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940년대 후반에 찍은 헨리에타 랙스(왼쪽). 오른쪽은 헨리에타 랙스에게서 채취해 지금도 의학용으로 활용되는 헬라세포. 세포의 특정부분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특수 염색 처리했다./헨리에타 랙스 재단
1940년대 후반에 찍은 헨리에타 랙스(왼쪽). 오른쪽은 헨리에타 랙스에게서 채취해 지금도 의학용으로 활용되는 헬라세포./헨리에타 랙스 재단

전 세계 실험실을 떠돌며 백신 개발과 의학 연구에 기여한 ‘불멸의 세포’가 70여 년 만에 법적 권리를 인정받았다.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는 헨리에타 랙스라는 흑인 여성의 세포를 무단으로 채취해 연구실에 판매한 바이오 기업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이 랙스의 유족에게 보상을 해주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합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1951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살던 다섯 아이의 어머니 랙스는 복부 통증과 이상 출혈로 존스홉킨스 병원을 찾았다. 당시 이 병원의 산부인과 의사들이 발견한 것은 자궁경부에 생긴 커다란 종양이었다. 랙스가 자궁경부암으로 죽어가고 있을 때, 의사들은 그의 동의를 받지 않고 종양의 세포 샘플을 채취해 실험실로 보냈다. 그때까지만 해도 몸 밖으로 나온 세포는 며칠 내 사멸했지만, 랙스의 세포는 살아남아 증식했다. 실험실에서 배양한 최초의 인간 세포인 셈이다. 랙스의 이름과 성에서 각각 두 글자를 딴 ‘헬라 세포’ 혹은 불멸의 세포라고 불렸다. 당시 서른한 살이었던 랙스는 그해 흑인 분리 병동에서 사망했고, 무연고 무덤에 묻혔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찍은 헬라 세포의 분열. /미국국립보건원(NIH)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찍은 헬라 세포의 분열. /미국국립보건원(NIH)

존스홉킨스 병원은 헬라 세포를 여러 실험실로 보냈다. 연구자들은 소아마비 바이러스가 어떻게 세포를 감염시켜 질병을 일으키는지 연구하는 데 이 세포를 사용했고 백신까지 개발했다. 헬라 세포 연구는 암, 파킨슨병, 독감 등의 질병에 대한 치료법 개발로 이어졌고 노화의 원인 규명에도 사용됐다.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헬라 세포는 전 세계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됐으며 지금까지 11만 건 이상의 과학 논문에서 인용됐다.

랙스의 유족은 연구기관과 바이오 회사들이 불법 채취한 세포를 사용하거나 세포사용법 특허권을 받았다는 것을 1973년에야 알았다. 연구기관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요구하는 전화를 받는가 하면 가족 병력이 의학 논문에 등장했기 때문이다. 랙스와 헬라 세포 그리고 유족의 이야기는 2010년 출간된 레베카 스클로트의 저서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의 삶’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베스트셀러가 된 이 책은 오프라 윈프리가 출연한 영화로도 만들어졌고, 책과 영화로 얻은 수익금은 헨리에타 랙스 재단 설립에 쓰였다. 2020년 미국의 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는 헬라 세포를 사용한 대가로 헨리에타 랙스 재단에 수십만 달러를 냈다.

 

유족은 2021년 헬라 세포를 배양해 전 세계 실험실에 판매했던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회사가 헬라 세포를 이용해 엄청난 수익을 올렸지만 랙스의 유족은 한 푼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서모 피셔 사이언티픽은 “공소시효가 만료됐다”며 소송을 기각시키려고 했지만 유족은 “세포는 랙스 그 자체이며 세포가 여전히 복제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 소송은 2년 만에 합의에 다다랐다. 유족 측 변호인은 “앞으로 다른 기관과 회사를 상대로도 소송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美경찰, ‘보디캠 착용 보너스’ 논란... “비리 감시하는데 돈 주나”

  2. 뉴욕시민 86% “난민유입은 심각한 문제”

  3. 美공화당 대선후보 38세 인도계 돌풍…트럼프 대항마로 급상승?

  4. 트럼프, 美대통령 최초로 머그샷…눈 부릅 뜨고 정면 응시

  5. 뉴저지 아시안 경찰관 전체의 1.6% 불과…아시안 주민 인구는 10%

  6. 전세계 4개국만 가진 스텔스 무인기, 대한항공이 생산

  7. 6년만에 열린 한국의 민방위 훈련…국민들은 우왕좌왕

  8. 트럼프, '소송비용 바닥' 줄리아니 도움 요청에도 냉담

  9. 美 교사부족 심각…통학버스 운전사 등도 부족

  10. 맨해튼 월가에서 뉴욕시장이 태극기 계양

  11. 김밥, 떡볶이 미국마트 휩쓴다?...트레이드조서 인기

  12. No Image 18Aug
    by
    2023/08/18 Views 3284 

    미국법원, “남친은 여친에 12억불 배상하라"

  13. 와주시면 연봉 10만불 드립니다…美서 몸값 치솟은 이 직업은?

  14. 영화 <바비>, 북미지역 흥행 돌풍…美여성들의 페미니즘, 낙태권 옹호

  15. 지난해 자살한 미국인 4만9천명…역대 최대, 절반은 총기로 자살

  16. 취업·가족이민 대부분 제자리 걸음…올스톱

  17. 뉴욕시 지하철서 "너희나라로 가”…한인여성, 안경 깨지고 머리채 잡혀

  18. 범죄에 관용 베풀었지만… 워싱턴D.C 살인 30%이나 늘었다

  19. 코로나 사태 후 뉴욕시 아동들의 읽기 능력, 급격히 하락…뉴욕시 비상

  20. 미 개신교 목회자 70%, “미래에 대한 두려움 있어”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