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자 선친 묻으러 한국 못간다니…바뀐 국적법 때문에 한인 2세 눈물

by 벼룩시장 posted Jul 28,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뉴욕한인 백정순씨, 한국 못가는 아들위해 윤 대통령에 국적법 개정 탄원서 보내

뉴욕에 사는 한인 백정순(72)씨는 한국 방문 길이 막힌 아들이 국가유공자인 선친의 유해를 충북 국립괴산호국원에 안장할 수 있도록 한국법을 개정해 달라는 탄원서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냈다. 40년 전 미국으로 이민한 백씨의 아들(37)은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인 2세다. 뉴욕 유엔 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백씨의 아들이 한국을 찾아 안장하길 원하는 아버지는 지난해 10월 75세 나이로 별세한 고 백두현씨로 월남전 참전 용사다. 1965년 백마부대 소속으로 참전해 3년간 베트남에서 싸웠다. 1984년 11월 세살배기 딸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 와 뉴욕에서 아들을 낳고 길렀다. 백씨는 탄원서에 이렇게 적었다. 

“남편과 30년간 ‘작은 거인’이란 상호로 이삿짐 센터를 운영했습니다. 비록 우리는 힘들게 살았지만 언제나 한국인임을 자랑스러워했고, 아이들에게도 한국인임을 잊어선 안 된다고 가르쳤습니다.”

백씨의 아들은 평생 고국을 그리워하며 산 고인의 뜻을 기려 아버지의 유해를 한국에 모시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그 과정에 생각지도 못한 소식을 들었다.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 시민인 줄 알고 살았던 그에게 본인도 모르는 한국 국적과 함께 병역 의무가 부과돼 있었다는 사실이다. 

백씨 모자는 “한국 호적에도 안 올라 있는데 졸지에 ‘병역 기피자’가 되어 있음을 알고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알았다. 아버지의 마지막 길을 아들이 배웅하지 못한다니 말이 되느냐”고 했다.

백두현씨(오른쪽에서 둘째)가 미국 이민 후 아내 백정순(맨 왼쪽)씨, 딸(맨 오른쪽), 아들과 나들이하는 모습. /백정순씨 제공

30여년 전 백두현씨가 미국 이민 후 아내 백정순씨, 딸, 아들과 나들이하는 모습. / 백정순씨 제공

세상을 뜬 백두현씨는 생전 가족들에게 “죽어서 고국에 묻히고 싶다”고 이야기해 왔다. 백씨 모자는 유언을 따라 한국 방문 준비를 하다가 뉴욕 총영사관으로부터 ‘한국 방문이 어렵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들이 ‘선천적 복수국적자’라 한국을 찾게 되면 미국에 곧바로 돌아오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이런 일이 생긴 이유는 2005년 개정된 국적법 때문이다. 가수 유승준(47)의 병역 기피 논란이 한창일 때 개정된 이 법에 따르면 한인 2세가 태어날 당시 부모 중 한 명이라도 한국 국적(영주권자 포함)일 경우 출생과 동시에 한국 국적이 자동적으로 부여된다. 만 18세가 되는 해 3월 전까지 한국 국적을 포기하지 않으면 만 37세가 되는 20년간 병역 의무가 부과된다. 그 기간 동안 한국 국적을 포기할 방법은 없다. 심지어 이 법은 1983년 이후에 태어난 모든 이들에게 소급 적용됐다. 백씨 모자에 따르면 개별 통지도 없었다고 했 다.

원정 출산 등을 악용한 병역 기피를 막겠다는 취지였지만, 실제 이민 가정에서 태어나 해외에서만 자란 한인 2·3세들이 졸지에 ‘잠재적 병역 기피자’가 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한인 2세 여성들도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맞닥뜨리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미국 정부 기관은 복수국적자를 꺼리는 경향이 있는데 취직 문턱까지 갔다가 자신도 몰랐던, 이중국적자라는 사실이 드러나 탈락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2020년 현행 국적법이 헌법상 과잉금지 원칙에 위반된다며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에 국회는 한국 국적 포기 신고 기한을 제한적으로 연장하는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한인사회에선 “국적 포기가 너무 어려워 현실성이 없다”는 불만이 여전히 나오고 있다. 또 법무부에 ‘복수 국적 탓에 불이익을 받았다’고 증명하는 자료를 제출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서류 처리 기간이 1년 넘게 걸리는 데다가, 승인도 거절되기 일쑤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추석 연휴 흥행 승자는 <천박사의 퇴마 연구소>

    10월 6일 뉴저지와 뉴욕에서 동시 개봉…티켓점유율 40% 넘어 흥행 대결이 벌어진 추석 연휴 극장가에서 배우 강동원의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감독 김성식)’이 승기를 잡았다. 이 영화는 오는 10월 6일 뉴저지 AMC릿지필드 팍2...
    Date2023.09.29
    Read More
  2. No Image

    한국국민 10명 중 9명, “한미동맹 중요”

    한국민의 90% 이상이 한미동맹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고, 절반 이상은 한미동맹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는 한미동맹 70주년을 계기로 한국갤럽에 의뢰한 ‘2023년 한미관계 국민 인식조사’...
    Date2023.09.29
    Read More
  3. 인플루언서의 놀이터로 전락, “소셜미디어가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

    유명인과 연관된 콘텐스만 지나치게 노출돼가…도배된 광고, 정치적 오염도 원인 직장인 김민지(34)씨는 12년 전 대학생 시절 페이스북에 가입했다. 사진을 찍어 일상을 친구에게 보여주고, 메신저로 대화했다. 직장인이 된 이후에도 그랬다. 그런데 3...
    Date2023.09.29
    Read More
  4. 美센서스국 통계 미주한인인구는 199만명…한국 외교부는 263만명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이 2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외교부가 조사한 2021년 미주한인인구는 약 263만4천명이다. 유학생과 일반 체류자 등을 포함했기 때문에 더 많은 수치를 나타냈다. 연방 정부의 인구조사인 2020년 센서스 결과를 분석한 ...
    Date2023.09.29
    Read More
  5. 앤디 김의원의 상원 출마…무모한 결정? 절호의 기회?

    메넨데즈 현 상원의원의 부패혐의 기소 후 전격 결정…후원금 모금 시작 앤디 김 연방하원의원이 연방상원의원 출마를 선언한 후, 벌써부터 후원자들에게 후원금 모금을 알리는 문자들을 보내기 시작했다. 미동부 유일의 한인연방하원의원이 전격적으로...
    Date2023.09.29
    Read More
  6. 3배 비싸도 아마존에서 불티나게 팔리는 한국제품

    아마존 뚫고 10개국 수출하는 '영주대장간' 석노기 장인 56년간 쇠 두드린 건 축복… 품질, 고가격 전략으로 승부 경북 영주에서 영주대장간을 운영하는 석노기 장인(70·사진)은 14세의 나이에 대장장이의 길을 걷기 시작된다. 초등학교...
    Date2023.09.29
    Read More
  7. 김대선 신부 순교 177주년... 바티칸에 세워진 첫 동양 성인 조각상

    한국인 최초의 가톨릭 사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21∼1846)의 조각상이 로마 바티칸에서 축성식을 마치고 일반에 정식 공개됐다. 이날은 김대건 신부가 순교한 지 정확히 177년이 된 날이었다. 2년여 간의 제작 기간을 거친 끝에 성 베드로 대성당의...
    Date2023.09.23
    Read More
  8. 美 한인인구 거의 200만명, 10년간 17% 증가…비한인 결혼 늘어

    미 전역에 거주하는 한인 인구가 지난 10년간 약 17% 증가한 총 199만명으로 거의 200만 명에 육박했다. 또 미주 한인 인구 10명 중 3명은 캘리포니아주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연방 센서스에 따르면, 미 전체 한인 인구는 혼혈을 제외하면...
    Date2023.09.23
    Read More
  9. 한인인구, 퀸즈 감소…뉴저지 버겐카운티는 증가

    뉴욕시 브루클린 특히 급증, 맨해튼도 한인인구 증가 뉴욕일원에서 그동안 한인인구가 가장 많았던 뉴욕시 퀸즈에 거주하는 한인인구가 지난 10년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센서스국 발표에 따르면, 퀸즈 한인 인구(혼혈포함)는 61,237명으로, 10년 전 ...
    Date2023.09.23
    Read More
  10. 윤대통령, 41개국 정상 만나 부산 엑스포 유치전

    윤석열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만난 각국 정상들에게 2030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전을 펼치면서 “엑스포는 월드컵이나 올림픽과는 확연히 다르다”며 “엑스포는 경쟁하는 장소가 아니라 연대의 장”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
    Date2023.09.23
    Read More
  11. 김건희 맨해튼에서 떡볶이 먹었다...엑스포 홍보 열심

    뉴욕 맨해튼 삼성837에서 떡볶이를 시식하고 있는 김건희 여사. 뉴욕을 방문 중인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부산 엑스포 유치 홍보를 위해 애쓰고 있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가나의 나나 아도 당콰 아쿠포아도 대통령과는 부부 동반 오찬을 하...
    Date2023.09.23
    Read More
  12. 뉴저지가 뭉쳤다…한인단체 대거 참여한 그레이스 유 구명위 발족

    그레이스 유 뉴저지 구명위원회가 뉴저지의 많은 한인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발족식을 개최했다. 이날 발족식에는 이창헌 뉴저지한인회장과 뉴저지지역의 전,현직단체장 20여명, 뉴욕지역 구명위원회측 관계자 5명, 그레이스 유씨 부모와 친척 등 30여명이 ...
    Date2023.09.23
    Read More
  13. ‘그레이스 유 돕기위한 범동포 구명위원회 발족

    3개월 미숙아 살해 혐의 1년4개월째 수감…한인사회 힘 모은다 지난해 5월 생후 3개월 아들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후 1년4개월째 수감돼 재판을 기다리고 있는 그레이스 유(한국명 유선민)씨를 위한 범동포 차원의 구명위원회가 발족됐다. ‘범...
    Date2023.09.15
    Read More
  14. 다큐멘타리 <킴스 비디오> 1월 미 전역서 개봉

    킴스 비디오 및 김용만 대표의 스토리 다뤄… 한국서 전국 동시 개봉 뉴욕 맨해튼에서 오랫동안 운영되어 왔던 <킴스 비디오>와 김용만 대표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타리 ‘킴스 비디오’(KIIM’S VIDEO)가 내년 1월 뉴욕을 비롯 미국 ...
    Date2023.09.15
    Read More
  15. 뉴욕주 한인, 8% 증가한 15만4천명… 뉴저지, 4.6% 감소한 10만8천명

    뉴욕주 한인 인구가 전년보다 9% 가까이 증가하며 15만 명을 넘었다. 뉴저지는 한인 인구가 전년보다 약 5% 감소해 10만 8천여명을 기록했다. 연방센서스국이 발표한 2022년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자료에 따르면, 뉴욕주의 한인 인구(혼혈 포함)는 15...
    Date2023.09.15
    Read More
  16. 강동원 <천박사 퇴마 연구소>, 10월초 미전역에서 개봉한다

    화제를 모으고 있는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감독 김성식)이 “10월 초 뉴욕과 뉴저지를 비롯한 미전역에서 개봉을 확정했다”고 미국 배급사 Well Go USA가 밝혔다.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은 귀신을 ...
    Date2023.09.15
    Read More
  17. 총격사망 시애틀 권이나씨 남편, 일식집 오픈

    사건 후 3개월만에….부인, 딸 잃은 슬픔 딛고 재기 지난 6월 시애틀 다운타운 대로에서 대낮 그야말로 ‘묻지마 총격’에 희생된 시애틀한인 권이나(34)씨의 남편이 과거 부부가 함께 운영했던 일식집, 아부리야의 영업을 재개했다. 아부리...
    Date2023.09.15
    Read More
  18. 교실서 김밥 만든 한인 소녀…“화장실서 먹었었는데…” 美이민자들 눈물

    초등학교 3학년 에이버리가 점심 도시락으로 김밥을 만들어 소개하고 있다. /뉴욕시 점심 도시락으로 김과 밥을 챙겨와 학교에서 만들어 먹는 한인 소녀의 영상이 미국에 거주하는 이민자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이민자가 낯선 음식을 싸 오면 친구들에게 ...
    Date2023.09.15
    Read More
  19. 한인 용의자들 ‘한 직장, 한 교회’로 연결…’그리스도의 군사’ 존재 의문

    에릭현-이준호 같은 직장, 이가원도 동료로 추정돼…3형제는 같은 교회 다녔다 이번 한국 여성의 시신과 관련해 살인과 시신은닉, 감금 등의 혐의로 체포된 한인 청년 및 청소년 6명의 범행에 대해 의문점이 커지고 있다. 귀넷 경찰은 이들이 ‘그...
    Date2023.09.15
    Read More
  20. 사이비 종교 한인 6명 공모해 한국서 온 20대 여성 엽기살인

    조지아주 한인타운서 발생 충격…종교단체 가입 20대 여성을 감금, 살해 후 경찰이 공개한 용의자들. 왼쪽부터 이가원, 이현지, 이준호, 이준현, 에릭 현. [귀넷 카운티 경찰국] 한인 형제들과 15세 청소년이 포함된 남녀 6명이 한국에서 미국을 방문한...
    Date2023.09.1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