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장마철엔 설사 집에 비가 들이치더라도 환기하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습도가 올라가면서 호흡기질환의 주범인 총부유세균 농도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총부유세균은 공기 중에 떠있는 일반세균과 병원성세균을 뜻한다. 악취뿐 아니라 알레르기, 호흡기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먼지나 수증기 등에 붙어 생존하며 다른 실내 오염물질과 달리 스스로 번식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고농도로 증식한다. 대표적인 요인이 습도다. 

실내 습도가 70%만 넘어도 기준치를 초과한다는 실험도 있다.  장마철엔 실내 평균 습도가 연중 최고치인 80∼90%까지 올라간다.
실험에 의하면 장마철에 총부유세균 농도는 맑은 날보다 2.2~2.7배 높았다. 연구원은 장마철 온도와 습도가 총부유세균 번식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총부유세균 농도를 줄이는 방법은 간단하다. 환기만 하면 된다. 실험에 따르면 온도와 습도가 크게 변하지 않았음에도 환기를 하면 실내 총부유세균 평균 농도가 53.7% 줄었다. 

 

비가 올 때 창문을 열면 실내 습도가 높아진다고 우려할 수 있지만 공기질 관리를 위해서라도 하루 10분간 총 3번 정도는 환기해주는 게 좋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919 비타민C는 아침에 효과 많고… 홍삼은? file 2020.10.26
918 비타민A, 시력감퇴 예방 돕는다 file 2019.03.17
917 비타민 D, 겨울에 부족 우려…섭취 필요 file 2019.12.23
916 비아그라, 치매 예방 효과…27만명 5년간 의료기록 추적해보니 2024.02.17
915 비아그라, 치매 예방 효과 있다…27만명 5년간 의료기록 추적 2024.05.24
914 비슷하게 먹는데 나만 살찌는 이유는? file 2020.10.22
913 비만이 유방암 재발 위험 높인다…국제연구 결과 발표 2023.10.28
912 비만은 치매 요인…살 빼는 생활습관 file 2020.06.26
» 비가 와도 창문을 열어야 하는 이유 2022.06.17
910 비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늘어나는 추세 file 2019.07.08
909 블루베리 먹으면 혈관 기능 개선된다 file 2019.02.26
908 브룩 쉴즈, 입에 거품 물고 기절해 응급실로 실려가…무슨 사연? 2023.11.03
907 브로콜리, 치매, 암 예방에 도움된다 file 2019.03.31
906 브레인 푸드 블루베리에 관한 모든 것 file 2018.07.24
905 불청객 암 예방하고 이겨내려면 2024.05.10
904 불안한 일상… 당신도 혹시 불안증? file 2018.03.13
903 불안한 마음에 일상이 힘들다면… 2018.12.24
902 불안장애 급증…스트레스 호르몬이 뇌 자극…부정적 감정 지속 file 2020.07.10
901 불안감을 낮춰주는 5가지 음식 file 2018.03.06
900 불안 증상을 덜어내는 법 4가지 2022.02.04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