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미국경쟁법안>에 포함돼 처음으로 하원 관문 넘어…상원과 조율 남아

 

미국에 입양되고도 시민권이 없어 고통받던 한인 1만9천명을 구제하는 법안이 미 하원을 통과했다.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대표 김동석)에 따르면 이날 하원에서 가결된 '미국경쟁법안'에 입양인의 시민권 획득을 돕는 조항이 포함됐다.
민주당 애덤 스미스 하원 군사위원장이 작년 3월 발의한 '입양인시민권법안'이 미국경쟁법안에 합쳐져 하원 관문을 넘은 것이다.
입양인시민권법안은 미국으로 입양되고도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해 구직을 비롯한 일상에서 고통을 겪는 이들을 구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4만9천여명의 미국 내 입양인 중 한인이 1만9천명 정도라고 KAGC는 전했다.

 
양부모가 시민권 취득 절차를 잘 몰랐거나 양부모 이혼·파양 등의 곡절을 겪으면서 시민권 없이 살아가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국경쟁법안의 경우 유사한 법안이 작년 6월 상원을 통과한 상태라 상·하원의 조율을 거쳐야 하는데 조율이 무난히 이뤄질 경우 입양인시민권 획득 조항 역시 함께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시행되게 된다.
 

상·하원의 조율에는 짧게는 1달, 길게는 2∼3달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스미스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오늘 입양인시민권법안이 미국경쟁법안의 일환으로 하원을 통과했다고 말할 수 있게 돼 엄청나게 자랑스럽다"면서 "미국 시민권을 갖고 있지 않은 많은 입양인에게 중대한 진전"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잘못도 없이 시민권을 받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 살아가는 입양인들이 미국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AGC는 그동안 입양인들의 시민권 취득을 위한 법안 마련에 역점을 둬왔다.
특히 KAGC는 민주·공화당 의원들의 참여로 초당적인 법안 발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뉴욕과  LA, 애틀랜타, 휴스턴 등 미국 각지에서 의원들을 찾아다니며 동참을 요청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3월 민주당 소속 스미스 위원장 외에도 공화당 존 커티스 의원 등 60여 명의 하원의원이 법안발의에 동참했다.
미 의회는 지난 2000년 소아시민권법(CCA)을 통과시켜 외국에서 태어난 입양인에 대해 부모 중 최소 1명이 미국 시민일 경우 자동으로 시민권을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했으나 적용 대상을 2001년 2월 27일 기준 만 18세 미만으로제한하는 바람에 이 연령을 초과한 입양인의 경우 혜택을 입지 못했다.

Picture5.png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482 뉴저지, 5월4일부터 1회용품 사용금지 2022.04.22 4576
3481 뉴저지, 마리화나 판매 시작…구입 장사진 2022.04.22 4354
3480 세계 최고령 개는...만 21살된 美 치와와 2022.04.22 4236
3479 코로나 주춤하면서 美교회 대면예배 시작…교인들, 여전히 주춤 2022.04.22 4592
3478 미국 장례산업에 격변이 찾아왔다… 화장이 전체 과반 차지 2022.04.22 5156
3477 20대 운전자, 유죄 시인…한인 동승자 사망 2022.04.15 4645
3476 뉴저지주서 마리화나 4월 20일부터 판매 2022.04.15 4550
3475 5명 평균키 203㎝, 기네스북 오른 이 가족 2022.04.15 3228
3474 美에 분유대란…한번에 3∼4통 구매 제한 2022.04.15 3424
3473 브루클린 지하철 총격범, 체포 후 보석 불허 2022.04.15 5055
3472 5년새 범죄 악용 10배 급증…美, <유령총> 본격 규제 나섰다 2022.04.15 5348
3471 SAT 안 보는 아이비리그에 지원자 폭증 file 2022.04.15 4667
3470 팬데믹 끝나가자...죽쑤는 美밀키트 시장 2022.04.15 4809
3469 뉴요커 60%, “뉴욕시 떠나면 미래 나아질 것” 2022.04.09 4544
3468 뉴욕시, 팬데믹 후 인구 감소 비율 최고 file 2022.03.26 4613
3467 차량호출 우버, 앱으로 뉴욕택시도 호출 file 2022.03.26 5164
3466 뉴욕경찰이 포기한 로봇개…뉴욕소방국이 배치 2022.03.26 4481
3465 연말까지 매월 1인당 100불씩 지원 추진 2022.03.26 5118
3464 3살배기, 실수로 방아쇠 당겨 엄마 숨졌다 2022.03.26 4961
3463 비트코인 범죄 잡던 美 전직 검사, 15억달러 가상화폐 펀드 설립 2022.03.26 4948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