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타는 게 낙…뉴욕타임스, 한국노인 무료승차 조명

posted Sep 29,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무더위엔 열차 나들이가 피서…지하철 적자로 무료 폐지 논의

image1.png

한국의 노인들이 65세 이상에게 주는 지하철 무료 승차 혜택을 이용한 '열차 나들이'를 늘그막의 낙으로 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나이 든 지하철 탑승자들이 여행에서 기쁨을 찾는다"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뉴욕타임스는 다양한 '지하철 여행자'들의 일과와 목소리를 조명했다.

8월의 어느 날 무더운 날, 고운 한복에 운동화, 밀짚모자 차림으로 집을 나선 이진호(85) 씨는 집 근처 4호선 수유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1차례 환승해 1시간여 만에 1호선 종점인 소요산역에 도달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하다 은퇴한 이씨는 역 근처를 거닐다 그늘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뒤 다시 남쪽으로 향하는 열차에 올라탔다.

전날엔 지하철에서 내리지 않고 4호선과 수인분당선, 1호선을 갈아탔다. 그는 시간을 보내는 데에 공짜 지하철 타기만큼 좋은 것이 없다며 "집에 있으면 지루하고 누워만 있게 된다"고 말한다.

뉴욕타임스는 많은 노인이 이씨처럼 지하철을 타고 종착역까지 가거나 혹은 특별한 목적지 없이 다니다 집에 돌아오며 하루를 보낸다고 전했다.

특히 무더운 여름에는 에어컨이 잘 나오고 오가는 사람들을 구경하기에 좋은 데다 노선도 많고 긴 수도권 지하철은 소일하기에 더할 나위가 없다는 것이다.

지하철 나들이에 나서는 노인들은 나이도 이전 직업도 다양하다.

뉴욕타임스는 노인인구 증가로 서울에서 지하철 무료승차 대상이 연간 승차인원의 15%를 차지하게 되면서 '지공거사'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이들의 존재감이 커졌다고 소개했다. '지하철 공짜'에 일을 하지 않고 노는 사람을 뜻하는 '거사'를 붙인 자조적인 표현이다.

이 '지공거사'들은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나름의 규칙도 있다고 한다. 사람들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는 피하기, 자리를 양보해야 한다는 부담을 주지 않도록 앉아있는 젊은이들 앞에 서 있지 않기 등이다.

신문은 지하철 적자로 노인 무료 승차를 폐지하거나 기준 연령을 올리는 방안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지만, 노인 빈곤율이 일본이나 미국의 두배에 달하는 한국에서 1회 탑승 요금 1천500원을 아낄 수 있다는 것은 어르신들에게 작지 않은 의미가 있다고 짚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014 찬바람부는 한국 배달업계…외식은 호황, 배달 주문은22% 줄어 file 2021.11.20
1013 차세대 K뷰티, 글로벌로 질주한다…2년째 10조원 수출 증가 2024.04.05
1012 차라리 폐업시켜!…아모레 가맹점들 절규 file 2020.10.22
1011 짜투리 시간 이용해 부수입...요즘 한국서 뜨는 '틈새 알바' file 2019.08.13
1010 집값 하락?…"정부 눌러도 2년만에 10억 상승" file 2018.06.09
1009 집값 오르고 돈은 없고…수백만 미국인, 집 팔아야 할 수도 file 2020.09.21
1008 집값 상승, 주거만족-행복감 높이는 데 기여? 2022.01.21
1007 집값 상승 1위였던 노원과 의왕, 1억원 넘게 떨어졌다 2022.01.15
1006 집 한 채 가진 게 죄인가…한국 은퇴자들, 재산세에 비명 file 2020.07.24
1005 집 지을까, 기존주택 살까? 장단점 따져봐야 file 2018.10.16
1004 집 보유 여부에 따라 커진 한국의 자산 격차...곳곳에서 절망만 file 2022.04.22
1003 직원없는 나홀로 사장…한국 자영업자20만명 증가 file 2020.09.15
» 지하철 타는 게 낙…뉴욕타임스, 한국노인 무료승차 조명 file 2023.09.29
1001 지체장애 며느리 상습 성폭행 file 2018.06.19
1000 지방에서 늘어나는 깡통주택, 깡통 전세 file 2018.11.13
999 지난해 전국 땅값 4% 상승↑…'3기 신도시' 하남·과천은 7% 올라 2020.01.28
998 지난해 부동산 임대업 사업자 등록 사상 최대 file 2018.11.10
997 지광스님측 "대선 일주일쯤 앞두고…김백준 지인 통해 전달" file 2018.03.20
996 중소·중견기업 가리지 않고 청년 1명에 1천만원 지원 file 2018.03.20
995 중국인 홀렸다…대륙에서 모자로 1조2천억 판매한 기업모자 file 2023.05.26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68 Next
/ 6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