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민촌 성공신화 몰락...빚 355조 파산설 중국 헝다그룹

by 벼룩시장 posted Aug 25, 2023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자수성가 신화로 유명한 쉬자인 회장…전기차 사업 확장에 위기 가속

최근 355조원 빚을 떠안고 파산설이 불거져 중국은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을 긴장하게 만든 중국 부동산기업 헝다(恒大)그룹의 쉬자인 회장(사진)은 중국의 대표 자수성가 사업가다. 그러나 과도한 차입과 무리한 사업 확장 끝에 그의 성공 신화는 비극으로 막을 내리기 직전에 내몰렸다.

쉬 회장은 1958년 허난성 저우커우시 변두리 빈민촌에서 출생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일 년 만에 패혈증에 걸렸지만 병원에 갈 돈이 없어 치료도 못 받고 사망했다. 그는 할머니 손에서 자랐다.

1978년 우한 강철학원에서 금속을 다루는 야금학과에 3등으로 입학했지만, 국가 보조금에 의지해 겨우 생활했다. 철강·무역 회사를 거쳐 1996년 중국 남부 중심 도시 광저우에 헝다부동산을 차렸다. 1994년 그가 주도한 광저우시 주택 단지 건설 성공으로364억원을 이전 회사에 벌어다 준 경험이 창업의 밑바탕이 됐다.

당시 규모 위주였던 부동산 트렌드와 달리 ‘작은 면적, 낮은 가격’을 내세워 성공을 거뒀다. 1999년 광저우 내 부동산 기업 중 7번째로 큰 기업이 됐고, 1997년 20명도 채 되지 않던 직원 수가 2004년 2000명을 넘었다.

2011년부터 10년 연속 중국 내 최대 기부자 명단에 오르는 등 사업 이외에서도 주목을 끌었다. 그가 낸 기부금만 2조6600억원에 이른다. 2010년엔 중국 프로 축구 광저우팀을 인수해 2013년 중국 축구 사상 최초로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거머쥐기도 했다.

그러나 토지 국유 제도를 바탕으로 규제가 심한 부동산보다 전기차가 유망하다 보고 2019년 2월 본격적으로 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위기가 가속화됐다.

2018년부터 정부 부동산 규제가 강해지자 중국 부동산 기업들은 전기차 부품 단지 조성 등으로 허가를 받고 일부를 상업용 부동산 개발로 전용하는 방식을 썼다. 정부는 전기차 산업도 키우고 부동산 문제도 해결하겠다는 차원에서 이를 용인했다. 쉬 회장도 이런 분위기에 편승한 셈이다.

작년 7월 홍콩 증시에 상장돼 있던 의료 서비스 업체 ‘헝다헬스’를 ‘헝다차’로 개명했다. 광저우·상하이·텐진 등에 공장 건설 등 초기 투자에만 20억달러를 넣고 내년부터 연 50만대를 생산해 2025년 세계 최대 전기차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도 발표했다.

차가 단 한 대도 팔리지 않았는데 작년 5.6홍콩달러 정도였던 주가가 최근 70홍콩달러로 1150% 급등했다. 시가총액(860억달러)은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테슬라·도요타·폭스바겐·다임러에 이어 다섯 번째로 커졌다. 113년 역사의 제너럴모터스(GM·840억달러)도 능가했다.

그러나 전기차 업계에선 2023년이나 돼야 양산이 가능할 걸로 평가했다. 품질을 평가 받고 돈을 벌기도 전에 회사 명성과 미래 전망만으로 주가가 고평가됐던 것이다.

내부 자금 사정은 더 나빴다. 작년 중국 회사채 부도 사태가 본격화됐고 헝다그룹의 채권도 작년 9월 말 투매에 가깝게 팔렸다. 그만큼 회사의 재무구조가 악화됐다는 뜻이었다. 결국 지방 공기업에 주식 46억달러를 파는 식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사실상 구제금융을 받은 셈이다. 작년엔 아파트 가격을 30% 낮춰 서너 차례 떨이 판매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헝다그룹이 올해 안에 갚아야 할 채권 이자액만 6억7000만달러에 달한다. 헝다의 달러채권은 지난 5월말 80센트에서 이달 28센트로 65% 급락했다. 달러채 규모는 266억달러에 달한다.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에 돌입하면 헝다 채권 투자자들은 최소 75%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말도 돈다. 미국 블랙록·스위스 UBS·프랑스 아문디 등 헝다 채권을 산 유수의 글로벌 투자사들은 손실에 직면해 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26Jan
    by
    2024/01/26

    “북한, 곧 한국에 치명적 군사행동 가능성"

  2. 19Jan
    by
    2024/01/19

    평양→서울 1분컷,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정말 무적일까…두려운 존재

  3. 11Nov
    by
    2023/11/1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어느 쪽 지지?…미국 대학교마다 갈등 폭발

  4. 15Dec
    by
    2023/12/15

    "크루아상 대신 도넛"…팬데믹 거치며 입맛 바뀐 프랑스 젊은 층

  5. 02Feb
    by
    2024/02/02

    15불로 드론 격추... 1km거리 동전 맞히는 영국 레이저 무기

  6. 09Dec
    by
    2023/12/09

    “AI의 일자리 공습에도 잘 버틸수 있을 것”

  7. 25Nov
    by
    2023/11/25

    세계 AI 인재 비중 美 39%, 중국 4.6%…한국은?

  8. 01Dec
    by
    2023/12/01

    중국의 디플레이션 위기를 부르는 주범은 돼지고기 값 폭락

  9. 11Nov
    by
    2023/11/11

    전쟁 후 美전역서 이스라엘 채권 10억불 매입…이스라엘 지지 표명

  10. 26Jan
    by
    2024/01/26

    미국경제, 깜짝 성장…중국과 세계 최대경제국 경쟁서 우위 확대

  11. 11Nov
    by
    2023/11/11

    규제강화로 중국떠나는 국제학교들…美학생 2015년 15,000명→350명

  12. 12Jan
    by
    2024/01/12

    서방 다국적군, 예멘 전역에 미사일 공격

  13. 11Nov
    by
    2023/11/11

    개도국 목줄 죄는 중국...전세계 뿌린 차관 1500조 절반이 만기

  14. 09Dec
    by
    2023/12/09

    난민의 천국 스웨덴, 최악의 범죄국가 됐다

  15. 02Feb
    by
    2024/02/02

    美, 이라크·시리아서 이란세력에 보복공격

  16. 11Nov
    by
    2023/11/11

    “북한, 하마스 지원 지시 정황도…한국 겨냥 해킹 80%는 북한, 중국”

  17. No Image 11Nov
    by
    2023/11/11

    한인타운 찾은 영국 찰스3세 ,“매운 김치 먹으면 머리 터지나요” 농담

  18. 21Oct
    by
    2023/10/21

    중국보다 10살 젊은 인도, 10년뒤 세계 경제 넘버2 넘보는 이유는?

  19. 28Oct
    by
    2023/10/28

    GDP로 세계 5위, 미국 내 6250만명…모든 분야서 라틴 파워

  20. 03Nov
    by
    2023/11/03

    북한, 한국 겨냥한 핵무기 180기…몇년 후 300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6 Next
/ 9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