한 한국계 장군이 탄생했다 주한미군 3차례 근무&hellip;마이클 시글, 육군 준장 진급 마이클 시글 제57대 &lsquo;병참 장군&rsquo;이 대령에서 준장으로 승진했다. /트위터 미 육군에 새로... 벼룩시장 2022.10.29 1433
338 미국인들 열광시킨 한국 여성 file 벼룩시장 2020.03.15 5159
337 미국에서 '도깨비 동화' 낸 뉴욕출신 한인여성 작가 프랜시스 차로 유명한 차희원씨, 그림책 &lsquo;쌍둥이 도깨비&rsquo;로 화제 뉴욕출신 한인여성 작가, 차희원 씨. 사진 본인 제공 뉴욕 출신 한인여성 작가 차... 벼룩시장 2023.08.25 983
336 미국에 귀감 보인 한인 고교생 file 벼룩시장 2020.04.13 5206
335 미국서 인정받는 한인 스타 요리사에 전국이 주목 file 벼룩시장 2020.12.08 3594
334 미국서 가장 유명한 한국계 유투버 file 벼룩시장 2019.10.26 7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