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PLACEHOLDER_image1.png

성인으로서 내가 원하는 건강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관계의 기술이 필요해진 때가 오기도 한다. 타인이나 주변 환경에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가는 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더 나은 관계를 위해 피해야 할 행동들, 미국 심리학 전문 매체 ‘Psychology Today’에서 소개했다.

 

1.  잘못에 책임감 대신 상대방을 비난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못된 관계를 만들어내는 데 자신이 어떻게 일조하는지 보다는 상대방의 행동, 자신이 생각하는 그 사람의 의도, 상처받은 감정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생각한다. 하지만 상대방에게만 초점을 맞추다 보면 해결책이 없다. 그보다 자신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면, 보다 생산적인 방법으로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힘은 상대방이 아니라 자기 자신 안에 있다

2. 상대방도 자신과 같은 생각이라 여긴다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투사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인지해야 한다. 투사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의 것으로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한 행동이 어리석다고 여겨졌을 때 동료들 또한 자신을 멍청하다고 여긴다고 착각한다. 물론 그러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 당신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갖지 않는다.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가 없다. 다른 사람도 자신의 생각과 같을 거라고 여기면서 스스로 깎아내리는 일은 피해의식을 만드는 결과가 된다.

3. 말을 지어내고 사실로 취급한다

상대방과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말은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다. 상대방과 이야기를 통해 확인하기 전까지, 그들에 대한 이야기 중 무엇이 진실인지 알 수 없다.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떤 의도를 가졌는지, 왜 그런 방식으로 반응하는지 등등, 그들에 대한 것이라면 그 어떤 것도 물어보지 않는 한 알 수 없다. 이것이 바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는 상대방과 확인하지 않은 채 믿어버리는 관계의 실수다. 이런 행동으로 인해 당신은 상처받고, 화나고, 불안해진다. 그리고 이 때문에 상대방과 멀어지게 된다. 상대방을 이해하려면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959 6시간 이하 수면, 심장관질환 높인다 file 2019.01.17
1958 70대 노인, <이것> 먹을때 치매 덜 걸려 2023.03.04
1957 70대가 되면 왜 급격히 쇠약해질까? 2022.06.03
1956 7세 이전 눈 평생 시력 좌우 file 2019.05.27
1955 7시간 수면이 보약...1~2시간 적게 자면 심장병 위험 높아져 2023.10.21
1954 9월 제철 과일들에 숨겨진 특별한 영양소를 즐기자 2022.09.02
1953 9월에 환자가 가장 많은 의외의 질환? file 2019.09.06
1952 TV, 스마트폰 많이 보는 10대들? file 2019.11.17
1951 TV, 스마트폰…아이 뇌 성장 방해 file 2019.11.09
1950 ‘장 속 유해균’이 아토피 주범 2017.06.27
1949 “50세 넘은 중년층, 이것 할 수 있을까? 2024.01.05
1948 “60대 중반부턴 초등생처럼 먹어라” 2024.05.17
1947 “극한 다이어트 실패 확률 높다” 2017.06.27
1946 “김치, 체중 감소 효과 있다...중장년 남성 비만 발병률 12% 감소” 2023.12.15
1945 “남편하고 같이 안 자요”…美서 유행하는 ‘수면 이혼’ 2024.04.12
1944 “내장지방 많은 중년, 알츠하이머 위험 커” 2023.11.25
1943 “맛있는 것 먹고 배우는 것이 장수 비결” file 2021.01.04
1942 “미국인들 우울증 심각…성인 5명 중 1명꼴로 우울증 진단 받아” file 2023.06.16
1941 “성장호르몬•당뇨약 투여하니 1년만에 신체나이 2.5세 젊어져” file 2019.09.11
1940 “손녀와 다니면 자매로 오해 받아…” 65세 할머니의 몸짱 비결은? 2024.05.1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05 Next
/ 1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