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아마존에서 해고된 브리얀 로케는 그해 말 IBM에 재취업했다. 이후 소셜미디어 운영사 메타에서 일자리 제안이 오자 로케는 두 회사에서 동시에 일하기로 결심했다. 아마존에서 잘린 이후 커진 고용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었다. 그는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IBM과 메타 외에 요즘에는 데이팅앱 운영사인 틴더에서도 일하며 모두 82만달러를 받고 있다”고 했다. 3곳에서 주는 월급을 합쳐 10억원이 넘는 연봉을 챙기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 직장인들 사이에서 ‘잡 저글링(job juggling)’이라고 부르는 겸직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재택 근무를 활용해 동시에 복수의 기업에 소속돼 일하며 돈을 더 번다는 얘기다. 지난 1월 미국 HR컨설팅사 레주메빌더가 1272명의 재택 근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9%가 “지난해 2개 이상의 기업에 취업한 상태였다”고 답했다. 

겸직자들이 크게 늘어나는 이유는 재택 근무가 보편화된 근로 환경을 이용해 ‘다중 월급’으로 소득을 늘리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직업을 갖고 있어야 고용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는 인식도 퍼지고 있다. 레주메빌더 조사에서 겸직을 하는 근로자의 52%가 연간 10만달러가 넘는 돈을 벌었다. 이 조사에서는 정리해고를 경험해본 IT 업계 근로자의 95%가 “해고됐을 때 버틸 수 있게 도와주는 ‘경제적 쿠션’을 갖기 위해 겸직을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직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면서 겸직이 늘어난 측면도 있다. 근로 시간과 일하는 방식에 대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더 많이 원한다는 것이다. 

잡 저글링을 한다고 해서 과로에 시달릴 만큼 업무량이 늘어나지는 않는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상사가 보지 않는 곳에서 재량껏 시간을 배분할 수 있는 데다, 대체로 ‘돈 받는 만큼만 일하겠다’는 태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잡 저글링이 앞으로도 계속 유행할지는 미지수다. 코로나 사태가 사실상 종식되면서 기업들이 사무실 복귀를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 인사 담당자들도 잡 저글링의 유행을 알고 대처 방안을 내놓고 있다. 한 설문조사에서 겸직을 하고 있는 근로자의 69%는 새로운 회사에 입사할 때 전 직장의 퇴사를 명확하게 증명하라는 요구를 받았다고 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55 미국 4분기 성장률 3.3%...시장 전망치 크게 웃돌았다
1854 美 소비 계속 좋다… 금리, 올 봄에 내려갈 것이란 기대 사라져
1853 미국 최대수입국은 중국 아닌 멕시코…낮은 임금·토지비용 장점
1852 비트코인 제도권 입성...“400조 유입, 1개당 2억원까지” 전망
1851 美주식 93%, 상위 10% 부자가 독식…역대 최고
1850 美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4%로 반등…주거비, 물가상승 절반 기여
1849 美 12월 고용 깜짝 증가…조기 금리인하 후퇴 예상
1848 미국 연방정부 부채 처음으로 34조달러 넘어…美경제에 리스크 우려
1847 몰락했던 디트로이트, 전기차 갈아타고 부활
1846 美 셰일 오일의 역습…2개의 전쟁·사우디 감산에도 유가 눌렀다
1845 3일만에 12억불 벌었다…1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터진 ‘F1잭팟’
1844 부채의 악순환…세계 최빈국들이 선진국서 빌린 돈 3조 5천억불
1843 사무실 임대시장…서울 북적, 뉴욕 텅텅
1842 美모기지 금리, 여름 이후 첫 7% 미만…맨해튼 11월임대료 하락
1841 美 연준 금리 동결, 내년 3차례 인하 예고…연 5.25%~5.50% 유지
1840 은행 상업부동산 대출 3조달러…부실 위험
1839 차로 맨해튼 가려면 최소 15불 더 내야...뉴욕시의 교통난 고육책
1838 GDP 1위, 초강대국인데…미국인구 3800만명은 왜 가난에 허덕일까
» 투잡, 쓰리잡 뛰면서 연 10만달러도 번다…취업 환경 바뀌는 미국
1836 리먼 브라더스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미국 상업용 부동산 위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5 Next
/ 9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