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홀렸다…대륙에서 모자로 1조2천억 판매한 기업모자

posted May 26,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中 중국인들의 애국소비 뚫고 'MLB 모자' 1.2조 팔았다…패션과 전혀 상관없는 브랜드
스토리 입히자 줄줄이 인기…김창수 회장 승부수…3년만에 올해 매출 '2조 클럽' 유력

다운로드.png

 

다운로드.png

지난 4월 개점한 중국 상하이 MLB 매장이 방문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F&F 제공‘궈차오(애국소비)’ 열기 가득한 중국에서 미국의 상징이라고 할 만한 ‘MLB’ 브랜드가 잘나가는 건 이례적이다. 올해 초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기류가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나이키마저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게 중국시장의 실상이기 때문이다.
 

패션업계에 따르면 국내 패션업체 F&F의 라이선스 브랜드 MLB는 지난해 중국에서 1조2000억원어치가 팔렸다. 2019년 중국에 처음 진출한 뒤 단 3년 만에 올린 성과다. 세계적 금융투자회사인 골드만삭스마저 “지난 10년간 중국 패션시장에서 어떤 브랜드도 보여주지 못한 성장세”라고 평가할 정도다. 

‘패션계 미다스의 손’이라고 불리는 김창수 F&F 회장(61·사진)의 승부수가 통했다는 분석이 업계에서 나온다.

 

해외 브랜드 K패션으로 재탄생

김 회장은 김봉규 삼성출판사 창업주(88)의 차남이다. 동성고와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아버지 회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삼성출판사 계열 팬시 전문점 아트박스 사장을 지냈다.

김 회장은 1992년 ‘패션(fashion)’과 ‘미래(future)’의 영어단어 앞 글자를 따 F&F라는 자신의 회사를 설립했다. 아버지 회사에서 평범한 직장인의 삶을 살 수도 있었지만, 혈관에 흐르는 ‘사업가의 피’를 거부하지 못했다.
김 회장은 패션계에서 “브랜드 라이선스 사업에 일대 전환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해외에서 인기 있는 패션 브랜드를 무작정 들여오는 기존 패션업계 관행을 거부했다.

대신 패션과 전혀 상관없는 브랜드를 들여와 F&F만의 콘셉트를 입혀 재창조하는 방식을 택했다. 미국 내에서 모자, 야구용품 정도에만 적용되던 MLB 브랜드를 다양한 패션 아이템에 접목한 게 그렇다. 아웃도어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과 라이선스 계약을 2012년 맺어 패션 아이템으로 히트시킨 건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김 회장은 창업 후 줄곧 브랜드를 천착했다. ‘패션이란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를 옷으로 풀어내는 것’이란 게 그의 지론이다. MLB의 경우 “사랑하는 스포츠에 몰두해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를 담으려 했다”는 게 그의 얘기다.
디스커버리에는 자연을 통해 다양한 가치를 발견하는 라이프스타일 아웃도어란 정체성을 담았다. 애슬레저·아웃도어 열풍을 일찌감치 알아본 선견지명이란 평가도 있다.

 

포트폴리오 다변화 나서

F&F는 창립 30주년이던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66.0% 급증한 1조808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증권업계는 F&F가 올해 매출 ‘2조 클럽’ 가입이 유력할 것으로 본다.

특히 김 회장이 1997년 메이저리그베이스볼(MLB) 사무국으로부터 의류업 라이선스를 따와 론칭한 브랜드 MLB가 이끄는 중국에서의 성과는 업계에서 부러움의 대상이다. 중국 내 MLB 매장은 현재 880여 개다. F&F는 올해 MLB 중국 매장이 1100개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MLB가 앞으로 5년간 중국에서 연평균 30%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MLB는 올해 1조5000억원대 판매액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라이선스 브랜드인 MLB와 디스커버리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언제든 위협 요인으로 돌변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성공을 지켜본 두 브랜드가 직접 사업을 하겠다고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F&F는 최근 유명 해외 브랜드를 사들이며 사업을 다변화하고 있다. 2018년에는 이탈리아 패딩 브랜드 ‘듀베티카’, 지난해에는 미국 프리미엄 테니스 브랜드 ‘세르지오 타키니’의 글로벌 본사를 인수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왜 집 살 때 안 말렸어요?"…아파트 30~40% 폭락 20대, 30대의 최후

    올해 하반기 들어 부동산 시장 2차 하락 조짐이 나타나더니 계속되는 금리 고공행진에 가격이 뚝뚝 떨어지는 단지들이 나오고 있다. 도봉구 지역 대장주로 꼽히는 북한산아이파크 전용 84㎡는 지난 달 7억9000만원에 팔렸다. 지난 2021년 급등기 때 12억원을 ...
    Date2023.12.23
    Read More
  2. 미국내 한인은행들 성장 계속되고 있다

    자산 350억불 돌파…중국 이어 2위 금융권 규모 한인 은행들이 코로나19 사태와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자산과 예금, 대출 등 주요 외형 부문에서 전년 대비 성장세를 달성하면서 총 자산 규모가 350억 달러, 자본금 규모는 37억 달러를 각각 돌파했...
    Date2023.12.01
    Read More
  3. 치과 의사 월급 300만원?...간판만 걸면 돈 쓸어담던 호시절 끝!

    “예전엔 600~800(만원)까지 준 월급이 이제 서울에서는 300만원으로 떨어집니다.” 최근 한 유명 치과 의사 유튜버가 툭 던진 이 한마디가 논란이 됐다. 최근 치과 의사의 위상이 낮아지면서 1년 차 월급이 세후 300만원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것. ...
    Date2023.12.01
    Read More
  4. 한인 최초 뉴욕증시 상장한 기업가, 숙명여대에 600만불

    한인 최초 나스닥 상장 <텔레비디오> 창업자 황규빈 회장·황젬마씨 부부 황규빈 회장·황젬마씨 부부. /숙명여대 컴퓨터 네트워크 벤처기업 ‘텔레비디오’의 창업자인 황규빈(87) 회장과 황젬마(87)씨 부부가 숙명여대에 600만 달러...
    Date2023.11.25
    Read More
  5. 10대들 백화점, 한국 다이소, 매출 3조원….쿠팡·알리 공세에도 급성장

    가성비를 무기로 국민 가게를 표방한 오프라인 매장 다이소의 이례적인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1997년 1000원 숍으로 문을 연 다이소는 2010년대까지는 목욕 바구니·수세미·물품 정리용품 같은 저렴한 생활용품을 주로 파는 매장이었다. 2010년...
    Date2023.11.25
    Read More
  6. 양 줄이고 값은 올려… 식품기업 이익 폭증

    농심 2배, 빙그레 1.6배, 해태 75% 늘어 지난달 국제 밀가루 가격은 작년 10월보다 34.1% 떨어졌는데, 같은 기간 밀가루를 원료로 하는 한국의 파스타면(17.3%), 빵(5.5%), 시리얼(2.9%) 등의 가격은 거꾸로 올랐다. 식품 기업들이 한번 올린 제품 가격을 원...
    Date2023.11.11
    Read More
  7. <데이팅 앱> 만들어 재산 5억불 됐지만

    회사 떠나자 주가는 폭락 데이팅 앱 <Bumble> 대표 미국의 유명 데이팅 앱 범블(Bumble)의 최고경영자(CEO) 휘트니 울프 허드가 내년 1월 사임한다고 밝혔다. 2014년 범블을 창업한 지 10년 만이다. 범블은 여성이 대화를 통제하는 주도권을 가진다는 점에서 ...
    Date2023.11.11
    Read More
  8. 10월 한달에만 가계대출 2.5조나 급증해

    가계부채 위기땐 외환위기 몇십배…매우 위험한 상태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면 1997년 기업부채로 인해 우리가 겪었던 외환위기의 몇십 배 위력이 될 것이다.”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당정협의회에서 “가계부채 문제는 잘 관리해...
    Date2023.11.03
    Read More
  9. 뱅크오브호프 구조조정 - 직원 13% 감원

    뱅크오브호프(행장 케빈 김)가 전체 인력의 13%를 감원한다. 뱅크오브호프는 지난 3월 초에도 80명 정도를 감원한 바 있다. 이번에 추가 감원되는 인원은 약 190명 수준이다. 은행은 또 9개 지점 폐쇄 소식도 전했다. 여기에는 LA 지점 두 곳이 포함된 것으로...
    Date2023.10.28
    Read More
  10. “한국 올해 잠재성장률, 첫 1%대 추락…내년엔 美에 추월당해”

    한국 잠재성장률이 올해 처음 1%대로 떨어지는 데 이어 내년에 1.7%로 추가 하락할 것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이 나왔다. 내년 1.7% 전망치는 우리보다 경제의 성숙 단계가 높고 규모가 훨씬 큰 미국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저출생, 고령화...
    Date2023.10.28
    Read More
  11.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떼인 전세금 1.5조원…모두 세금으로 손실 메워야

    전세사기 보증금 회수율 9.7%…악성임대인, 3년새 4배 늘어…공기업 보증이 전세사기 늘려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상습적으로 돌려주지 않는 악성 임대인 대신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갚은 전세금이 1조7143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
    Date2023.10.21
    Read More
  12. 이자 연체 좀비기업 3900개, 자영업자 연체 최대

    코로나 때보다 늘어난 법인파산… <리먼 사태> 때보다 4배 많아 부산의 자동차 부품 도금업체 A사는 2017년부터 6년째 ‘한계 기업’이다. 일명 좀비 기업이라고도 부른다. 한계 기업이란 3년간 사업을 해서 번 돈(영업이익)이 대출한 원금은...
    Date2023.10.14
    Read More
  13. 한국의 코로나 빚잔치...원리금 상환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줄폐업

    경남 창원에서 미용실을 하던 박모(65)씨는 최근 가게를 폐업했다. 시중은행에서 2019년 약 7000만원, 2020~2021년 정부 소상공인 정책자금으로 약 8000만원을 대출받았는데, 최근 감당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자금은 2년 거치 후 3년 분할 상환...
    Date2023.10.14
    Read More
  14. 지하철 타는 게 낙…뉴욕타임스, 한국노인 무료승차 조명

    무더위엔 열차 나들이가 피서…지하철 적자로 무료 폐지 논의 한국의 노인들이 65세 이상에게 주는 지하철 무료 승차 혜택을 이용한 '열차 나들이'를 늘그막의 낙으로 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나이 든 지하철 탑승자들이 여행에서 ...
    Date2023.09.29
    Read More
  15. 안 쓴 마일리지 이렇게 많아?...대한항공 아시아나 3조4천억원 쌓여

    올해 상반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미사용 마일리지 규모가 3조4000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대한항공의 마일리지는 2조4,637억원, 아시아나항공의 마일리지는 9,429억 원으로 두 회사의 마일리지...
    Date2023.08.25
    Read More
  16. 기아, 2분기 이익 3조4천억원…역대 최대기록, 작년보다 52% 증가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 기아 본사 빌딩 모습./ 뉴스1 기아가 올 2분기 매출 26조2442억원, 영업이익 3조4030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2분기보다 각각 20%, 52.3% 증가한 것인데 모두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다. 영업이익은 현대차에 이어 국내 상장사...
    Date2023.07.28
    Read More
  17. 한국관광공사 사장 "올해 미국인 관광객 100만명 예상…팬데믹 전 수준"

    "한류 인기에 한미관계 강화 효과…2027년에는 전체 관광객 3천만명 유치 목표" 뉴욕 록펠러센터 '코리아 위크' 안내판 옆에 선 김장실 한국관광공사 사장 [한국관광공사 제공] 김장실 한국관광공사 사장은 올해 한국을 찾는 미국인 관광객 수...
    Date2023.07.22
    Read More
  18. 한국 최저임금 7년 상승률 63.5%…내년 최저임금 시간당 9860원

    지방도 서울처럼 똑같은 최저임금제…외국인 근로자도 적용받는다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시간당 9860원으로 결정했다. 올해 9620원보다 2.5% 오른 것이다.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를 할 때 월급으로 환산하면 206만740원이다. 최저임금...
    Date2023.07.22
    Read More
  19. 한국 자산의 46% 가진 노인층의 파워… 경제 주무르는 큰손됐다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 사는 72세 김종은(여·가명)씨는 약대를 졸업하고 40년째 현직 약사로 일하고 있다. 4년 전까지 직접 약국을 운영하다, 남편과 사별한 지금은 일주일에 한 번 아르바이트로 약국에 나가 생활비를 번다. 30평대 마포 신축 아파트와...
    Date2023.07.22
    Read More
  20. “알짜 브랜드 임차인 들어오면 텅빈 상가도 살릴 수 있습니다”

    빈 상가 채우는 노하우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똑같아…브랜드 업체를 유치하라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 내 어뮤즈스퀘어 상가에 자리잡은 베이커리카페 ‘슬로 광교점’은 190평 규모의 매장이다. 주말을 맞아 빵과 음료를 즐기는 고객들로 빈 ...
    Date2023.07.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8 Next
/ 6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