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얼마 전 미국 서부 유타주의 한 산속에서 추위에 떨고 있던 중국인 유학생 장카이(17)가 현지 경찰에 구조됐다. 영하 22도의 극한 추위 속 그는 캠핑용 텐트와 침낭, 담요를 제외하곤 아무런 보온 장비도 없었다. 약 일주일 전 어떠한 물리적 강압도 없이 제발로 산속에 향했다고 한다. 

미국 CNN·NBC·VOA(미국의 소리) 등은 최근 어린 중국인 유학생들이 ‘사이버 납치’ 범죄의 주 타겟이 되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범죄자들은 피해자에게 주미 중국 대사관 혹은 중국 관계자를 사칭한 전화를 건 뒤, “(중국에 있는) 가족이 부패 혐의에 연루됐다”며 협박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따금 통화에선 가족으로 추정되는 이가 비명을 지르는 소리도 들렸다고 한다. 판단력이 흐트러진 피해자에게 범죄자는 본인과 가족의 결백을 위해선 ‘수사’에 협력해야 한다고 유도한다. 가스라이팅 같은 수법에 사회 경험이 적은 유학생들은 허무맹랑한 지시라도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외신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장카이는 “가족 등 주변 사람들과 연락을 끊고, 혼자 머물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라”는 지시에 스스로 산속으로 향했다. 이내 “본인이 감금된 것처럼 보이는 사진을 찍어 보내라”는 말도 따랐다. 범죄자는 이 사진을 그의 가족들에게 보내며 몸값을 요구했다. 경찰이 장씨를 구조한 건 이미 범죄자에게 8만달러가 송금된 이후였다. 장씨는 뒤늦게 수상함을 느낀 부모가 그가 다니는 학교에 이러한 사실을 알리면서 구출될 수 있었다.

지난해 12월 31일 영하 22도의 추위 속 미국 유타주의 한 산속에서 중국인 유학생 장카이(17)가 현지 경찰에 구조되고 있다. 경찰은 그가 최근 중국인 유학생들을 상대로 유행하는 '사이버 납치'의 피해자인 것으로 보고 범인을 수색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영하 22도의 추위 속 유타주의 한 산속에서 구조된 중국인 유학생 장카이(17).

미국 언론들은 이러한 사이버 납치 수법이 10년 전쯤부터 멕시코 등 북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해 왔다고 전했다. 

BBC는 “AI(인공지능)를 통한 목소리 조작이 쓰이는 등 범죄자들의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며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에 가족 관계 등 개인정보를 공개해놓은 이들이 타겟이 되기 쉽다”고 보도했다.

 

중국인 유학생이 타겟이 된 원인 분석은 다양하다. 우선 대부분 학생들로 연령이 낮다는 것이다. 어린 나이에 홀로 타지로 떠난 이들은 갑작스러운 중국 정부 관계자를 자칭하는 전화에 심리적 공포를 느끼기 쉽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4107 "내년 10월 美 최대 도시공원에 '한국의 집' 홍보관 개관" file 2019.11.17 6624
4106 "내년 10월 美 최대 도시공원에 '한국의 집' 홍보관 개관" file 2019.11.20 7178
4105 "내주 리용호 뉴욕도착…북한과 즉시 협상" file 2018.09.22 7333
4104 "뉴욕 로체스터대에 학생들 안 보낸다" file 2017.11.24 8922
4103 "뉴욕 지하철에 '쌀밥 도시락 등 음식 금지해야…." file 2017.07.23 8714
4102 "뉴욕→LA 자전거로 횡단 20대 한국인, 교통사고로 숨져" 2019.11.09 8200
4101 "뉴욕방문 한국인, 작년 41만6천명" file 2018.04.15 11758
4100 "뉴욕서 20명죽은 리무진 사고는 운행불가 개조차량 탓" file 2018.10.14 9362
4099 "뉴욕시 곧 봉쇄조치 취한다"…주말에 퍼진 가짜뉴스 진화 나서 file 2020.03.18 7289
4098 "뉴욕시 예산 4년간 33억불 적자 우려" 감사원 밝혀 2019.03.05 7214
4097 "뉴욕에선 3층이상 아파트 창문에 보호대 설치 반드시 필요" file 2019.08.06 8928
4096 "뉴욕주 공무원들 이민자 신분 확인 못한다" file 2017.09.19 8537
4095 "뉴저지주 16일 오후 8시부터 새벽 5시까지 통행 및 영업금지" file 2020.03.18 5825
4094 "단기간에 주한미군가족 철수하는 비상대응 계획 수립중" file 2017.12.26 9719
4093 "대선 패하면 美경제 붕괴, 증시 폭락" file 2019.06.19 8783
4092 "돈주는 알래스카서 살아볼까?" file 2017.07.31 23898
4091 "동성애는 죄" 표지판 세운 교회 목사 사임 file 2019.01.22 8653
4090 "드림법안 처리 해 넘기지 말아야" file 2017.12.12 8447
4089 "디스커버리 프로그램 때문에 불합격" 청원서 file 2019.05.12 8108
4088 "또 가정참극"…경찰 대치 美여성 관찰관 자녀 2명 살해 후 자살 2019.12.17 71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9 Next
/ 20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