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복음주의 교회의 파워 분석…경제와 이민문제 판세 또한 중요 변수
 

트럼프의 인기는 왜 유별날까. 그는 2020년 11월 재선에 실패한 후 각종 수사와 소송으로 정치적 생명이 다 끝난 것처럼 보였다. 그런 그는 어떻게 다시 유력한 대선 후보로 4년만에 ‘부활’할 수 있었던 걸가?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베스트 셀러 ‘The Kingdom, the Power, and the Glory’는 언론인 팀 알버타의 신작이다. 

알버타는 책에서 트럼프가 재선 실패의 나락에 떨어졌는데도 바이든 재임 기간 내내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다 다시 대선에 도전할 수 있는 저력은 ‘미 복음주의 기독교’ 세력에 있다고 짚었다.. 

알버타의 책, 그리고 여러 정치 서적·기사·논문을 보면, 미국에서 복음주의 기독교 세력의 정치적 영향력은 막강하다. 복음주의 교회는 대체로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종종 후보의 도덕적 가치와 정책 입장을 기준으로 투표하며, 이러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정치적 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낙태, 동성 결혼, 종교의 자유 등의 이슈에 관심이 많다.

알버타는 이와 관련, 어쩌면 가장 부도덕한 인생 궤적을 가진 트럼프를 교인들이 지지하는 건 참으로 아이러니하다고 꼬집는다.

트럼프는 흔들리지 않은 콘크리트 지지세력을 갖고 있기에 2020년 대선에서 바이든에게 패하고 갖은 죄목으로 형사·민사 소송을 당한 상황에서도 버틸 수 있었다는 것이다. 

복음주의 기독교 세력은 미국 사회와 대중 문화에 대해서도 큰 영향력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교육,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들의 가치를 반영하려 노력하며, 종종 이러한 분야에서의 활동을 통해 더 넓은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없다는 점 등도 큰 몫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 정치의 한 축인 복음주의 기독교가 없었다면 트럼프가 지금처럼 공고한 지지세를 가지고 출사표를 던질 수 없었을 것이라고 알버타는 주장합니다.

미 복음주의 교회가 지지해 대통령이 된 인물은 트럼프 말고 3명이 더 있다.

39대 대통령인 지미 카터(재임 1977~1981), 40대 대통령인 로널드 레이건(1981~1989), 43대 조지 W.부시(2001~2009)이다.

지미 카터는 이례적으로 민주당 출신으로 복음주의 교회의 지지를 받았다. 그가 독실한 복음주의 기독교인인 점이 그들의 마음을 샀다. 하지만 정작 재임을 하면서는 낙태, 동성애, 1979년 이란 주재 미 대사관 인질 사건 등을 놓고 복음주의 측과 충돌했다. 결국 카터는 이들의 지지를 잃어버렸고, 재선에 실패했다.

왼쪽부터 버락 오바마, 조지 W. 부시, 빌 클린턴, 지미 카터 미국 전 대통령.

왼쪽부터 버락 오바마, 조지 W. 부시, 빌 클린턴, 지미 카터 미국 전 대통령.

복음주의의 세속적 정치적 열망과 응집력도 ‘경제’를 넘어서기는 쉽지 않다. 

피부로 와닿는 일상 속에서 그 정부가 유능한지 무능한지를 깨닫게 한다. 남미 국경을 가로막든 난민을 받아들이든, 동성애 정책을 어떻게 펴든, 경제가 어떻느냐가 선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바이든은 지금 좌불안석이다. 고금리 기조가 이대로 가면 유권자의 가계 부담도 계속돼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연준이 일찌감치 금리를 낮추면 가계 대출 부담도 줄어들고, 유권자들은 한숨 돌리게 된다. 

미국민들은 고물가, 인플레이션을 확실히 느끼고 있다. 고금리로 미국 부동산 거래가 얼어붙었다. 확실한 것은 요즘 일반 미국인들의 일상이 팍팍하다는 것이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1. 美 불법이민, 2년만에 54배나 폭증한 이유?...바로 중국인들 때문

    수만명의 중국인들, 미국 국경 넘기 위해 남미 <죽음의 정글> 밀려오고 있다 작년 한 해 멕시코와 접한 서남부 국경을 통해 미국으로 불법 이민을 시도하다 체포된 중국인 숫자가 3만7439명으로 집계됐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따르면 이는 2년 전인 2...
    Date2024.02.23 Views1877
    Read More
  2. 美 연방대법원, 아시안 학생들에 불리한 명문고 입학제 유지

    대법원, “아시안학생에 대한 차별 아니다” 2심 판결을 심리 없이 확정 대학 입시에서 소수인종을 우대하는 정책을 폐기한 연방 대법원이 아시아계를 차별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명문고의 입학 제도에는 관여하지 않기로 했다. 대법원은 버지니아주...
    Date2024.02.23 Views2795
    Read More
  3. 연 수입 6~7억달러 유튜버… “난 아직 부자 아니다” 말한 이유는?

    2억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미국 유튜버 미스터비스트(MrBeast. 사진)가 자신의 연간 수입이 7억 달러 가량이라고 밝혔다. 그는 벌어들인 돈 대부분을 콘텐츠 제작 등에 재투자한다며 자신이 아직 부자는 아니라고 했다. 미스터비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지...
    Date2024.02.17 Views2263
    Read More
  4. 미국 입국자들의 비자 거부 2배 급증

    부적격 판정 78만여명…이중 40%, 조건부 입국 허용돼 최근들어 미국에 들어오려는 불법 이민자들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공항이나 국경검문소에서 입국 부적격 판정을 받는 비시민권자 외국인 숫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세관국경보호국(C...
    Date2024.02.17 Views2356
    Read More
  5. 뉴욕주 방과후프로그램에 1억불 보조금 투입…작년보다 1770만불 증가

    뉴욕주가 방과후프로그램에 1억 달러 보조금을 투입한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뉴욕주 전역의 방과후프로그램에 1억 달러를 투입해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표된 보조금은 지난해보다 1770만 달러 증가했으며, 기존 방과후프로그...
    Date2024.02.17 Views2751
    Read More
  6. 작년에 대규모 총격사건 미국서 656건 발생

    총기규제 꿈쩍도 안해…공격용 소총·불법 개조 만연 지난해 미국에서 가해자를 제외하고 4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대규모 총격사건은 총 656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은 지난 10월 31명의 사상자를 낸 메인...
    Date2024.02.17 Views2724
    Read More
  7. 동성애자 비율이 가장 높은 미국 지역은?

    워싱턴 D.C. 성인 14.3%로 1위…18~24세 6명 중 1명, 동성연애자 미 UCLA 로스쿨의 윌리엄스 인스티튜트가 지난해 12월 발간한 ‘미국 내 성인 LGBT 인구’ 보고서를 보면, 미 성인(만 18세 이상)의 5.5%가 자신을 LGBT라고 여기는 것으로 조...
    Date2024.02.17 Views2509
    Read More
  8. 영하22도 숲속서 구조된 중국유학생, 美서 유행하는 ‘이 사기’ 피해자

    얼마 전 미국 서부 유타주의 한 산속에서 추위에 떨고 있던 중국인 유학생 장카이(17)가 현지 경찰에 구조됐다. 영하 22도의 극한 추위 속 그는 캠핑용 텐트와 침낭, 담요를 제외하곤 아무런 보온 장비도 없었다. 약 일주일 전 어떠한 물리적 강압도 없이 제...
    Date2024.02.17 Views1902
    Read More
  9. “잘못 인정 안 하겠다”

    법원, 트럼프에 벌금 3억5천만불 뉴욕법원이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의 그룹에게 사기 등의 혐의와 관련해 벌금 3억5500만달러 달러를 선고했다. 또 트럼프가 앞으로 3년 동안 뉴욕주에서 자신의 회사를 포함해 어떤 회사에서도 고위직을 맡을 수 없도록 했다....
    Date2024.02.17 Views1907
    Read More
  10. "바이든, 11월 대선전 건강탓 낙마 가능성"

    美유권자 48% 응답…트럼프 낙마 가능 응답은 32% 8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미국 차기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유력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중도 낙마할 수 있다고 보는 유권자가 거의 절반에 이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뉴저지주 소재 몬머스 대학...
    Date2024.02.17 Views2155
    Read More
  11. 연봉 20만불 받는 팰팍 부패정치인 해임

    팰리세이즈팍 시의회, 2/3가결로 로렌조 행정관 해임 뉴저지 팰리세이즈팍 시정부에서 오랫동안 논란의 중심이 돼왔던 데이빗 로렌조 행정관이 시의회에 의해 해임됐다. 팰팍 타운의회는 6명 중 4명의 시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로렌조 행정관의 해임안을 만장...
    Date2024.02.17 Views2625
    Read More
  12. ‘미션 임파서블’ 제치고 흥행→티켓 기부 유행시킨 美영화는?

    전세계 55개국에 공개된 이 영화…실화의 힘 바탕으로 한 강력한 범죄 스릴러 ‘Sound of Freedom’은 참혹한 아동 인신매매의 실체를 알게 된 정부 요원이 밀매된 아이들을 구출하기 위해 진행한 잠복 구조 임무의 과정을 담은 범죄 스릴러물...
    Date2024.02.17 Views2174
    Read More
  13. 美 복음주의 교회는 트럼프 부활 이끄는 콘크리트 지지세력

    복음주의 교회의 파워 분석…경제와 이민문제 판세 또한 중요 변수 트럼프의 인기는 왜 유별날까. 그는 2020년 11월 재선에 실패한 후 각종 수사와 소송으로 정치적 생명이 다 끝난 것처럼 보였다. 그런 그는 어떻게 다시 유력한 대선 후보로 4년만에 &...
    Date2024.02.17 Views2033
    Read More
  14. <긍정의 힘> 오스틴 목사 교회서 총기난사 사건…왜 이런 일이?

    ‘긍정의 힘’으로 유명한 조엘 오스틴 목사가 사역하는 텍사스주의 초대형 교회에서 예배를 앞둔 일요일 낮에 총격이 발생해 자칫하면 큰 참사로 이어질 뻔 했으나, 현장에 있던 경찰 등에 의해 조기 진압돼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휴스턴 경...
    Date2024.02.17 Views2213
    Read More
  15. 백악관, 바이든 기억력 문제 언급한 특검 맹공

    로버트 허 특검의 고령 리스크 제기에 정치적 의도라며 강격 반박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기억력 문제를 제기한 로버트 허 특검의 기밀문서 유출·보관 조사 관련 보고서에 대해 정치적 의도를 문제 삼으면서 비판을 이어갔다. 전날 밤 바이든 대통...
    Date2024.02.09 Views2215
    Read More
  16. 도박 판돈만 31조…미 최대의 스포츠경기, <슈퍼볼>

    미국 프로풋볼(NFL) 슈퍼볼이 12일 개최된다. 미국 내 최대 스포츠 축제인 만큼 이 경기 결과를 맞추는 도박에도 많은 이들이 몰리는데, 올해 판돈은 무려 30조원이 넘는다. 미국도박협회(AGA)는 미국 성인의 26%에 해당하는 6780만 명이 오는 12일 미국 네바...
    Date2024.02.09 Views2223
    Read More
  17. 바이든 고의기밀 유출 밝힌 로버트 허 특검은?

    51세 뉴욕 출신 한인…2021년 메릴랜드 연방검사장 역임 ‘조 바이든 기밀문서 유출 의혹’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 로버트 허(50) 연방 특별검사는 한국계 미국인이다. 잔뼈가 굵은 베테랑 검사 출신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허 특검은 1973...
    Date2024.02.09 Views2901
    Read More
  18. 2026년 월드컵 결승, 뉴저지에서 개최

    메트라이프 경기장 선정…월드컵 총 8경기 개최 국제축구연맹(FIFA)은 2026년 북중미(미국·캐나다·멕시코) 월드컵 결승전을 2026년 7월 19일 뉴저지 메트라이프 경기장에서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은 미국과 캐나다,...
    Date2024.02.09 Views2074
    Read More
  19. 운전하다 말고…고글 끼고 허우적대는 사람들 정체는?

    애플 신제품 ‘비전 프로’가 최근 미국 전역에서 판매를 시작한 가운데, 소셜미디어에는 비전 프로를 착용한 채 운전하거나 길을 걷는 사람들의 모습이 올라와 눈길을 끌고 있다. 비전 프로는 고글 형태의 혼합현실 기기다. 혼합현실이란 현실 세...
    Date2024.02.09 Views1958
    Read More
  20. 美 MZ 세대 성관계 감소

    MZ세대, 10년 전보다 2배 줄어 미국 MZ세대의 성관계가 줄어들고 있다는 보고가 나와 화제다. UCLA 보고서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MZ세대의 성관계 횟수 및 파트너 수가 부모와 조부모 세대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8~30세 52%가 2021년 성 파트너가...
    Date2024.02.09 Views18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