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3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저녁 약속 싫어하는 젊은 층 경향으로 美 유흥산업도 변화하고 있는 중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거나 노는 대신 밤 9시에 취침하는 미국 Z세대 젊은이들이 늘고 있다. 이 같은 트렌드에 따라 작년 뉴욕의 한 술집에서는 새해 전야 카운트다운 행사를 밤 8시에 열어 참석자들이 밤 11시 전에 집에 돌아가 잘 수 있도록 하기도 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18세부터 35세까지의 젊은이들이 건강을 위해 밤늦게까지 놀기보다는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을 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적정 수면 시간과 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깨닫게 된 젊은이들이 취침 시간을 앞당기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침대 제조업체 슬립넘버가 구매 고객 200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8~34세 고객은 지난달 평균 밤 10시6분에 잠자리에 들었다. 이는 작년 1월의 밤 10시18분보다 12분 이른 시간이다.

수면시간도 늘었다. 미국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 렌트카페의 조사에 따르면 2022년 미국 내 20대 청년들의 평균 하루 수면시간이 9시간28분이었다. 이는 2010년 20대의 평균 수면시간인 8시간 47분보다 8% 증가한 것이다.

버클리대 학생인 에마 크래프트(19)는 “밤 9시 이후로 내게 좋은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며 매일 밤 9시30분 이전에 잠이 들기 위해 노력한다고 했다. 그는 “일찍 자는 것에 많이 익숙해졌고 훨씬 개운하다”며 이런 수면 패턴에 점차 적응되자 주변 친구들은 크래프트에게 ‘이른 수면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한다고 했다.

오클라호마주 털사에 사는 매들린 서그(25)는 지난해 11월부터 밤 9시에 잠자리에 드는 생활에 적응한 이후 스트레스와 불안감에서 벗어났다고 말한다.

이전에는 주말에 꼭두새벽까지 술을 마셨지만, 지금은 평일 저녁 5~6시에 재즈 쇼를 보거나 술을 마신다고 한다. 그는 일찍 잠자리에 들면서 정신적 건강이 좋아졌을 뿐 아니라 야식과 술값에 들어가던 비용 수백달러도 아낄 수 있었다고 전했다.

젊은층이 늦은 저녁 식사를 거절하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면서 유흥산업도 변화를 겪고 있다.

식당 평점 사이트 옐프에서 오후 4~6시대 식당 예약 건수가 차지하던 비중은 현재 31%로 2017년 19%보다 높아졌다. 반면 오후 6시부터 자정 사이의 예약 건수 비중은 줄었다.

뉴욕시 이스트 빌리지에 있는 한 술집은 낮에 식사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이른 시간 댄스파티를 여는 실험에 나섰다.

이곳에서는 오후 5시에 시작하는 ‘마티네’(평일 낮에 이뤄지는 공연) 행사를 작년에 네 차례 개최했다. 작년 12월 31일에 열린 마티네에서는 참가자들이 자정 대신 오후 8시에 새해맞이 카운트다운 행사를 열었는데, 이 행사는 대기자만 200명일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4107 "내년 10월 美 최대 도시공원에 '한국의 집' 홍보관 개관" file 2019.11.17 6640
4106 "내년 10월 美 최대 도시공원에 '한국의 집' 홍보관 개관" file 2019.11.20 7183
4105 "내주 리용호 뉴욕도착…북한과 즉시 협상" file 2018.09.22 7345
4104 "뉴욕 로체스터대에 학생들 안 보낸다" file 2017.11.24 8933
4103 "뉴욕 지하철에 '쌀밥 도시락 등 음식 금지해야…." file 2017.07.23 8730
4102 "뉴욕→LA 자전거로 횡단 20대 한국인, 교통사고로 숨져" 2019.11.09 8226
4101 "뉴욕방문 한국인, 작년 41만6천명" file 2018.04.15 11776
4100 "뉴욕서 20명죽은 리무진 사고는 운행불가 개조차량 탓" file 2018.10.14 9390
4099 "뉴욕시 곧 봉쇄조치 취한다"…주말에 퍼진 가짜뉴스 진화 나서 file 2020.03.18 7300
4098 "뉴욕시 예산 4년간 33억불 적자 우려" 감사원 밝혀 2019.03.05 7223
4097 "뉴욕에선 3층이상 아파트 창문에 보호대 설치 반드시 필요" file 2019.08.06 8935
4096 "뉴욕주 공무원들 이민자 신분 확인 못한다" file 2017.09.19 8564
4095 "뉴저지주 16일 오후 8시부터 새벽 5시까지 통행 및 영업금지" file 2020.03.18 5833
4094 "단기간에 주한미군가족 철수하는 비상대응 계획 수립중" file 2017.12.26 9739
4093 "대선 패하면 美경제 붕괴, 증시 폭락" file 2019.06.19 8812
4092 "돈주는 알래스카서 살아볼까?" file 2017.07.31 23918
4091 "동성애는 죄" 표지판 세운 교회 목사 사임 file 2019.01.22 8751
4090 "드림법안 처리 해 넘기지 말아야" file 2017.12.12 8472
4089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때문에 불합격" 청원서 file 2019.05.12 8130
4088 "또 가정참극"…경찰 대치 美여성 관찰관 자녀 2명 살해 후 자살 2019.12.17 71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