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한 사람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bookshop.org…동네 책방 2200곳을 살리다

거대한 제국의 지배 아래에서 살아남은 작은 책방들의 얘기가 있다. 미국의 거대 유통 업체들조차 맞서지 못했던 아마존의 무차별적인 공습 속에 이들은 어떻게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었을까. 키워드는 ‘아이디어’와 ‘공존’이다.
 

다운로드.png

앤디 헌터 북샵.org 창업자 /북샵.org
 

이 성공 스토리의 시작에는 한 남자가 있다. 앤디 헌터. 디즈니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비영리 출판사 일렉트릭 리터레이처의 창업자이자, 웹사이트 릿허브의 창립 파트너 겸 발행인. 이른바 출판업계 종사자다. 그는 2018년 미국서점협회의 한 이사와 만난 자리에서 동네 서점들이 아마존과 같은 대형 인터넷 서점으로 인해 얼마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전해 듣는다. 

당시 서점협회는 블로거와 기자들이 책을 인용하거나 리뷰할 때 아마존 대신 다른 독립 서점의 사이트로 연결하는 링크를 제공하는 ‘인디바운드(IndieBound)’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은 대실패였다.

1998년부터 출판업계에서 일한 헌터는 며칠 뒤 인터넷 서점의 온라인 구매 물류를 간소화하고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서점을 통합하는 것 같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서점협회에 보냈다. 기술전문 매체 와이어드는 “협회는 아이디어를 마음에 들어 했지만 거절했다”면서 “협회는 인디바운드가 잘되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었다”고 했다.

2년 뒤인 2020년 1월28일, 헌터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듬어 아예 직접 사업에 나섰다. 사이트 이름은 Bookshop.org다.  헌터는 “소규모 서점들을 하나로 묶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만들고 싶었고, 이런 서점들도 온라인에서 고객을 직접 찾을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다”면서 “이들을 돕는 것은 마치 의로운 십자군처럼 느껴졌다”고 했다.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주변 사람은 물론 일부 언론조차 사업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아마존이 장악한 시장에서 뭘 할 수 있겠냐는 것이었다. 서적시장 분석업체 북스탯에 따르면 아마존은 미국 전자책과 오디오북의 90% 이상, 인쇄물 판매의 42~45%를 차지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020년 bookshop.org 출범을 전하는 기사에서 “사람들은 아마존에 들어가면 책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모든 것을 살 수 있다는 것에 호의적이다”면서 “심지어 동네서점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조차 4분의 3 이상이 한 달에 평균 5회 이상 아마존을 이용한다”고 했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보다 더 큰 격차가 뻔히 보이는 상황에서 무모한 도전이라는 평가였다.

각자 꾸미는 인터넷 서점

실제로 고작 5명으로 뉴욕 한켠에서 시작한 북샵.org의 초창기는 암울했다. 투자자들은 “가치 있는 일이다”라는 반응만 보였고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았다. 헌터만 자신만만했다. 그는 “우리는 언젠가 100만달러(약 13억원)를 벌 수 있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헌터의 아이디어는 이런 식이었다. 북샵.org는 기본적으로 동네서점들이 입점하는 이커머스 사이트다. 얼핏 이베이나 아마존, 쿠팡의 제3자 입점 방식과 별다를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뜯어보면 북샵.org에는 동네서점이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자신의 개성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북샵.org에 입점한 서점은 자체적으로 개성 있는 서점을 꾸릴 수 있다. ‘사이언스픽션(SF) 전문점’, ‘아시아 역사 전문 서점’ ‘봄에 볼 만한 책 모아보기’ 같은 식이다. 이른바 서점의 세계관을 반영한 서점 진열대를 꾸미는데 몇 분이면 충분하다. 구매를 위해 개별 서점 사이트로 연결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다른 인터넷서점과 마찬가지로 북샵.org의 장바구니에 추가되고 각기 다른 서점의 책을 한번에 결제하고 주문할 수도 있다.

헌터는 단순한 인터넷 홈페이지가 아니라 대규모 유통망도 구축했다. 동네서점들이 인터넷 판매를 하지 못하는 걸림돌은 자체 사이트 구축과 재고 관리, 배송 등 셀 수 없이 많다. 이를 한번에 처리한 것이 헌터의 방식이다. 북샵.org는 서적 도매업체 인그램(Ingram)과 제휴를 했다. 동네서점은 북샵.org에서 직접 판매하고 배송할 수도 있고, 재고 관리와 배송을 북샵.org에 맡길 수도 있다. 북샵.org 사이트에 입점한 동네서점에서 판매가 이뤄지면 그 주문을 그대로 북샵.org가 넘겨받아 나머지 절차를 대행해주는 것이다. 동네서점이 북샵.org에서 책을 공급받는(실제로는 고객에게 바로 배송될 뿐 서점은 책을 갖고 있거나 보내지 않습니다) 가격은 표지 가격에서 30% 할인된 수준이다. 동네서점 입장에서는 30%의 마진이 무조건 보장되는 겁니다. 북샵.org는 동네서점이 입점만 하면 세금 납부와 회계처리까지 대행해준다.

하루에 100만달러 책 판매

북샵.org는 입점사들 가운데 판매와 배송을 일임하는 곳에는 정기적으로 북샵.org 전체 영업이익의 10%를 추가로 배분한다. 마치 협동조합 같은 개념이다. 와이어드와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개별 서점들 가운데는 수익 배분으로만 연간 수천만원을 버는 곳들도 적지 않다. 신규 고객도 대거 등장했다. 북샵.org은 꼭 실제 동네서점이 있어야만 가입할 수 있는 게 아니다. 헌터와 북샵.org는 블로거, 작가, 인플루언서 등 책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 모두 개인 자격으로 북샵.org에서 가입할 수 있게 했다. 이들에게는 책 가격의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동네서점이 책을 판매할 수 있는 고객까지 끌어들인 것이다.

헌터는 와이어드에 “코로나 팬데믹이 행운이었다”고 했다. 이 얘기는 팬데믹 기간 봉쇄가 이어지고 사람들의 외출이 줄어들면서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빅테크에 대한 쏠림 현상이 오히려 심각해졌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동네 서점들의 매출은 쪼그라 들었고 수많은 곳이 문을 닫았다. 동네 서점들이 돌파구를 찾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을 때 북샵.org가 등장한 것이다. 처음 창업 당시 200곳 정도였던 입점 업체는 가파르게 늘어났다. 2월에 5만달러였던 매출은 3월에는 하루 7만5000달러로 늘었고 4개월째가 되자 헌터의 목표인 100만달러의 매출을 돌파했다. 여름이 되자 하루 매출이 100만달러에 육박했다. 상상 이상의 바람몰이에 성공한 것이다.

북샵.org은 각종 사회 이슈의 혜택도 톡톡히 봤다. 흑인의 목숨을 소중히 해야 한다는 ‘흑인의 목숨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BLM)’ 운동이 2020년 재점화되자 흑인 소유의 입점 동네서점들을 전면에 내세웠고, 흑인 기업을 지원하려는 구매자들이 몰려들었다. 시카고의 한 흑인 동네서점은 2020년에만 무려 2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아마존에 불만이 많았던 작가와 유통업체, 출판사들도 북샵.org의 우군이 됐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고객들의 취향 변화도 북샵.org에는 유리한 조건이었다. 개별 동네서점이 꾸미는 북샵.org는 거대 서점이 할 수 없는 다양한 큐레이팅이 가능하다. 팬데믹 기간 여행서적 매출은 줄었지만 요리나 홈스쿨링 같은 카테고리의 책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서점은 반사이익을 얻었다.

아마존 대항할 ‘에브리씽 스토어’ 꿈꿔

사업에 궤도에 오르자 북샵.org는 동네서점과 중소출판사를 위해 전자책 서비스도 시작했다. 북샵.org는 처음 시작 단계부터 철저히 아마존과의 연결고리를 끊었다. 아예 주주 계약에 “아마존을 비롯한 동종 10위 업체에는 회사를 매각할 수 없다”는 조건을 넣었다. 헌터가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막은 조항이지만, 헌터의 제안이었다.

지금까지 북샵.org가 동네서점에 나눠준 수익셰어만 2500만달러가 넘는다. 현재 북샵.org에 입점한 동네서점은 미국과 영국을 합쳐 2200곳에 이른다. 뉴욕타임스, 버즈피드, 복스, 더 뉴리퍼블릭 같은 대형 온·오프라인 미디어들도 북샵.org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물론 아마존의 책 판매액은 연간 40억~50억달러에 이르니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실제로 북샵.org의 서적 매출은 아마존의 1% 수준이다.

하지만 헌터의 꿈은 훨씬 더 크다. 북샵.org로 성공을 거둔 헌터는 아마존이 없애버린 다른 영역으로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을 꿈꾸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철물점 같은 동네 상점과 장난감 가게다. 책을 공구나 장난감으로 바꿔서 생각해보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궁극적으로는 아마존과 같은 ‘에브리씽 스토어(모든 것의 상점)’를 소규모 상점의 연합체만으로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헌터의 생각이다.

다운로드 (1).png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602 뉴욕 지하철·버스, 28개월만에 마스크 벗고 탈수 있다 2022.09.09 4351
601 美대학, 인종차별 명예훼손으로 빵집에 배상금 500억원 물어줘야 2022.09.09 4350
600 “우리가 죽으면 천국에서 예수님을 볼 수 있을 거야” 2022.06.03 4349
599 초등학교서 총격범 막는 경찰 없었다…학살 방치 비판 고조 2022.05.28 4347
598 UMC교회 249곳, 동성애 문제로 탈퇴 2022.11.26 4344
597 美의회, 의사당 난입배후 트럼프 기소권고 2022.12.23 4341
596 미국서 아시안 증오범죄 무려 1만5천건…한인 타겟 2위 file 2022.07.23 4335
595 뉴욕시 스쿨 존 과속카메라 2천대, 내주부터 24시간 가동 2022.07.29 4323
594 코로나로 미국인 기대수명 또 단축돼 2022.09.02 4319
593 총격으로 고아된 4남매에 후원금 4백만불 2022.06.04 4316
592 코로나 지원금 730만불 탕진… 40대 美 남성, 최대 40년형 직면 file 2021.09.10 4314
591 공부보다 취직 먼저…美 대학 입학생, 전년보다 4.7%나 감소 2022.06.17 4312
590 “미국서 인도계 연간 12만달러 벌 때 한인 수입은 7만달러” 2022.05.21 4297
589 뉴욕시 지하철 타기 겁난다…승강장서 <묻지마 밀치기> 잇달아 발생 2022.10.29 4296
588 뉴욕일원 최우수 공립고는…뉴저지에 있는<하이테크놀로지고교> 2022.10.01 4277
587 뉴욕시 홈스쿨링 학생 2.4배 증가…코로나 사태 후 거의 1만 3천명 file 2023.04.22 4272
586 뉴저지, 마리화나 판매 시작…구입 장사진 2022.04.22 4265
585 여성도 담임목사직 허용해야?...개신교 美목사 절반만이 찬성 2022.08.26 4264
584 뉴욕주 시장출마 한인 인종차별 공격 당해 file 2021.10.23 4264
583 5년 뒤 달라질 뉴욕의 모습 네가지를 살펴보면? 2022.08.06 4263
Board Pagination Prev 1 ...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